사회
<현장> 극심한 폭염에 이글거리는 아스팔트.."열섬을 막아라"
하영광
입력 : 2025.07.07 20:53
조회수 : 521
0
0
<앵커>
오늘 경남 밀양의 낮 최고기온이 올여름 들어 가장 무더운 39.2도를 기록하는 등 그야말로 불볕더위가 이어졌습니다.
부산을 비롯한 도심은 콘크리트 건물과 아스팔트 도로 때문에 체감온도는 더욱 높게 느껴지는데요,
이런 열섬현상은 매년 더욱 가속화되고 있다고 합니다.
하영광 기자가 보도합니다.
<기자>
아스팔트 도로가 마치 가열한 프라이펜처럼 이글이글 달아오릅니다.
손과 부채로 햇빛을 가리고 양산까지 꺼내들며 애를 써보지만 숨은 턱턱 막힙니다.
{김형모/부산 광안동/"많이 덥습니다. 장마가 짧았기 때문에 덥고, 도심지가 더 더운 것 같습니다."}
열기를 가득 머금은 아스팔트 도로 위로 살수차가 물줄기를 시원스레 내뿜습니다.
지열을 조금이라도 식히기위한 특단의 조치입니다.
{문관영/부산환경공단 대기환경사업소/"부산광역시에 폭염특보가 발효됐을 때 시민분들 온열질환을 예방하기 위해서 노면 살수 작업을 진행하고 있습니다."}
부산 해운대해수욕장 인근 도로에서는 쉴새 없이 뿜어져 나오는 물안개가 사람들의 몸을 적십니다.
물 입자가 기체로 변하며 잠시나마 달궈진 몸을 식혀줍니다.
양산을 무료로 대여해주는 프로그램을 운영하는 지자체나 기관도 제법 많습니다.
"이렇게 공공기관들이 폭염 대응에 안간힘을 쏟고 있지만, 도심이 더 뜨거워지는 열섬현상은 가속화되고 있습니다.
부산시가 측정한 도심 온도는 지난해에 비해 올해 3에서 5도 가량 올랐습니다."
"여름철 단잠의 방해꾼인 열대야 현상도 더욱 심해졌습니다.
최저기온도 전 지역에서 크게 올랐고, 특히 녹지 비율이 적은 곳에서 상승폭이 컸습니다."
{김아름/부산기상청 예보과/"도심에서는 아스팔트나 콘크리트 건물 등에 의해서 기온이 높게 올라가고 열이 잘 확산되지 못하면서 주변보다 기온이 더 높게 나타날 수 있습니다."}
중국 남부에서 발생한 태풍 다나스가 북상하며 열을 우리나라로 밀어내고 있는데, 부산경남도 당분간 찜통더위가 이어질 것으로 예상돼 건강관리에 각별한 주의가 필요합니다.
KNN 하영광입니다.
영상취재:황태철 영상편집 김유진
오늘 경남 밀양의 낮 최고기온이 올여름 들어 가장 무더운 39.2도를 기록하는 등 그야말로 불볕더위가 이어졌습니다.
부산을 비롯한 도심은 콘크리트 건물과 아스팔트 도로 때문에 체감온도는 더욱 높게 느껴지는데요,
이런 열섬현상은 매년 더욱 가속화되고 있다고 합니다.
하영광 기자가 보도합니다.
<기자>
아스팔트 도로가 마치 가열한 프라이펜처럼 이글이글 달아오릅니다.
손과 부채로 햇빛을 가리고 양산까지 꺼내들며 애를 써보지만 숨은 턱턱 막힙니다.
{김형모/부산 광안동/"많이 덥습니다. 장마가 짧았기 때문에 덥고, 도심지가 더 더운 것 같습니다."}
열기를 가득 머금은 아스팔트 도로 위로 살수차가 물줄기를 시원스레 내뿜습니다.
지열을 조금이라도 식히기위한 특단의 조치입니다.
{문관영/부산환경공단 대기환경사업소/"부산광역시에 폭염특보가 발효됐을 때 시민분들 온열질환을 예방하기 위해서 노면 살수 작업을 진행하고 있습니다."}
부산 해운대해수욕장 인근 도로에서는 쉴새 없이 뿜어져 나오는 물안개가 사람들의 몸을 적십니다.
물 입자가 기체로 변하며 잠시나마 달궈진 몸을 식혀줍니다.
양산을 무료로 대여해주는 프로그램을 운영하는 지자체나 기관도 제법 많습니다.
"이렇게 공공기관들이 폭염 대응에 안간힘을 쏟고 있지만, 도심이 더 뜨거워지는 열섬현상은 가속화되고 있습니다.
부산시가 측정한 도심 온도는 지난해에 비해 올해 3에서 5도 가량 올랐습니다."
"여름철 단잠의 방해꾼인 열대야 현상도 더욱 심해졌습니다.
최저기온도 전 지역에서 크게 올랐고, 특히 녹지 비율이 적은 곳에서 상승폭이 컸습니다."
{김아름/부산기상청 예보과/"도심에서는 아스팔트나 콘크리트 건물 등에 의해서 기온이 높게 올라가고 열이 잘 확산되지 못하면서 주변보다 기온이 더 높게 나타날 수 있습니다."}
중국 남부에서 발생한 태풍 다나스가 북상하며 열을 우리나라로 밀어내고 있는데, 부산경남도 당분간 찜통더위가 이어질 것으로 예상돼 건강관리에 각별한 주의가 필요합니다.
KNN 하영광입니다.
영상취재:황태철 영상편집 김유진
KNN 뉴스는 24시간 여러분의 제보를 기다립니다.
▷ 전화
부산 051-850-9000
경남 055-283-0505
▷ 이메일 jebo@knn.co.kr
▷ knn 홈페이지/앱 접속, 시청자 제보 누르기
▷ 카카오톡 친구찾기 @knn
▷ 전화
부산 051-850-9000
경남 055-283-0505
▷ 이메일 jebo@knn.co.kr
▷ knn 홈페이지/앱 접속, 시청자 제보 누르기
▷ 카카오톡 친구찾기 @knn

하영광 기자
hi@knn.co.kr
많이 본 뉴스
주요뉴스
-
'고사위기' 지역대학과 산업의 생존 전략은?2025.07.10
-
금어기 해제, 문어잡이 시작2025.07.09
-
도심 심야 만취 차량 질주 아찔한 현장2025.07.09
-
[단독]애견유치원서 소형견은 죽고 대형견은 학대2025.07.09
-
수박 한통 선풍기 한 대 값2025.07.09
-
[동행]'산 타고 골목 누비고' 폭염 속 배달노동자의 하루는?2025.07.09
-
기록적 폭염에 폐사 급증 가축농가 비상2025.07.08
-
[단독]사건현장 철수하다 권총 오발2025.07.08
-
루게릭병 환자에게 쓸 '근육키우는 스테로이드' 불법 유통2025.07.08
-
정가표정-현대건설, 정치권 접촉하며 취재는 거부 '눈살'2025.07.0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