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회
시의회 "시민들과 함께 행동할 것" 현대건설 규탄
이민재
입력 : 2025.05.01 16:39
조회수 : 85
0
0
[앵커]
가덕신공항 조기개항 약속을 내팽개친 현대건설에 대한 비난이 계속 번지는 가운데, 부산시의회도 현대건설을 규탄하며 시민들과 함께 행동하겠다고 경고했습니다.
또 KNN 보도로 드러난 가덕신공항 부지보상 조사 부실에 대해서도 부산시가 문제 해결에 적극 나설 것을 촉구했습니다.
이민재 기자가 취재했습니다.
[기자]
가덕신공항의 2029년 개항은 가덕신공항 기본계획 고시에 명시된 정부 약속으로 현대건설도 이를 전제로 한 입찰공고에 따라 수의계약을 따냈습니다.
하지만 공사 기간을 2년 늘린 엉뚱한 기본계획안을 제출하면서 2029년 개항이 무산될 위기에 처했습니다.
현대건설이 부산시민들의 신뢰를 저버렸다는 비난이 각계각층으로 번지는 가운데, 부산시의회도 현대건설의 공시기간 연장 요구를 맹비난했습니다.
{김재운/부산시의회/"현대건설 컨소시엄의 공사기간 연장 요구를 강력히 규탄하며 국가적 과제에 성실히 협력할 것을 엄중히 요구한다."}
의원 만장일치로 2029년 조기 개항 촉구 결의안을 채택한 부산시의회는 조기개항을 위해 시민들과 함께 적극 행동하겠다고 현대건설에 경고했습니다.
부산시의회는 또 2029년 조기개항의 발목을 잡을 수 있는 부지 보상 문제에 대해서도 목소리를 높였습니다.
일부 감정평가사가 현장을 보지 않은 채 가격을 산정했다는 KNN 보도와 관련해, 보상절차에 대한 신뢰를 악화시키고 있다고 지적했습니다.
당장 이번달 주민들과 보상 협의가 시작되지만 문제 없다는 말만 반복하는 부산시를 향해 시민 우려가 커지고 있다고 질타했습니다.
부지 보상이 단순한 행정 절차를 넘어 부산 시민의 미래가 달린 중대한 일인만큼 문제 개선에 적극 나서야 한다는 겁니다.
{전원석/부산시의회/"보상 갈등으로 인한 행정소송이 발생할 위험도 매우 큽니다. 토지보상법과 수산업법에 따르면 공사 착수 이전에 보상액 전액을 지급하는 것이 원칙입니다. 약정 체결이 지연된다면 사업 추진에 큰 차질을 빚을 수밖에 없습니다."}
어렵게 얻어낸 가덕신공항의 2029년 조기개항 약속을 놓칠 위기에 처한 지금, 부산시의 적극 대응 노력이 절실해지고 있습니다.
KNN 이민재입니다.
영상취재 전재현
가덕신공항 조기개항 약속을 내팽개친 현대건설에 대한 비난이 계속 번지는 가운데, 부산시의회도 현대건설을 규탄하며 시민들과 함께 행동하겠다고 경고했습니다.
또 KNN 보도로 드러난 가덕신공항 부지보상 조사 부실에 대해서도 부산시가 문제 해결에 적극 나설 것을 촉구했습니다.
이민재 기자가 취재했습니다.
[기자]
가덕신공항의 2029년 개항은 가덕신공항 기본계획 고시에 명시된 정부 약속으로 현대건설도 이를 전제로 한 입찰공고에 따라 수의계약을 따냈습니다.
하지만 공사 기간을 2년 늘린 엉뚱한 기본계획안을 제출하면서 2029년 개항이 무산될 위기에 처했습니다.
현대건설이 부산시민들의 신뢰를 저버렸다는 비난이 각계각층으로 번지는 가운데, 부산시의회도 현대건설의 공시기간 연장 요구를 맹비난했습니다.
{김재운/부산시의회/"현대건설 컨소시엄의 공사기간 연장 요구를 강력히 규탄하며 국가적 과제에 성실히 협력할 것을 엄중히 요구한다."}
의원 만장일치로 2029년 조기 개항 촉구 결의안을 채택한 부산시의회는 조기개항을 위해 시민들과 함께 적극 행동하겠다고 현대건설에 경고했습니다.
부산시의회는 또 2029년 조기개항의 발목을 잡을 수 있는 부지 보상 문제에 대해서도 목소리를 높였습니다.
일부 감정평가사가 현장을 보지 않은 채 가격을 산정했다는 KNN 보도와 관련해, 보상절차에 대한 신뢰를 악화시키고 있다고 지적했습니다.
당장 이번달 주민들과 보상 협의가 시작되지만 문제 없다는 말만 반복하는 부산시를 향해 시민 우려가 커지고 있다고 질타했습니다.
부지 보상이 단순한 행정 절차를 넘어 부산 시민의 미래가 달린 중대한 일인만큼 문제 개선에 적극 나서야 한다는 겁니다.
{전원석/부산시의회/"보상 갈등으로 인한 행정소송이 발생할 위험도 매우 큽니다. 토지보상법과 수산업법에 따르면 공사 착수 이전에 보상액 전액을 지급하는 것이 원칙입니다. 약정 체결이 지연된다면 사업 추진에 큰 차질을 빚을 수밖에 없습니다."}
어렵게 얻어낸 가덕신공항의 2029년 조기개항 약속을 놓칠 위기에 처한 지금, 부산시의 적극 대응 노력이 절실해지고 있습니다.
KNN 이민재입니다.
영상취재 전재현
KNN 뉴스는 24시간 여러분의 제보를 기다립니다.
▷ 전화
부산 051-850-9000
경남 055-283-0505
▷ 이메일 jebo@knn.co.kr
▷ knn 홈페이지/앱 접속, 시청자 제보 누르기
▷ 카카오톡 친구찾기 @knn
▷ 전화
부산 051-850-9000
경남 055-283-0505
▷ 이메일 jebo@knn.co.kr
▷ knn 홈페이지/앱 접속, 시청자 제보 누르기
▷ 카카오톡 친구찾기 @knn

이민재 기자
mash@knn.co.kr
많이 본 뉴스
주요뉴스
-
시의회 "시민들과 함께 행동할 것" 현대건설 규탄2025.05.01
-
성탄절 여고생 살해 10대 소년법 최고형 선고2025.05.01
-
상생 의지 헛구호 경남 대기업 문화예술 투자 무관심2025.05.01
-
전공의 파업 이후, 뇌심혈관 환자 응급실 문턱 높아져2025.05.01
-
부산 개별주택가격 공시가 1.47% 상승2025.05.01
-
스타필드 창원 재추진, 전통시장 상생협약은 지연2025.04.30
-
<단독>10개 병원 응급실 의사 13명 인건비 지원 중단2025.04.30
-
5월 황금연휴 앞두고 김해공항 대란 재현되나?2025.04.30
-
가덕신공항 조기개항 약속 내팽개친 현대건설2025.04.30
-
백화점 '팝업 스토어' 매출 상승세 이끈다2025.04.3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