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OP
사회

"추가 1조 원에 시간도 2년 더 달라고?"

김건형 입력 : 2025.04.29 20:49
조회수 : 205
<앵커>
공사기간을 2년 더 늘려야된다는 시공사 요구에 가덕도신공항 사업이 암초를 만났다는 소식 어제 전해드렸는데요.

대선이라는 혼란스런 상황까지 노린 것으로 보이는 시공사의 몽니가 1차 원인이지만 정부와 부산시 역시 책임론에 휩싸였습니다.

김건형 기자입니다.

<기자>
공사기간을 9년으로, 공사비도 1조원 이상 늘려달라는 현대건설 컨소시엄의 요구는 상당히 비상식적입니다.

당초 공사기간 7년을 조건으로 한 입찰에도 유일하게 응해놓곤,

수의계약이 기정사실화되자 수익을 극대화하려고 입찰조건까지 어기며 배짱을 부리는 격입니다.

{이지후/가덕도허브공항시민추진단 대표/"착공 시기가 혹시나 늦어질까 해서 수의 계약을 통해서라도 현대(건설) 컨소시엄 (낙찰)을 지지를 해 줬습니다. 우리 부산 시민들에게 정말 씻을 수 없는 배신감을 안겨준 행위라고 여깁니다."}

국토부는 현대측에 소명자료 제출을 요구하는 동시에 새로운 시공사 선정 절차 준비까지 예고하는 등 강경한 입장입니다.

{박상우/국토교통부 장관/"(현대측 태도에) 저희도 굉장히 놀라움을 금할 수가 없고요. 보완되지 않을 경우에는 저희가 플랜B를 가동해야 되지 않겠습니까."}

하지만 우선협상대상자 지정 직후부터 공사기간 연장 필요성 여론을 확산시키려는 현대측 움직임이 공공연했는데도 결국 대처에 실패했습니다.

"국책사업인만큼 이번 파문의 책임과 해결 주체는 국토부입니다.

그럼에도 '조기개항'을 공언해온 부산시 역시 책임론에서 비껴갈 수 없는 지경입니다."

현대건설 전 임원을 부시장급 신공항특보로 영입했지만 결과는 난처한 상황이 됐습니다.

게다가 비판 여론을 의식한 듯 정부로 화살을 돌리는 인상까지 비췄습니다.

{김도읍/국회의원(국토위)/"가덕신공항 건설의 한 축인 부산시는 정부의 책임있는 결단과 실질적인 조치를 촉구한다며 정부의 책임으로 돌리고 있습니다."}

현대측이 입장을 바꾸지 않는다면 새 정부가 들어설 때까지 사업진행은 중단될 가능성이 큽니다.

현대측의 입찰자격을 박탈하고 시공사 재선정에 들어간다하더라도 물리적으로 최소 6개월 이상 사업 지연은 불가피합니다.

KNN 김건형입니다.

영상취재:황태철 박언국
영상편집 이소민
KNN 뉴스는 24시간 여러분의 제보를 기다립니다.

▷ 전화
부산 051-850-9000
경남 055-283-0505
▷ 이메일 jebo@knn.co.kr
▷ knn 홈페이지/앱 접속, 시청자 제보 누르기
▷ 카카오톡 친구찾기 @knn
저작권자 © 부산경남대표방송 KNN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사이트맵