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회
"추가 1조 원에 시간도 2년 더 달라고?"
김건형
입력 : 2025.04.29 20:49
조회수 : 905
0
0
<앵커>
공사기간을 2년 더 늘려야된다는 시공사 요구에 가덕도신공항 사업이 암초를 만났다는 소식 어제 전해드렸는데요.
대선이라는 혼란스런 상황까지 노린 것으로 보이는 시공사의 몽니가 1차 원인이지만 정부와 부산시 역시 책임론에 휩싸였습니다.
김건형 기자입니다.
<기자>
공사기간을 9년으로, 공사비도 1조원 이상 늘려달라는 현대건설 컨소시엄의 요구는 상당히 비상식적입니다.
당초 공사기간 7년을 조건으로 한 입찰에도 유일하게 응해놓곤,
수의계약이 기정사실화되자 수익을 극대화하려고 입찰조건까지 어기며 배짱을 부리는 격입니다.
{이지후/가덕도허브공항시민추진단 대표/"착공 시기가 혹시나 늦어질까 해서 수의 계약을 통해서라도 현대(건설) 컨소시엄 (낙찰)을 지지를 해 줬습니다. 우리 부산 시민들에게 정말 씻을 수 없는 배신감을 안겨준 행위라고 여깁니다."}
국토부는 현대측에 소명자료 제출을 요구하는 동시에 새로운 시공사 선정 절차 준비까지 예고하는 등 강경한 입장입니다.
{박상우/국토교통부 장관/"(현대측 태도에) 저희도 굉장히 놀라움을 금할 수가 없고요. 보완되지 않을 경우에는 저희가 플랜B를 가동해야 되지 않겠습니까."}
하지만 우선협상대상자 지정 직후부터 공사기간 연장 필요성 여론을 확산시키려는 현대측 움직임이 공공연했는데도 결국 대처에 실패했습니다.
"국책사업인만큼 이번 파문의 책임과 해결 주체는 국토부입니다.
그럼에도 '조기개항'을 공언해온 부산시 역시 책임론에서 비껴갈 수 없는 지경입니다."
현대건설 전 임원을 부시장급 신공항특보로 영입했지만 결과는 난처한 상황이 됐습니다.
게다가 비판 여론을 의식한 듯 정부로 화살을 돌리는 인상까지 비췄습니다.
{김도읍/국회의원(국토위)/"가덕신공항 건설의 한 축인 부산시는 정부의 책임있는 결단과 실질적인 조치를 촉구한다며 정부의 책임으로 돌리고 있습니다."}
현대측이 입장을 바꾸지 않는다면 새 정부가 들어설 때까지 사업진행은 중단될 가능성이 큽니다.
현대측의 입찰자격을 박탈하고 시공사 재선정에 들어간다하더라도 물리적으로 최소 6개월 이상 사업 지연은 불가피합니다.
KNN 김건형입니다.
영상취재:황태철 박언국
영상편집 이소민
공사기간을 2년 더 늘려야된다는 시공사 요구에 가덕도신공항 사업이 암초를 만났다는 소식 어제 전해드렸는데요.
대선이라는 혼란스런 상황까지 노린 것으로 보이는 시공사의 몽니가 1차 원인이지만 정부와 부산시 역시 책임론에 휩싸였습니다.
김건형 기자입니다.
<기자>
공사기간을 9년으로, 공사비도 1조원 이상 늘려달라는 현대건설 컨소시엄의 요구는 상당히 비상식적입니다.
당초 공사기간 7년을 조건으로 한 입찰에도 유일하게 응해놓곤,
수의계약이 기정사실화되자 수익을 극대화하려고 입찰조건까지 어기며 배짱을 부리는 격입니다.
{이지후/가덕도허브공항시민추진단 대표/"착공 시기가 혹시나 늦어질까 해서 수의 계약을 통해서라도 현대(건설) 컨소시엄 (낙찰)을 지지를 해 줬습니다. 우리 부산 시민들에게 정말 씻을 수 없는 배신감을 안겨준 행위라고 여깁니다."}
국토부는 현대측에 소명자료 제출을 요구하는 동시에 새로운 시공사 선정 절차 준비까지 예고하는 등 강경한 입장입니다.
{박상우/국토교통부 장관/"(현대측 태도에) 저희도 굉장히 놀라움을 금할 수가 없고요. 보완되지 않을 경우에는 저희가 플랜B를 가동해야 되지 않겠습니까."}
하지만 우선협상대상자 지정 직후부터 공사기간 연장 필요성 여론을 확산시키려는 현대측 움직임이 공공연했는데도 결국 대처에 실패했습니다.
"국책사업인만큼 이번 파문의 책임과 해결 주체는 국토부입니다.
그럼에도 '조기개항'을 공언해온 부산시 역시 책임론에서 비껴갈 수 없는 지경입니다."
현대건설 전 임원을 부시장급 신공항특보로 영입했지만 결과는 난처한 상황이 됐습니다.
게다가 비판 여론을 의식한 듯 정부로 화살을 돌리는 인상까지 비췄습니다.
{김도읍/국회의원(국토위)/"가덕신공항 건설의 한 축인 부산시는 정부의 책임있는 결단과 실질적인 조치를 촉구한다며 정부의 책임으로 돌리고 있습니다."}
현대측이 입장을 바꾸지 않는다면 새 정부가 들어설 때까지 사업진행은 중단될 가능성이 큽니다.
현대측의 입찰자격을 박탈하고 시공사 재선정에 들어간다하더라도 물리적으로 최소 6개월 이상 사업 지연은 불가피합니다.
KNN 김건형입니다.
영상취재:황태철 박언국
영상편집 이소민
KNN 뉴스는 24시간 여러분의 제보를 기다립니다.
▷ 전화
부산 051-850-9000
경남 055-283-0505
▷ 이메일 jebo@knn.co.kr
▷ knn 홈페이지/앱 접속, 시청자 제보 누르기
▷ 카카오톡 친구찾기 @knn
▷ 전화
부산 051-850-9000
경남 055-283-0505
▷ 이메일 jebo@knn.co.kr
▷ knn 홈페이지/앱 접속, 시청자 제보 누르기
▷ 카카오톡 친구찾기 @knn
김건형 기자
kgh@knn.co.kr
많이 본 뉴스
주요뉴스
-
미중 정상회담 열리는 김해공항, 보안 낙제점?2025.10.28
-
은폐되는 1급 발암물질... 허울뿐인 폐아스콘 재활용률2025.10.28
-
'명태균 공방'에 3년만의 경남 국감 '파행'2025.10.28
-
경남 출신 농민대통령에 등 돌리는 농심2025.10.28
-
미중회담 부산 개최, 전 세계 시선 부산으로2025.10.27
-
'특혜' 북항 D3구역... 부당이득만 8천억 원2025.10.27
-
김해공항 국제선, 수요 폭증에 사고까지 우려2025.10.27
-
복지정책 내실화 시급한데 계속 확대만...2025.10.27
-
축제의 부산..다양한 테마로 외국인 관광객에 인기2025.10.26
-
<자랑스러운 부산경남>경남의 농*수산업을 책임질 청년들2025.10.26
페이스북
트위터
카카오톡
URL복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