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회
녹조 독소 무관심 언제까지? 대책 마련 촉구
이태훈
입력 : 2025.02.09 19:24
조회수 : 473
0
0
<앵커>
최근 환경단체 조사에서 낙동강 인근 주민 콧속에서 녹조 독소가 검출됐다는 소식 전해드렸는데요.
환경부는 필요하면 민관 공동조사를 협의하겠다는 입장이고, 지자체 역시 별다른 대책이 없습니다.
도대체 언제까지 낙동강 주민들의 건강권을 무시할 것인지, 우려가 커지고 있습니다.
이태훈 기자입니다.
<기자>
지난해 여름, 창원 주남저수지의 모습입니다.
저수지 전체가 짙은 녹조로 가득합니다.
최근 환경단체 조사에서는 주남저수지를 비롯해 낙동강 인근 주민 등 46명의 콧속에서 녹조 독성물질인 마이크로시스틴이 검출됐습니다.
{윤종현/창원 주남저수지 인근 주민(마이크로시스틴 검출)/"여러가지 증상이 어떤 것이 있냐 물어봤을때 실제적으로 재채기나 콧물이나 이런게 많이 나고 있다고 얘기를 했었고요."}
이같은 조사 결과에도, 환경부는 필요하면 환경단체와 공동조사를 협의하겠단 입장만 내놨습니다.
그동안 환경부는 공기 중 녹조 독소는 없다는 입장이었습니다.
{변기수/창원기후행동 공동대표/"(환경부에서는) 믿을 수 없다. 공동 조사하자. 똑같은 되풀이를 계속하는 거에요. 이게 공무원입니까?"}
지난해 11월 환경부 산하 수자원공사가 영주댐 주변 주민 콧속 조사를 진행했는데, 녹조 독소가 나오지 않았습니다.
하지만 이 조사는 녹조 번성기가 아닌 시기에 이뤄진 것으로, 신뢰도가 떨어집니다.
지자체 역시 문제입니다.
창원시가 낙동강 둔치에 야구장이나 파크골프장 등을 조성하고 있지만 공기 중 녹조 독소와 관련한 대책은 전혀 없습니다.
{김순재/마창진환경운동연합 공동의장/"창원시는 아무 조치하지 않습니다. 농어촌공사도 그러합니다. 이 두 조직은 국민 세금으로 사업을 하는 조직인데 (녹조 독소에) 노출되는 주민들을 위한 아무 조치도 안합니다."}
반면 부산시는 조류경보제가 발령되면 수상레저활동이나 어패류 어획 등 친수활동을 금지하고 있습니다.
환경단체는 낙동강 보 개방과 함께, 조류경보 발령시 낙동강 둔치 이용제한 등의 대책을 요구하고 있습니다.
KNN 이태훈입니다.
최근 환경단체 조사에서 낙동강 인근 주민 콧속에서 녹조 독소가 검출됐다는 소식 전해드렸는데요.
환경부는 필요하면 민관 공동조사를 협의하겠다는 입장이고, 지자체 역시 별다른 대책이 없습니다.
도대체 언제까지 낙동강 주민들의 건강권을 무시할 것인지, 우려가 커지고 있습니다.
이태훈 기자입니다.
<기자>
지난해 여름, 창원 주남저수지의 모습입니다.
저수지 전체가 짙은 녹조로 가득합니다.
최근 환경단체 조사에서는 주남저수지를 비롯해 낙동강 인근 주민 등 46명의 콧속에서 녹조 독성물질인 마이크로시스틴이 검출됐습니다.
{윤종현/창원 주남저수지 인근 주민(마이크로시스틴 검출)/"여러가지 증상이 어떤 것이 있냐 물어봤을때 실제적으로 재채기나 콧물이나 이런게 많이 나고 있다고 얘기를 했었고요."}
이같은 조사 결과에도, 환경부는 필요하면 환경단체와 공동조사를 협의하겠단 입장만 내놨습니다.
그동안 환경부는 공기 중 녹조 독소는 없다는 입장이었습니다.
{변기수/창원기후행동 공동대표/"(환경부에서는) 믿을 수 없다. 공동 조사하자. 똑같은 되풀이를 계속하는 거에요. 이게 공무원입니까?"}
지난해 11월 환경부 산하 수자원공사가 영주댐 주변 주민 콧속 조사를 진행했는데, 녹조 독소가 나오지 않았습니다.
하지만 이 조사는 녹조 번성기가 아닌 시기에 이뤄진 것으로, 신뢰도가 떨어집니다.
지자체 역시 문제입니다.
창원시가 낙동강 둔치에 야구장이나 파크골프장 등을 조성하고 있지만 공기 중 녹조 독소와 관련한 대책은 전혀 없습니다.
{김순재/마창진환경운동연합 공동의장/"창원시는 아무 조치하지 않습니다. 농어촌공사도 그러합니다. 이 두 조직은 국민 세금으로 사업을 하는 조직인데 (녹조 독소에) 노출되는 주민들을 위한 아무 조치도 안합니다."}
반면 부산시는 조류경보제가 발령되면 수상레저활동이나 어패류 어획 등 친수활동을 금지하고 있습니다.
환경단체는 낙동강 보 개방과 함께, 조류경보 발령시 낙동강 둔치 이용제한 등의 대책을 요구하고 있습니다.
KNN 이태훈입니다.
KNN 뉴스는 24시간 여러분의 제보를 기다립니다.
▷ 전화
부산 051-850-9000
경남 055-283-0505
▷ 이메일 jebo@knn.co.kr
▷ knn 홈페이지/앱 접속, 시청자 제보 누르기
▷ 카카오톡 친구찾기 @knn
▷ 전화
부산 051-850-9000
경남 055-283-0505
▷ 이메일 jebo@knn.co.kr
▷ knn 홈페이지/앱 접속, 시청자 제보 누르기
▷ 카카오톡 친구찾기 @knn
![](https://v.knn.co.kr/reporter/2023/04/05/c580658a-cff1-4388-8e04-d4ba0dbc7f20.png)
이태훈 기자
lth4101@knn.co.kr
많이 본 뉴스
주요뉴스
-
힐스테이트 창원센트럴 등 잇단 사고에 경남도 점검실시2025.02.10
-
'생활고 비관' 아들 장난감 물총 이용 은행강도, 시민에 제압2025.02.10
-
섬 인구소멸 위기 심각, '나홀로 증가' 이수도의 비밀은?2025.02.10
-
경남서도 필라테스 '먹튀', 관련 업계 고사 우려2025.02.10
-
눈 깜짝 할 사이에...귀금속 3천만원 훔쳐 달아나2025.02.10
-
동남권 산업전환 마중물 2조원 마련2025.02.10
-
전남 여수 해상서 부산선적 침몰, 4명 사망*6명 실종(리)2025.02.09
-
녹조 독소 무관심 언제까지? 대책 마련 촉구2025.02.09
-
광안대교 무정차통과 시행, 안전성 우려도2025.02.09
-
부산 한파*강풍 피해 잇따라2025.02.0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