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회
매서운 입춘 한파, "아직 절정 아니다"
이민재
입력 : 2025.02.05 20:50
조회수 : 102
0
0
<앵커>
봄의 시작을 알리는 절기, 입춘이라는 말이 무색하게 맹추위가 이어지고 있습니다.
부산과 경남 모두 체감온도가 영하 10도 아래로 떨어지면서 시민들은 추위에 떨었습니다.
이민재 기자가 한파가 들이닥친 부산 곳곳을 다녀왔습니다.
<기자>
"지금 시각은 아침 8시 반 무렵인데요.
직장인들은 이른 시간부터 무거운 발걸음을 옮겨 출근길에 나섰는데,
이렇게 귀가 얼 정도의 맹추위까지 더해지면서 평소보다 출근길은 더 험하고, 멀게만 느껴집니다."
목도리에 귀마개는 물론, 모자까지 깊게 눌러써 중무장했지만 한파를 막기엔 역부족입니다.
입춘이 지난게 무색합니다.
{안현정/직장인/"추워서 오늘나올때 마스크를 해야겠단 생각이 딱 들더라고요. 그래서 마스크 끼고, 옷은 바로 장코트를 꺼내 입었어요. 여긴 바람이 세거든요, 모자를 안쓰면 뒤통수가 너무 추워요."}
"영하권 기온에 칼바람까지 불다보니 이곳처럼 온열의자, 이른바 '엉뜨'가 설치된 버스정류장은 한파대피소처럼 느껴질 정도입니다."
바람을 막아줄 가림막에, 난방까지 되다보니 기다리던 버스가 와도 일어나기 싫을 지경입니다.
{이란수/버스승객/"굉장히 발도 시리고 손도 시리고, 굉장히 추워요. (온열의자가 없으면) 그냥 발만 동동 구르면서 춥게 기다리죠. 진짜 많이 도움됩니다."}
"여기 보이는 것처럼 바닷물마저 파도 형태로 꽁꽁 얼어붙었는데요.
그 위로 사람이 걸어다닐 수 있을 정돕니다."
쉽게 볼 수 없는 진풍경에 시민들 발걸음도 절로 멈춥니다.
얼어붙은 바닷물 위로 조개껍질을 던지고, 손으로 만져보기까지 합니다.
{전미자 오중희/"저희가 그랬어요 바다도 어냐고. 바닷물도 얼더라고요. 여기도 얼고, 너무 추워요. "}
"체감온도가 영하 10도 아래로 떨어지는 맹추위가 닥치면서, 지자체는 연로한 어르신 댁을 직접 방문하며 안부 챙기기에 나섰습니다."
{"어머니, 들어갈게요!"}
거동이 불편한 어르신 대신 설거지를 하고 끼니를 챙기는 건 기본, 살가운 딸처럼 목욕탕도 같이 갑니다.
{박월술/부산 수정동/"목욕 간다고 하니까, 생활지원사가 '그럼 어머니, 같이 갑시다!'해서, 옆에 끼고 지팡이 짚고 그렇게 갔죠. 자식들은 멀리 있으니 안 기다리는데, 이 사람은 안오면 자꾸 기다려요."}
경로당은 뜨끈뜨끈 찜질방을 방불케 해, 난방비가 부담되는 어르신들의 사랑방이 된지 오랩니다.
{허경자/부산 초량동/"집에 혼자 있으면 보일러를 잘 안켜잖아요. 여기 오면 따뜻하고, 맛있는 음식도 만들어서 먹을 수도 있고. 집에 혼자 있으면 잘 안먹게 되거든요."}
외국인 관광객들도 추위 속에서 모락모락 김이 나는 어묵과 떡볶이에 홀린 듯, 포장마차 앞으로 모여듭니다.
{비프광장 상인/"추우니까 아무래도 좀 장사가 낫죠. 힘들지, 그렇지만 어떻게 해요? 해야죠. 그래도 우린 따뜻하게 이렇게 불앞에 있으니까."}
극한한파가 이어지고 있는 가운데 내일(6)은 오늘보다 더한 추위가 예상됩니다.
추위는 2월말부터는 사그라져, 3월부터는 꽃샘추위 여파도 없이 따뜻한 기온이 이어질 것이란 관측입니다.
KNN 이민재입니다.
봄의 시작을 알리는 절기, 입춘이라는 말이 무색하게 맹추위가 이어지고 있습니다.
부산과 경남 모두 체감온도가 영하 10도 아래로 떨어지면서 시민들은 추위에 떨었습니다.
이민재 기자가 한파가 들이닥친 부산 곳곳을 다녀왔습니다.
<기자>
"지금 시각은 아침 8시 반 무렵인데요.
직장인들은 이른 시간부터 무거운 발걸음을 옮겨 출근길에 나섰는데,
이렇게 귀가 얼 정도의 맹추위까지 더해지면서 평소보다 출근길은 더 험하고, 멀게만 느껴집니다."
목도리에 귀마개는 물론, 모자까지 깊게 눌러써 중무장했지만 한파를 막기엔 역부족입니다.
입춘이 지난게 무색합니다.
{안현정/직장인/"추워서 오늘나올때 마스크를 해야겠단 생각이 딱 들더라고요. 그래서 마스크 끼고, 옷은 바로 장코트를 꺼내 입었어요. 여긴 바람이 세거든요, 모자를 안쓰면 뒤통수가 너무 추워요."}
"영하권 기온에 칼바람까지 불다보니 이곳처럼 온열의자, 이른바 '엉뜨'가 설치된 버스정류장은 한파대피소처럼 느껴질 정도입니다."
바람을 막아줄 가림막에, 난방까지 되다보니 기다리던 버스가 와도 일어나기 싫을 지경입니다.
{이란수/버스승객/"굉장히 발도 시리고 손도 시리고, 굉장히 추워요. (온열의자가 없으면) 그냥 발만 동동 구르면서 춥게 기다리죠. 진짜 많이 도움됩니다."}
"여기 보이는 것처럼 바닷물마저 파도 형태로 꽁꽁 얼어붙었는데요.
그 위로 사람이 걸어다닐 수 있을 정돕니다."
쉽게 볼 수 없는 진풍경에 시민들 발걸음도 절로 멈춥니다.
얼어붙은 바닷물 위로 조개껍질을 던지고, 손으로 만져보기까지 합니다.
{전미자 오중희/"저희가 그랬어요 바다도 어냐고. 바닷물도 얼더라고요. 여기도 얼고, 너무 추워요. "}
"체감온도가 영하 10도 아래로 떨어지는 맹추위가 닥치면서, 지자체는 연로한 어르신 댁을 직접 방문하며 안부 챙기기에 나섰습니다."
{"어머니, 들어갈게요!"}
거동이 불편한 어르신 대신 설거지를 하고 끼니를 챙기는 건 기본, 살가운 딸처럼 목욕탕도 같이 갑니다.
{박월술/부산 수정동/"목욕 간다고 하니까, 생활지원사가 '그럼 어머니, 같이 갑시다!'해서, 옆에 끼고 지팡이 짚고 그렇게 갔죠. 자식들은 멀리 있으니 안 기다리는데, 이 사람은 안오면 자꾸 기다려요."}
경로당은 뜨끈뜨끈 찜질방을 방불케 해, 난방비가 부담되는 어르신들의 사랑방이 된지 오랩니다.
{허경자/부산 초량동/"집에 혼자 있으면 보일러를 잘 안켜잖아요. 여기 오면 따뜻하고, 맛있는 음식도 만들어서 먹을 수도 있고. 집에 혼자 있으면 잘 안먹게 되거든요."}
외국인 관광객들도 추위 속에서 모락모락 김이 나는 어묵과 떡볶이에 홀린 듯, 포장마차 앞으로 모여듭니다.
{비프광장 상인/"추우니까 아무래도 좀 장사가 낫죠. 힘들지, 그렇지만 어떻게 해요? 해야죠. 그래도 우린 따뜻하게 이렇게 불앞에 있으니까."}
극한한파가 이어지고 있는 가운데 내일(6)은 오늘보다 더한 추위가 예상됩니다.
추위는 2월말부터는 사그라져, 3월부터는 꽃샘추위 여파도 없이 따뜻한 기온이 이어질 것이란 관측입니다.
KNN 이민재입니다.
KNN 뉴스는 24시간 여러분의 제보를 기다립니다.
▷ 전화
부산 051-850-9000
경남 055-283-0505
▷ 이메일 jebo@knn.co.kr
▷ knn 홈페이지/앱 접속, 시청자 제보 누르기
▷ 카카오톡 친구찾기 @knn
▷ 전화
부산 051-850-9000
경남 055-283-0505
▷ 이메일 jebo@knn.co.kr
▷ knn 홈페이지/앱 접속, 시청자 제보 누르기
▷ 카카오톡 친구찾기 @knn
이민재 기자
mash@knn.co.kr
많이 본 뉴스
주요뉴스
-
매서운 입춘 한파, "아직 절정 아니다"2025.02.05
-
음주 전과자 또 음주운전, 4km 아찔한 도주2025.02.05
-
첨단시설 기대 용도변경 혜택... 결국 아파트2025.02.05
-
부산역 주차난에도 주차장 확보 계획 보류, 왜?2025.02.05
-
필라테스 또 먹튀... '먹튀 방지법' 아직 계류2025.02.04
-
'눈속임 수수료', 교통카드 선정 가처분 신청2025.02.04
-
오시리아 문화예술타운 소송, 첫 삽은 언제쯤?2025.02.04
-
치솟는 난방비에 생산과 소비 하락 '삼중고'2025.02.04
-
부산항 발견 코카인 100㎏, 중남미 마약 조직원 검거2025.02.03
-
화재 여객기 합동감식 시작, 보조배터리 안전 강화2025.02.0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