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회
맑은물공급, 2025년에는 될까?
표중규
입력 : 2025.02.01 18:33
조회수 : 87
0
0
<앵커>
안심할 수 있는 식수원은 부산과 동부경남의 오래된 숙원입니다.
그동안 주민동의의 문턱에서 계속 헛바퀴만 돌고 있었는데, 올초부터 상황이 조금 달라지고 있습니다.
표중규 기자가 보도합니다.
<기자>
1991년 낙동강 독성 페놀 유출사태이후로 안전한 식수원은 영남권 전체의 숙제였습니다.
마침내 2020년 영남권 5개시도가 어렵게 물문제 상생에 합의를 이뤘습니다.
합천과 창녕, 의령에서 취수한 90만톤을 동부경남과 부산까지 보낸다는게 큰 틀입니다.
강 바닥에 구멍을 내 아래쪽 물을 확보하는 복류수와 바깥쪽 지하수를 모으는 강변여과수 방식을 같이 씁니다.
하지만 정작 해당지역민들의 반발에 여전히 제자리걸음만 하고 있습니다.
그런데 새해 들어 경남도의 태도가 미묘하게 바뀌고 있습니다.
부산을 인구로 추월하고 방산*원전산업까지 상승세로 바뀌면서, 명분을 넘어 실익을 확보하는데 보다 집중하기 시작한 것입니다.
경남에 서는 SRT 노선을 늘리는등 명확한 인센티브를 제시하면 적극 협력하겠다고 거듭 강조하고 나섰습니다.
{박완수/경남도지사/우리 지역과 부산의 맑은 물을 도민들, 시민들에게 공급하는데 대해서 저희들은 공감을 하고 동의를 한다고 말씀을 드렸고...특히 그 지역의 국책사업과 관련된 인센티브를 정부가 제시해야하는 것 아니냐}
부산시도 경남도의 변화에 기대를 걸고 있습니다.
지난해 의령군과 협약까지 맺고 취수원 다변화 특별법 제정에도 속도를 더했지만 실익은 없었습니다.
민선8기 박형준 시장의 성과가 급한 상황에서,안전한 식수원이라는 30년의 숙원은 반드시 풀어야할 숙제입니다.
{이병석/부산시 환경물정책 실장 /올해는 환경부 경남도와의 협력을 통해서 취수원 다변화 사업에서 의미 있는 성과를 꼭 만들어내도록 하겠습니다.}
하지만 탄핵을 둘러싸고 국회운영과 여론수렴이 꽉 막힌게 걸림돌입니다.
때문에 경남도의 태도변화가 2025년 식수원 불안 해소까지 이어지기 위해서라도, 부산과 동부경남으로서는 하루 빨리 계엄의 후폭풍이 지나가기만을 지켜볼 수 밖에 없는 상황입니다.
KNN 표중규입니다.
안심할 수 있는 식수원은 부산과 동부경남의 오래된 숙원입니다.
그동안 주민동의의 문턱에서 계속 헛바퀴만 돌고 있었는데, 올초부터 상황이 조금 달라지고 있습니다.
표중규 기자가 보도합니다.
<기자>
1991년 낙동강 독성 페놀 유출사태이후로 안전한 식수원은 영남권 전체의 숙제였습니다.
마침내 2020년 영남권 5개시도가 어렵게 물문제 상생에 합의를 이뤘습니다.
합천과 창녕, 의령에서 취수한 90만톤을 동부경남과 부산까지 보낸다는게 큰 틀입니다.
강 바닥에 구멍을 내 아래쪽 물을 확보하는 복류수와 바깥쪽 지하수를 모으는 강변여과수 방식을 같이 씁니다.
하지만 정작 해당지역민들의 반발에 여전히 제자리걸음만 하고 있습니다.
그런데 새해 들어 경남도의 태도가 미묘하게 바뀌고 있습니다.
부산을 인구로 추월하고 방산*원전산업까지 상승세로 바뀌면서, 명분을 넘어 실익을 확보하는데 보다 집중하기 시작한 것입니다.
경남에 서는 SRT 노선을 늘리는등 명확한 인센티브를 제시하면 적극 협력하겠다고 거듭 강조하고 나섰습니다.
{박완수/경남도지사/우리 지역과 부산의 맑은 물을 도민들, 시민들에게 공급하는데 대해서 저희들은 공감을 하고 동의를 한다고 말씀을 드렸고...특히 그 지역의 국책사업과 관련된 인센티브를 정부가 제시해야하는 것 아니냐}
부산시도 경남도의 변화에 기대를 걸고 있습니다.
지난해 의령군과 협약까지 맺고 취수원 다변화 특별법 제정에도 속도를 더했지만 실익은 없었습니다.
민선8기 박형준 시장의 성과가 급한 상황에서,안전한 식수원이라는 30년의 숙원은 반드시 풀어야할 숙제입니다.
{이병석/부산시 환경물정책 실장 /올해는 환경부 경남도와의 협력을 통해서 취수원 다변화 사업에서 의미 있는 성과를 꼭 만들어내도록 하겠습니다.}
하지만 탄핵을 둘러싸고 국회운영과 여론수렴이 꽉 막힌게 걸림돌입니다.
때문에 경남도의 태도변화가 2025년 식수원 불안 해소까지 이어지기 위해서라도, 부산과 동부경남으로서는 하루 빨리 계엄의 후폭풍이 지나가기만을 지켜볼 수 밖에 없는 상황입니다.
KNN 표중규입니다.
KNN 뉴스는 24시간 여러분의 제보를 기다립니다.
▷ 전화
부산 051-850-9000
경남 055-283-0505
▷ 이메일 jebo@knn.co.kr
▷ knn 홈페이지/앱 접속, 시청자 제보 누르기
▷ 카카오톡 친구찾기 @knn
▷ 전화
부산 051-850-9000
경남 055-283-0505
▷ 이메일 jebo@knn.co.kr
▷ knn 홈페이지/앱 접속, 시청자 제보 누르기
▷ 카카오톡 친구찾기 @knn
표중규 기자
pyowill@knn.co.kr
많이 본 뉴스
주요뉴스
-
통합 앞둔 에어부산, 악재에 '휘청'2025.02.01
-
맑은물공급, 2025년에는 될까?2025.02.01
-
부산 승학산 암자에서 불, 2시간 만에 진화2025.02.01
-
부산, 장기화된 경기침체에 빈 사무실 크게 늘어2025.02.01
-
채무자 모텔 감금하고 폭행한 20대 남녀 징역형 선고2025.02.01
-
풍산 이전 대상지 기장군 2곳으로 압축2025.01.31
-
불법 모래 채취 정황 넘치는데, 지자체는 '뭉그적'2025.01.31
-
타버린 기내 물품 보상 착수..면세품은?2025.01.31
-
에어부산 사고조사위 조사..화재 대처도 도마위.2025.01.31
-
수도권 블랙홀 저지..부산을 조선 R&D 거점으로2025.01.3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