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회
[단독]불법 촬영 현장 적발, 한중 외교문제 비화 '우려'
황보람
입력 : 2024.07.23 20:50
조회수 : 1395
0
0
<앵커>
이번 불법촬영을 조사하는 경찰과 국정원, 군 합동조사단은 중국인 유학생들의 대공혐의점은 없는 것으로 우선 판단하고 있습니다.
하지만 대공혐의점 여부를 떠나 한미동맹을 강조하는 대통령 참석 비공개 행사에서 불법촬영이 이뤄졌다는 것 자체만으로도, 외교 문제로 비화할 수 있다는 우려가 나옵니다.
황보 람 기자가 단독보도 이어갑니다.
<기자>
해군작전사령부 기지와 루즈벨트함을 불법촬영한 중국인 유학생 3명은 현장을 순찰하던 육군 대위에게
적발됐습니다.
중국인 유학생 3명은 모두 석*박사 과정을 밟고 있는 대학원생으로, 직접 드론 촬영을 했던 40대 중국인은 9년 동안 한국과 중국을 오간 것으로 파악됐습니다.
또 6.25 한미 연합행사 이틀 전에도 같은 현장을 찾아 불법촬영을 한 것으로 드러났습니다.
"불법촬영 적발 당시, 경찰과 국정원, 군은 현장에서 곧바로 합동조사단을 꾸려 조사에 나섰는데, 합동조사단은 여기서 대공혐의점은 없는 것으로 우선 판단했습니다."
이후 경찰은 촬영에 쓰인 드론과 휴대폰에 대한 포렌식 조사 등에 나섰습니다.
촬영본 가운데는 군사기밀보호법 위반 소지가 있는 불법 촬영물 3건 정도가 확인됐습니다.
다만, 촬영본을 어딘가 보내거나 한 흔적은 없는 것으로 파악됐습니다.
전문가들은 대공혐의점 여부를 떠나 한미동맹을 강조하는 비공개 행사에서 불법촬영이 이뤄진 만큼, 이번 사건이 외교적 사안으로 번질 우려가 크다고 말합니다.
또 최근 냉랭해진 한중 관계에도 영향을 미칠 수 있다는 분석입니다.
{최기일/상지대학교 군사학과 교수/"지금 국제정치도 좀 첨예하게 갈린 굉장한 민감한 상황이기 때문에 지금 한중 간의 외교관계가 살얼음판이다 보니까 이게 민감한거죠. 또 한미동맹 관계에서도 보자면 사실 이거는 또 우리가 가볍게 넘길 일은 아니거든요."}
한편 경찰은 중국인 유학생 3명에 대한 수사를 조만간 마무리하고 검찰에 사건을 넘길 예정입니다.
KNN 황보 람입니다.
이번 불법촬영을 조사하는 경찰과 국정원, 군 합동조사단은 중국인 유학생들의 대공혐의점은 없는 것으로 우선 판단하고 있습니다.
하지만 대공혐의점 여부를 떠나 한미동맹을 강조하는 대통령 참석 비공개 행사에서 불법촬영이 이뤄졌다는 것 자체만으로도, 외교 문제로 비화할 수 있다는 우려가 나옵니다.
황보 람 기자가 단독보도 이어갑니다.
<기자>
해군작전사령부 기지와 루즈벨트함을 불법촬영한 중국인 유학생 3명은 현장을 순찰하던 육군 대위에게
적발됐습니다.
중국인 유학생 3명은 모두 석*박사 과정을 밟고 있는 대학원생으로, 직접 드론 촬영을 했던 40대 중국인은 9년 동안 한국과 중국을 오간 것으로 파악됐습니다.
또 6.25 한미 연합행사 이틀 전에도 같은 현장을 찾아 불법촬영을 한 것으로 드러났습니다.
"불법촬영 적발 당시, 경찰과 국정원, 군은 현장에서 곧바로 합동조사단을 꾸려 조사에 나섰는데, 합동조사단은 여기서 대공혐의점은 없는 것으로 우선 판단했습니다."
이후 경찰은 촬영에 쓰인 드론과 휴대폰에 대한 포렌식 조사 등에 나섰습니다.
촬영본 가운데는 군사기밀보호법 위반 소지가 있는 불법 촬영물 3건 정도가 확인됐습니다.
다만, 촬영본을 어딘가 보내거나 한 흔적은 없는 것으로 파악됐습니다.
전문가들은 대공혐의점 여부를 떠나 한미동맹을 강조하는 비공개 행사에서 불법촬영이 이뤄진 만큼, 이번 사건이 외교적 사안으로 번질 우려가 크다고 말합니다.
또 최근 냉랭해진 한중 관계에도 영향을 미칠 수 있다는 분석입니다.
{최기일/상지대학교 군사학과 교수/"지금 국제정치도 좀 첨예하게 갈린 굉장한 민감한 상황이기 때문에 지금 한중 간의 외교관계가 살얼음판이다 보니까 이게 민감한거죠. 또 한미동맹 관계에서도 보자면 사실 이거는 또 우리가 가볍게 넘길 일은 아니거든요."}
한편 경찰은 중국인 유학생 3명에 대한 수사를 조만간 마무리하고 검찰에 사건을 넘길 예정입니다.
KNN 황보 람입니다.
KNN 뉴스는 24시간 여러분의 제보를 기다립니다.
▷ 전화
부산 051-850-9000
경남 055-283-0505
▷ 이메일 jebo@knn.co.kr
▷ knn 홈페이지/앱 접속, 시청자 제보 누르기
▷ 카카오톡 친구찾기 @knn
▷ 전화
부산 051-850-9000
경남 055-283-0505
▷ 이메일 jebo@knn.co.kr
▷ knn 홈페이지/앱 접속, 시청자 제보 누르기
▷ 카카오톡 친구찾기 @knn

황보람 기자
lhwangbo@knn.co.kr
많이 본 뉴스
주요뉴스
-
'고사위기' 지역대학과 산업의 생존 전략은?2025.07.10
-
금어기 해제, 문어잡이 시작2025.07.09
-
도심 심야 만취 차량 질주 아찔한 현장2025.07.09
-
[단독]애견유치원서 소형견은 죽고 대형견은 학대2025.07.09
-
수박 한통 선풍기 한 대 값2025.07.09
-
[동행]'산 타고 골목 누비고' 폭염 속 배달노동자의 하루는?2025.07.09
-
기록적 폭염에 폐사 급증 가축농가 비상2025.07.08
-
[단독]사건현장 철수하다 권총 오발2025.07.08
-
루게릭병 환자에게 쓸 '근육키우는 스테로이드' 불법 유통2025.07.08
-
정가표정-현대건설, 정치권 접촉하며 취재는 거부 '눈살'2025.07.0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