교육
스스로 학습 '찾아가는 AI 교육' 인기
이태훈
입력 : 2024.07.11 20:51
조회수 : 1130
0
0
<앵커>
대도시와 달리 농촌 지역 학생들은 평소 인공지능 기술에 대한 교육을 접하기 어려운데요.
농촌 학생들을 대상으로 하는 '찾아가는 AI 교육'이 좋은 반응을 얻고 있습니다.
이태훈 기자가 취재했습니다.
<기자>
학생들이 로봇 스스로 자율주행을 할 수 있도록 프로그램을 만듭니다.
장애물과의 거리나 각도 등을 입력하면 로봇이 장애물을 피해 주행하는 원리입니다.
평소 접하기 어려운 인공지능 기술을 실제로 체험하면서 학생들은 자연스럽게 특별 수업에 집중합니다.
{이진호/진주 지수중 3학년/무인자동차 엔지니어가 제 꿈이기도 한데 확실히 그때도 코딩을 하면서 해야되니까 좀 더 이 수업의 코딩이 도움이 된 것 같아요. 제 장래희망에..."}
이번에는 손동작에 따라 로봇이 움직입니다.
손동작에 맞춰 로봇이 수행할 움직임을 프로그래밍한 것입니다.
이 교육은 LG연암문화재단이 올해부터 본격 시작한 '찾아가는 AI 교육'입니다.
{이은정/LG연암문화재단 교육사업팀/"인공지능 교육이 어렵거나 다루기 힘든 기술이 아니라 실제로 내 삶 가까이에 있는 기술임을 학생들이 인식했으면 좋겠고요."}
'찾아가는 AI 교육' 두번 째 학교인 지수중학교는 1970년 개교해 지금은 전교생이 10여명 뿐인 작은 학교입니다.
학교 인근에는 LG 창업주인 구인회 회장의 고향마을이 있어 지수중학교 역시 LG그룹과 인연이 깊습니다.
{조재원/진주 지수중 교장/"(LG 2대 회장) 구자경 회장께서 이 (중학교) 부지를 기증해주셨다는 기록이 남아 있어서 LG와 인연이 있구나 이렇게 느꼈습니다."}
LG연암문화재단은 창녕 등 농촌 지역 학교를 대상으로 '찾아가는 AI교육'을 계속 확대해 나갈 계획입니다.
KNN 이태훈입니다.
대도시와 달리 농촌 지역 학생들은 평소 인공지능 기술에 대한 교육을 접하기 어려운데요.
농촌 학생들을 대상으로 하는 '찾아가는 AI 교육'이 좋은 반응을 얻고 있습니다.
이태훈 기자가 취재했습니다.
<기자>
학생들이 로봇 스스로 자율주행을 할 수 있도록 프로그램을 만듭니다.
장애물과의 거리나 각도 등을 입력하면 로봇이 장애물을 피해 주행하는 원리입니다.
평소 접하기 어려운 인공지능 기술을 실제로 체험하면서 학생들은 자연스럽게 특별 수업에 집중합니다.
{이진호/진주 지수중 3학년/무인자동차 엔지니어가 제 꿈이기도 한데 확실히 그때도 코딩을 하면서 해야되니까 좀 더 이 수업의 코딩이 도움이 된 것 같아요. 제 장래희망에..."}
이번에는 손동작에 따라 로봇이 움직입니다.
손동작에 맞춰 로봇이 수행할 움직임을 프로그래밍한 것입니다.
이 교육은 LG연암문화재단이 올해부터 본격 시작한 '찾아가는 AI 교육'입니다.
{이은정/LG연암문화재단 교육사업팀/"인공지능 교육이 어렵거나 다루기 힘든 기술이 아니라 실제로 내 삶 가까이에 있는 기술임을 학생들이 인식했으면 좋겠고요."}
'찾아가는 AI 교육' 두번 째 학교인 지수중학교는 1970년 개교해 지금은 전교생이 10여명 뿐인 작은 학교입니다.
학교 인근에는 LG 창업주인 구인회 회장의 고향마을이 있어 지수중학교 역시 LG그룹과 인연이 깊습니다.
{조재원/진주 지수중 교장/"(LG 2대 회장) 구자경 회장께서 이 (중학교) 부지를 기증해주셨다는 기록이 남아 있어서 LG와 인연이 있구나 이렇게 느꼈습니다."}
LG연암문화재단은 창녕 등 농촌 지역 학교를 대상으로 '찾아가는 AI교육'을 계속 확대해 나갈 계획입니다.
KNN 이태훈입니다.
KNN 뉴스는 24시간 여러분의 제보를 기다립니다.
▷ 전화
부산 051-850-9000
경남 055-283-0505
▷ 이메일 jebo@knn.co.kr
▷ knn 홈페이지/앱 접속, 시청자 제보 누르기
▷ 카카오톡 친구찾기 @knn
▷ 전화
부산 051-850-9000
경남 055-283-0505
▷ 이메일 jebo@knn.co.kr
▷ knn 홈페이지/앱 접속, 시청자 제보 누르기
▷ 카카오톡 친구찾기 @knn

이태훈 기자
lth4101@knn.co.kr
많이 본 뉴스
주요뉴스
-
제주항공, 지상조업에서도 또 사망사고2025.02.21
-
[단독]부산역 승강장 꺼짐 현상, 지하차도 공사 탓?2025.02.21
-
오시리아 문화예술타운 2개 소송 승소2025.02.21
-
부산경남 프로축구, "올해는 다르다!"2025.02.21
-
반얀트리, 커지는 '엉터리 사용 승인' 의혹2025.02.20
-
[단독]부산 생태하천 30년, 실제 개선효과는 '미지수'2025.02.20
-
[단독]향토기업 트렉스타, 경영난에 건물 매각까지2025.02.20
-
벼 재배면적 감축에 뿔난 농심... 공무원도 반발2025.02.20
-
숙원사업 '경부선 지하화' 해결... 지역 기대감2025.02.19
-
4월 반얀트리 개장, 2월 사용 서두르다 참변2025.02.1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