교육
통합 대신 '연합'! 부경대-한국해양대, 글로컬대 가능하나?
김건형
입력 : 2024.03.05 19:02
조회수 : 1630
0
0
<앵커>
통합 논의가 촉발됐던 국립부경대와 국립한국해양대가 통합 대신 '연합대학' 모델을 택했습니다.
하지만 통합이 전제되지 않은 국립대간 연합은 전례가 없어 정부의 글로컬대 지정을 받기엔 넘어야할 산이 많아 보입니다.
김건형 기자입니다.
<기자>
5년간 1천억원의 정부 지원을 받게 되는 '글로컬대 30'사업!
지난해 첫 지정된 10건 가운데 4건이 부산대-부산교대처럼 통합을 내세운 국*공립대였습니다.
때문에 창원대와 경남도립대 등 올해 신청을 준비하는 국*공립대들 다수 역시 통합계획을 밝히고 있습니다.
이제 관심사는 지역의 남은 국립대 두 곳인 부경대와 한국해양대,
실제 국내 최대 해양수산 특성화 대학이란 청사진을 매개로 지난해 통합 논의가 수면 위로 떠올랐습니다.
그런데 두 대학은 당장 통합까지 나아가진 않기로 했습니다.
통합이 아닌 연합대학 형태로 글로컬대 사업에 공동신청합니다.
연합단과대학과 대학원 공동 설립 등을 골자로 한 양해각서를 맺었습니다.
최근 한국해양대 총장이 바뀌면서 통합에 대한 기조가 크게 달라진게 결정적이었습니다.
{류동근/국립한국해양대 총장/"하나로 그냥 갑자기 통합하게 되면 거기서 나타나는 부작용도 있을 수 있습니다. 그래서 그런 부작용을 사전에 제거할 수 있는 방법이 서로 연합형태로 시너지 효과를 만들어 내고.."}
그만큼 통합까지 나아가지 못한데 대해 부경대측은 아쉬움을 숨기지 않습니다.
{장영수/국립부경대 총장/"통합을 논의하기에는 시간적으로 부족함이 많았다는 아쉬움이 있습니다, 솔직하게..(그럼에도 연합대학으로도) 성과가 난다면 저희들은 통합 이상의 효과를 볼 수 있는 프로그램을 만들겠다."}
너도나도 통합을 내세우는 가운데 연합모델로 글로컬대 지정을 받는 것은 어렵다는 관측이 지배적입니다.
올해 처음 생긴 연합대학 부문은 재단이 달라 통합이 어려운 사립대간 구조조정이나 국립대와 사립대간 협력을 염두에 둔 모델로 읽히기 때문입니다.
KNN 김건형입니다.
통합 논의가 촉발됐던 국립부경대와 국립한국해양대가 통합 대신 '연합대학' 모델을 택했습니다.
하지만 통합이 전제되지 않은 국립대간 연합은 전례가 없어 정부의 글로컬대 지정을 받기엔 넘어야할 산이 많아 보입니다.
김건형 기자입니다.
<기자>
5년간 1천억원의 정부 지원을 받게 되는 '글로컬대 30'사업!
지난해 첫 지정된 10건 가운데 4건이 부산대-부산교대처럼 통합을 내세운 국*공립대였습니다.
때문에 창원대와 경남도립대 등 올해 신청을 준비하는 국*공립대들 다수 역시 통합계획을 밝히고 있습니다.
이제 관심사는 지역의 남은 국립대 두 곳인 부경대와 한국해양대,
실제 국내 최대 해양수산 특성화 대학이란 청사진을 매개로 지난해 통합 논의가 수면 위로 떠올랐습니다.
그런데 두 대학은 당장 통합까지 나아가진 않기로 했습니다.
통합이 아닌 연합대학 형태로 글로컬대 사업에 공동신청합니다.
연합단과대학과 대학원 공동 설립 등을 골자로 한 양해각서를 맺었습니다.
최근 한국해양대 총장이 바뀌면서 통합에 대한 기조가 크게 달라진게 결정적이었습니다.
{류동근/국립한국해양대 총장/"하나로 그냥 갑자기 통합하게 되면 거기서 나타나는 부작용도 있을 수 있습니다. 그래서 그런 부작용을 사전에 제거할 수 있는 방법이 서로 연합형태로 시너지 효과를 만들어 내고.."}
그만큼 통합까지 나아가지 못한데 대해 부경대측은 아쉬움을 숨기지 않습니다.
{장영수/국립부경대 총장/"통합을 논의하기에는 시간적으로 부족함이 많았다는 아쉬움이 있습니다, 솔직하게..(그럼에도 연합대학으로도) 성과가 난다면 저희들은 통합 이상의 효과를 볼 수 있는 프로그램을 만들겠다."}
너도나도 통합을 내세우는 가운데 연합모델로 글로컬대 지정을 받는 것은 어렵다는 관측이 지배적입니다.
올해 처음 생긴 연합대학 부문은 재단이 달라 통합이 어려운 사립대간 구조조정이나 국립대와 사립대간 협력을 염두에 둔 모델로 읽히기 때문입니다.
KNN 김건형입니다.
KNN 뉴스는 24시간 여러분의 제보를 기다립니다.
▷ 전화
부산 051-850-9000
경남 055-283-0505
▷ 이메일 jebo@knn.co.kr
▷ knn 홈페이지/앱 접속, 시청자 제보 누르기
▷ 카카오톡 친구찾기 @knn
▷ 전화
부산 051-850-9000
경남 055-283-0505
▷ 이메일 jebo@knn.co.kr
▷ knn 홈페이지/앱 접속, 시청자 제보 누르기
▷ 카카오톡 친구찾기 @knn

김건형 기자
kgh@knn.co.kr
많이 본 뉴스
주요뉴스
-
[단독]학교에서 성추행 도주, 5개월째 못잡는 경찰2025.04.29
-
[단독]'유령 법률사무소' 홈페이지 올려 상담료 사기2025.04.29
-
"추가 1조 원에 시간도 2년 더 달라고?"2025.04.29
-
정권교체기 공공기관 사장 인선 '알박기' 논란2025.04.29
-
SKT 유심 '해킹 포비아' 현장은 대혼란2025.04.28
-
가덕도신공항 2029년 조기 개항 차질?2025.04.28
-
부산 도시철도 '위챗페이' 도입으로 관광 활성화2025.04.28
-
거제*남해 민생지원금, 줘도 문제 안줘도 문제2025.04.28
-
안철수 후보 부산에서 지지 호소2025.04.27
-
경남모금회 산불피해 성금 55억 원 넘어서2025.04.2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