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OP
건강

[건강365]-뻑뻑하고 시린 눈, '기름샘' 살피세요

이아영 입력 : 2024.01.15 10:46
조회수 : 1403
<앵커>
안구건조증이 심해서 인공눈물을 필수품처럼 가지고 다니는 분들이 많습니다.

몇 번 넣어도 금세 눈이 마르고 시리다면 치료가 필요한 중증일 수 있는데요.

눈 기름샘에서 해결책을 찾아봅니다.

건강365입니다.

<리포트>
안구건조증은 애초에 눈물이 적게 만들어지는 게 원인일 수도 있지만, 대부분은 눈물이 빨리 말라서 발생합니다.

겨울철에는 이런 이유들이 있겠죠.

<출연자>
(김병선 그랜드BS안과 대표원장 / 경상대학교병원 조교수, 대한안과학회 정회원 )

{안구건조증은 계절에 상관없이 발생하지만 겨울에 많이 발생합니다.

겨울에는 실내 난방기를 사용하고 실내 습도가 낮아 안구 표면의 눈물이 빨리 증발하여 건조증이 심하게 나타날 수 있습니다.

주 증상으로는 뻑뻑함, 충혈, 눈 시림, 이물감, 눈 피로 등의 증상이 있을 수 있습니다. }

눈이 건조하고 뻑뻑한 느낌은 직장인도 학생도 흔히 갖고 있는 증상입니다.

하지만 오래 방치하면 시력에도 영향을 줄 수 있습니다.

<출연자>
{눈물 분비 감소가 있다면 히알루론산 나트륨 성분의 인공 눈물을 사용해 눈물을 보충해 주면 되지만, 눈물이 빠르게 증발하고 마르는 경우는 눈물층을 개선해 주는 치료가 필요합니다. }

속눈썹 아래에는 마이봄샘이라고 하는 기름샘이 있는데요.

여기에 염증이나 이상이 생기면 안구건조증이 더 심해집니다.

<출연자>
{인공눈물을 사용해도 효과가 없고 지속적으로 안구 건조로 인해 불편한 증상이 있다면 눈물이 쉽게 증발하는 안구건조증일 가능성이 높습니다.

특히 눈꺼풀 테의 마이봄샘이라고 하는 기름샘 장애로 인하여 눈물층을 구성하는 지방이 부족하여 눈물이 쉽게 증발합니다. }

단지 눈물이 부족한 경우라면 인공눈물을 틈틈이 보충하면 되지만, 증발형 건조증은 보다 전문적인 치료가 도움이 될 수 있습니다.

<출연자>
(김병선 / 그랜드BS안과 대표원장 )

{우선 눈물막 파괴 검사를 통하여 눈물이 얼마나 빠르게 마르는지, 눈물샘 기능은 어느 정도 되는지 마이봄샘 구조를 정확하게 파악하고 안구건조증 원인에 대한 진단을 정확하게 한 뒤 인공 눈물 농도, 횟수 등을 결정하고 안구건조증 치료 안약을 처방할 수 있습니다.

또한 마이봄샘 기능이 떨어져 있다면 IPL 레이저를 통하여 혈관을 부드럽게 하고 피지 성분을 녹여 눈물막의 지방층을 다시 회복시킬 수 있습니다. }

건조한 겨울철 실내 습도는 60% 정도로 유지하는 게 좋습니다.

눈에 좋은 오메가 3와 비타민A가 많은 채소를 챙겨 먹는 것도 안구건조증 완화에 도움이 될 수 있습니다.

건강365였습니다.
KNN 뉴스는 24시간 여러분의 제보를 기다립니다.

▷ 전화
부산 051-850-9000
경남 055-283-0505
▷ 이메일 jebo@knn.co.kr
▷ knn 홈페이지/앱 접속, 시청자 제보 누르기
▷ 카카오톡 친구찾기 @knn
저작권자 © 부산경남대표방송 KNN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사이트맵