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회
지방소멸기금이 단체장 공약*관광 사업용?
최혁규
입력 : 2023.11.17 19:52
조회수 : 785
0
0
<앵커>
인구 감소에 대응하기 위해 정부가 오는 2031년까지 지자체에 매년 지방소멸대응기금 1조원을 지원하고 있는데요,
그런데 이 지방소멸대응기금이 구청장 공약사업과 관광사업에 치중돼 있는 것으로 드러났습니다.
최혁규 기자가 취재했습니다.
<기자>
부산 서구가 국제적인 해양관광 명소로 개발하겠다고 선언한 송도해수욕장입니다.
이곳 기존 임해행정봉사실에 관광시설통합관리 센터등 해양문화 복합 플랫폼을 만들 예정입니다.
"내년까지 45억원이 투입될 관광사업인데, 문제는 서구가 사업비 대부분을 지방소멸대응기금에서 사용했다는 점입니다."
이 외에도 내년에 의료와 관광을 결합한 메디투어리즘 사업에 기금 27억 원을 투입했습니다.
두 사업 모두 현 부산 서구청장의 핵심 공약사업입니다.
{허종민 부산 서구 기획계장/"유동인구도 떨어지면 지역 상권이 많이 위축됩니다. 그런데 그걸 회복하기 위해선 관광객이나 방문객을 유치하는 것으로 소비 감소 그리고 상권 위축을 어느 정도 회복할 수 있다.}
부산 영도구도 복화문화공간인 '문화로 빛센터'조성에 역시 지방소멸대응기금 58억원을 투입하기로 했습니다.
지방소멸 위기가 가장 시급한 부산지역 5개 구군에 내년에 배정된 기금 228억 원 가운데 상당수가 관광과 구청장 공약 사업에 투입되고 있는 것입니다.
구군이 기존에 추진하는 사업에 똑같이 기금을 투입하는 것도 문제로 꼽힙니다.
지난 2년 동안 기금으로 부산 구군에 전체 21개 사업이 추진됐는데, 이 가운데 내년 9개 사업에 똑같이 기금이 투입됩니다.
{관련전문가/"인구감소지역에서 우선은 (인구감소 대응책) 수립이 돼야 되고, 그것을 기반으로 해서 부산광역시가 수립을 해야 되고 국가로 올려줘야 되는 상황인데, 그게 6개월도 안되는 상황으로 행안부에서 제시를 하다보니 (적절한 대책을 마련하기 어려워).}
지방소멸기금이 인구 증가에 대한 지속적인 대안 마련 등 깊은 고민 없이 생색내기 사업에 그칠 우려가 크다는 지적입니다.
KNN 최혁규입니다.
인구 감소에 대응하기 위해 정부가 오는 2031년까지 지자체에 매년 지방소멸대응기금 1조원을 지원하고 있는데요,
그런데 이 지방소멸대응기금이 구청장 공약사업과 관광사업에 치중돼 있는 것으로 드러났습니다.
최혁규 기자가 취재했습니다.
<기자>
부산 서구가 국제적인 해양관광 명소로 개발하겠다고 선언한 송도해수욕장입니다.
이곳 기존 임해행정봉사실에 관광시설통합관리 센터등 해양문화 복합 플랫폼을 만들 예정입니다.
"내년까지 45억원이 투입될 관광사업인데, 문제는 서구가 사업비 대부분을 지방소멸대응기금에서 사용했다는 점입니다."
이 외에도 내년에 의료와 관광을 결합한 메디투어리즘 사업에 기금 27억 원을 투입했습니다.
두 사업 모두 현 부산 서구청장의 핵심 공약사업입니다.
{허종민 부산 서구 기획계장/"유동인구도 떨어지면 지역 상권이 많이 위축됩니다. 그런데 그걸 회복하기 위해선 관광객이나 방문객을 유치하는 것으로 소비 감소 그리고 상권 위축을 어느 정도 회복할 수 있다.}
부산 영도구도 복화문화공간인 '문화로 빛센터'조성에 역시 지방소멸대응기금 58억원을 투입하기로 했습니다.
지방소멸 위기가 가장 시급한 부산지역 5개 구군에 내년에 배정된 기금 228억 원 가운데 상당수가 관광과 구청장 공약 사업에 투입되고 있는 것입니다.
구군이 기존에 추진하는 사업에 똑같이 기금을 투입하는 것도 문제로 꼽힙니다.
지난 2년 동안 기금으로 부산 구군에 전체 21개 사업이 추진됐는데, 이 가운데 내년 9개 사업에 똑같이 기금이 투입됩니다.
{관련전문가/"인구감소지역에서 우선은 (인구감소 대응책) 수립이 돼야 되고, 그것을 기반으로 해서 부산광역시가 수립을 해야 되고 국가로 올려줘야 되는 상황인데, 그게 6개월도 안되는 상황으로 행안부에서 제시를 하다보니 (적절한 대책을 마련하기 어려워).}
지방소멸기금이 인구 증가에 대한 지속적인 대안 마련 등 깊은 고민 없이 생색내기 사업에 그칠 우려가 크다는 지적입니다.
KNN 최혁규입니다.
KNN 뉴스는 24시간 여러분의 제보를 기다립니다.
▷ 전화
부산 051-850-9000
경남 055-283-0505
▷ 이메일 jebo@knn.co.kr
▷ knn 홈페이지/앱 접속, 시청자 제보 누르기
▷ 카카오톡 친구찾기 @knn
▷ 전화
부산 051-850-9000
경남 055-283-0505
▷ 이메일 jebo@knn.co.kr
▷ knn 홈페이지/앱 접속, 시청자 제보 누르기
▷ 카카오톡 친구찾기 @knn

최혁규 기자
chg@knn.co.kr
많이 본 뉴스
주요뉴스
-
<단독> 하루 행사에 1억 3천만 원...수상한 수의계약2025.05.07
-
<현장> '제2의 잼버리 사태' 황금연휴 망친 민폐 라면축제2025.05.07
-
현대건설 배짱...나쁜 선례 만드는데 손놓은 부산시2025.05.07
-
부산도시철도망 계획안 공개..또 희망고문?2025.05.07
-
NC파크 올해 재개장 물건너가 지역경제 타격2025.05.07
-
관광 회복 기대했지만...지역별 온도차에 '아쉬움'2025.05.06
-
공공기여 약속 29층이 25층으로...슬그머니 축소?2025.05.06
-
'공정성 논란' 섬 특성화사업, 사업 차질 우려2025.05.06
-
"민간개발 이익 환원은 해당지역에 우선" 조례 제정2025.05.06
-
부처님 오신 날 봉축법요식... 어린이 날 행사도2025.05.0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