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OP

기사모아보기

최혁규기자
 최혁규 기자
""

2명 숨진 시내버스 사고... 원인은 '운전자 과실'

<앵커> 지난 8월 부산 도심에서 시내버스가 횡단보도를 덮쳐 행인 2명이 숨지는 사고가 발생했는데요. 경찰 조사 결과, 사고 당시 운전자가 제동페달 대신 가속페달을 밟았던 것으로 확인됐습니다. 고령의 촉탁직 운전자가 낸 사고인 만큼, 대책마련도 시급합니다. 최혁규 기자입니다. <기자> 횡단보도 신호에 맞춰 보행자들이 길을 건너고, 곧이어 시내버스가 횡단보도를 덮칩니다. 보행자를 덮친 버스는 오토바이를 치고 나서야 멈춰섰습니다. 사고로 보행자 2명이 숨졌습니다. 버스운전자 67살 A씨는 사고 직후 제동장치 고장 등 차량결함을 주장했는데, 국과수 감정 결과, 제동장치 기능에는 문제가 없었고, A씨의 실수가 원인인 것으로 조사됐습니다. {한성민/부산진경찰서 교통사고조사2팀장/"국과수 감정 결과, CCTV 영상, 디지털 운행기록계 종합해서 검토한 결과는 제동 장치를 밟지 않고 가속 페달을 밟은거죠."} "경찰 조사 결과, 버스 운전자는 이곳 횡단보도에서 두차례 사고를 낸 직후 브레이크 페달을 밟은 것으로 확인됐습니다." A씨는 퇴직 뒤 촉탁직으로 5년 가까이운전을 해온 고령운전자였습니다. 사고 원인에 운전자 과실이 컸던 만큼, 고령 운전자 촉탁직 재고용 관행에 대한 비판의 목소리가 나옵니다. {전광재/민주버스본부 부산지부장/"아무래도 젊은 사람들보다 반응이나 여러가지 신체적인 조건에서 불리하기 때문에 촉탁고령자가 계속 다중의 시내버스를 운송하게 하는 행위는 분명히 문제있고 근절되어야 합니다."} "부산시는 버스조합 측에 촉탁직과 관련된 관리 강화를 권고하겠다고는 했지만, 운전자 채용 권한과 책임은 사업자에 있다며, 구체적 대안은 내놓지 않았습니다." 경찰은 A씨가 피해자와 합의한 점 등을 고려해, A씨를 불구속 송치했다고 밝혔습니다. KNN 최혁규입니다. 영상취재 오원석 영상편집 박서아
2025.10.16

부산 아난티 앞바다 오염 심각..총대장균군 '주변 300배'

<앵커> 부산 기장군 아난티 리조트에서 발생한 오수가 인근 바다로 버려졌다는 소식, 여러차례 전해드렸습니다. 보도 이후 부산보건환경연구원이 아난티 앞바다 동암항에 대한 수질 조사를 진행했는데, 조사 결과 총대장균군이 기준치가 넘는 것은 물론 인접 바다에 비해 최대 300배에 이르는 것으로 확인됐습니다 첫 소식, 최혁규 기자입니다. <기자> 부산 오시리아 관광단지 아난티 리조트에서 발생한 오수가 동암항에 버려졌다는 보도가 나간 이후, 부산보건환경연구원이 처음으로 일대 바다에 대한 수질조사에 나섰습니다. 결과는 어땠을까. "수질검사 결과 이곳 동암항 부둣가에서 검출된 총대장균군은 기준치의 2배가 넘는 것으로 확인됐습니다." 총대장균군은 배설물에 의한 오염 정도를 나타내는데, 섭취할 경우 복통과 설사를 유발합니다. "기장군 안에서 동암항과 가장 가까운 대변항 바다보다 300배에 이르는 것으로 나타났는데, 인구밀도가 낮고 공장이 많지않은 기장 일대는 별다른 육상오염 배출요인이 적다보니 충격적인 수치로 받아들여지고 있습니다" "생활하수로 인한 바다의 부영양화를 부를 수 있는, 총질소와 총인 수치 역시 부산연안 평균값보다 많게는 5배 가까이 높습니다." {박창근/가톨릭관동대 토목공학과 교수/"생활하수가 바로 바다로 유입된 것으로 지금 추정할 수 있겠네요. 충분히 적조 발생 가능한 수준입니다."} 일시적 오수유출이란 아난티와 관련 기관들의 해명이 무색해진 상황. {동암항 주민(지난 9월22일)/"호텔 생기고 난 뒤부터 (유출이) 계속된 거죠. 아난티 생기고..가지도 못했어요. 냄새가 나서."} 아난티는 오는 APEC 회의 기간 동안 친환경을 중시하는 CEO SUMMIT 공식 호텔로 지정돼기도 한 만큼, 대책 마련이 시급해 보입니다. KNN 최혁규입니다. 영상취재:권용국/영상편집:김유진
2025.10.10

<단독>도심에서 행인에게 칼부림... 멧돼지도 돌진

<앵커> 50대 여성이 알지도 못하는 행인에게 흉기를 휘두르는 사건이 부산에서 벌어졌습니다. 또 도심 주택가를 활보하던 멧돼지가 가게로 돌진하는 등 이번 추석 연휴에도 사건사고가 이어졌습니다. 최혁규 기자의 단독 보도입니다. <기자> 한 60대 남성이 쌀포대를 들고 걸어 갑니다. 마치 뒤쫓듯이 달려오는 한 여성, 손엔 흉기가 들려 있습니다. 그리고 남성을 향해 흉기를 휘두릅니다. 그나마 비명소리를 듣고 달려나온 이웃주민이 여성을 재빨리 제압했고, 출동한 경찰에 여성은 체포됐습니다. {동네주민/"샤워하고 있었는데 집사람이 빨리 내려가야 한다고, 사람 죽는다면서..(내려가보니까 여성이) 칼을 들고, 급하니까 내가 제압해서.."} 부산 덕포동 주택가에서 50대 여성 A씨의 칼부림이 벌어진 건 추석이었던 지난 6일 낮, A씨의 흉기에 남성은 어깨와 등을 다쳤지만 다행히 치명상을 입진 않았습니다. 경찰 조사 결과 A씨와 피해 남성은 일면식도 없는 사이였습니다. 이른바 '이상동기 범죄'에 주민들은 불안에 떨어야만 했습니다. {목격자/"(제압한) 아저씨한테 도 달려들어가지고, 제압하고 있는데 경찰이 와서 수갑을 바로 채웠죠."} "사건 현장입니다. 보시는 것처럼 주택가가 밀집한 지역이었는데, 평소 유동인구도 많은 지역이라 자칫 큰 사고로 이어질 뻔한 아찔한 상황이었습니다." 경찰은 A씨를 구속한 뒤 정확한 범행 경위를 조사하고 있습니다. 같은 날 저녁 부산 신평동 주택가, 도로를 가로지른 멧돼지가 안경점 유리창을 향해 그대로 돌진합니다. 충격으로 출입문과 유리창이 박살납니다. {목격자/"집에 있었는데 엄청 큰 소리가 나서 내려가보니까 창문이, 두꺼운 문이 깨져있었거든요."} 무려 3시간 가량 신평역 일대를 휘젓고 다닌 멧돼지는 결국 차와 부딪혀 숨졌습니다. 무게만 120kg에 달하는 수컷으로 인근 야산에서 내려온 것으로 추정됩니다. 또 지난 7일 새벽 부산 영도구의 한 노래방에서 난 불로 주인이 숨지고 6명이 병원으로 이송되는 등 이번 연휴에도 사건사고가 잇따랐습니다. KNN 최혁규입니다. 영상취재 황태철
2025.10.09
사이트맵