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OP
사건사고

[취재수첩] 학장천 실종 사고 이후 사상구 대책 마련

이태훈 입력 : 2023.08.01 08:58
조회수 : 976
<앵커>
한 주간의 취재 뒷 얘기나 주요 이슈 등을 짚어보는 취재수첩 시간입니다.

오늘은 박명선 기자 나와있습니다.

부산 사상구 학장천 실종자 수색작업이 3주째 계속되고 있습니다.

사상구의 재난 관리 시스템 문제가 도마에 올랐는데, 대책을 내놨다고요? 어떤 대책들이 있습니까?

<기자>
네, 당시 저희 취재진이 사고 현장을 둘러보고, 하천변 출입 통제 장치가 허술하기 짝이 없었다는 점을 집중 보도한 적이 있는데요

원격 진출입 통제가 가능한 온천천과 비교했을 때 너무 차이가 나고, 구명환 등 안전 장비도 없었다는 점을 지적했습니다.

사상구는 뒤늦게, 대책 마련에 나섰습니다.

실시간 재난알림 전광판을 설치하고 하천 주변 CCTV를 보강하기로 했습니다.

또 온천천처럼 원격 진출입 통제시스템을 구축하고, 구명환 등 안전 장비를 배치하겠다는 계획입니다.

특히 이번 사고때 하천변에 대피방송이 없었다는 점도 문제였습니다.

사상구에는 TTS라는 대피방송 시스템이 있는데요.

이 TTS가 뭐냐면, 대피 멘트를 입력하면 자동으로 방송이 나오게 되는 방식입니다.

온천천이 있는 동래구나 금정구도 이 시스템을 사용합니다.

사상구의 경우 부산시가 예산을 들여 지난 2015년 TTS 시스템을 구축했습니다.

사상구 공무원들은 2019년에는 실제 이 시스템을 써보고도, 이번에는 정작 어떻게 쓰는지 몰랐습니다.

그야말로 유명무실이었고, 사상구가 내놓은 대책 역시 사후약방문식이라는 비판이 커지고 있습니다.

<앵커>
다음은 후쿠시마 오염수 방류를 핑계로 수산물 수십톤을 납품만 받고 대름을 치르지 않고 잠적한 업체 관련 소식입니다. 어떤 내용입니까.

<기자>
네 저희 취재진에게 제보가 들어온 내용인데요.

지난달 초, 서울시 위탁기관인 중소유통물류센터의 팀장이라는 사람이 부산의 한 수산물 유통업체에 거래를 해보자고 제안했습니다.

그런데 갑자기 이달 초 센터 측은 20톤, 1억원 상당의 대규모 물량을 납품하라고 요구했습니다.

곧 일본 후쿠시마 원전 오염수가 방류되니, 그 전에 많은 물량을 미리 받아놔야한다는 것이었습니다.

하지만 물류센터 직원들은 대금은 치르지 않고, 물품만 받고 사라졌습니다.

부산 뿐만 아니라, 경남 창녕에서는 마늘 업체가, 통영에서도 수산물 업체가 이같은 피해를 입었습니다.

피해액은 6억원 상당이고, 전국적으로는 수십억 원에 이를 것으로 추정됩니다.

문제의 법인은 지난 2월, 서울시와 협약이 해지됐지만, 버젓이 물류센터 창고를 운영하는 척 속여 사기 행각을 벌였습니다.

현재 경찰이 수사에 착수한 가운데, 이들이 빼돌린 물품은 경기도의 한 냉동창고에 보관돼있는 것으로 확인됐습니다.

<앵커>
네, 마지막으로 부산대병원 파업 소식입니다. 노사 갈등으로 파업이 장기화될 조짐을 보이고 있습니다. 그리고 그 피해는 결국 환자들에게 돌아가고 있는데요. 자세한 소식 전해주시죠.

<기자>
네, 지난주 노조가 그동안 부산대병원에서 있었던 불법의료 증언대회까지 열면서 노사 갈등이 점점 격해지는 모양새입니다.

파업이 장기화되면서, 수술 일정을 잡지 못해 환자와 가족들은 노심초사하고 있습니다.

수술 일정이 한 달 정도 연기된 사례도 있고 이마저도 예정된 날에 수술을 할 수 있을지 장담할 수 없는 상황입니다.

특히 양산부산대병원은 소아암이나 희귀 난치병 등 중증 소아환자를 돌봐온 만큼, 부모들 걱정이 많습니다.

당장에 치료가 급한 아이들은 서울로 상경 진료를 떠나야할 처지입니다.

병원의 한 교수는 고래싸움에 애꿎은 새우등만 터지는 이 상황이 괴롭고 힘들다고 전했습니다.

이번 부산대병원 노사 갈등의 핵심은 비정규직의 정규직화인데요.

부산대병원 본원과 양산부산대병원의 정규직은 6천 7백명, 비정규직은 5백여명에 이릅니다.

이정도 인력 규모면, 정말 쉽지 않은 문제인데 이제는 부산시나 정부가 지역 의료 공백 문제를 심각하게 받아들이고, 중재에 나서고, 또 해결책을 제시해야할 때입니다.

노조나 병원 측 입장이 이해가 안되는 것은 아니지만, 결국 피해를 보는 것은 환자들이나 우리 아이들이라는 점 다시 한 번 생각해볼 필요가 있겠습니다.

<앵커>
네, 오늘 소식은 여기까지 듣겠습니다. 박명선 기자와 함께 했습니다.
KNN 뉴스는 24시간 여러분의 제보를 기다립니다.

▷ 전화
부산 051-850-9000
경남 055-283-0505
▷ 이메일 jebo@knn.co.kr
▷ knn 홈페이지/앱 접속, 시청자 제보 누르기
▷ 카카오톡 친구찾기 @knn
저작권자 © 부산경남대표방송 KNN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사이트맵