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
승학터널 추진 본격화....유료도로 10개 시대
표중규
입력 : 2023.06.01 19:18
조회수 : 1825
0
0
<앵커>
가덕신공항부터 부산 북항을 이을 승학터널이 본격 추진에 들어갑니다.
부산 발전의 큰 그림을 위해 반드시 필요하기는 한데, 유료도로 10개 시대를 맞아야하는 시민들 표정이 마냥 밝을 수는 없습니다.
표중규 기자가 보도합니다.
<기자>
부산 승학터널 건설을 위한 민간투자 실시협약이 체결됐습니다.
현대건설을 중심으로 11개사가 참여하는데 오는 2029년 개통 계획입니다.
{윤영준/현대건설 사장(시행사 대표)/부산엑스포, 가덕신공항과 연계되는 서부산의 가장 빠르고 안전한 핵심 간선로가 될 수 있도록 현대건설의 첨단기술력과 시공력을 모두 발휘해서 최선을 다하겠습니다.}
북항에서 엄궁대교까지를 잇게 되는 7.69km의 4차로 규모로 5천억원이 투입됩니다.
북항에서 가덕신공항까지 1시간에서 40분으로 20분을 줄여 엑스포, 신공항의 성패와 직결되는 도로망입니다.
{박형준/부산시장/저희로서는 2030 엑스포 유치가 된 후에, 엑스포 이전에 이 도로가 완공이 돼서 부산의 전체교통이 원활해지는 좋은 계기가 될 것 같습니다.}
하지만 승학터널 역시 승용차 기준 1,500원씩 내야하는 유료도로입니다.
현재 부산의 유료도로는 8개입니다.
센텀과 만덕을 잇는 대심도가 내년 개통하면 9개,승학터널까지 개통하면 유료도로 10개 시대가 열립니다.
현재 요금에 이 2개까지 더하면 승용차 기준으로 단순 통행료만 2만천원이 넘게 됩니다.
그 사이 백양과 수정산터널, 광안대교는 징수기간이 끝나지만 무료화된다는 보장은 없습니다.
유지보수 비용을 이용자가 부담한다면 통행료를 징수할 가능성이 높습니다.
여기에 반송터널이나 사상~해운대 고속도로 등 대부분의 부산지역 교통 해법에 유료도로가 포함됩니다.
{도한영/부산 경제정의실천시민연합 사무처장/부산시가 재원이 없다고만 말하지 말고 B/C(비용 대비 편익) 분석 등 여러가지 효과들이 발생하는 사업들이라면 적극적으로 참여하고 투입하는게 맞지않나 보여집니다}
가덕신공항과 북항을 이을 동맥마저 시민 주머니돈으로 연결한다는 비판속에 동남권 교통망 확충이라는 숙제를 풀어가야할 부산시의 부담도 커지고 있습니다.
KNN 표중규입니다.
가덕신공항부터 부산 북항을 이을 승학터널이 본격 추진에 들어갑니다.
부산 발전의 큰 그림을 위해 반드시 필요하기는 한데, 유료도로 10개 시대를 맞아야하는 시민들 표정이 마냥 밝을 수는 없습니다.
표중규 기자가 보도합니다.
<기자>
부산 승학터널 건설을 위한 민간투자 실시협약이 체결됐습니다.
현대건설을 중심으로 11개사가 참여하는데 오는 2029년 개통 계획입니다.
{윤영준/현대건설 사장(시행사 대표)/부산엑스포, 가덕신공항과 연계되는 서부산의 가장 빠르고 안전한 핵심 간선로가 될 수 있도록 현대건설의 첨단기술력과 시공력을 모두 발휘해서 최선을 다하겠습니다.}
북항에서 엄궁대교까지를 잇게 되는 7.69km의 4차로 규모로 5천억원이 투입됩니다.
북항에서 가덕신공항까지 1시간에서 40분으로 20분을 줄여 엑스포, 신공항의 성패와 직결되는 도로망입니다.
{박형준/부산시장/저희로서는 2030 엑스포 유치가 된 후에, 엑스포 이전에 이 도로가 완공이 돼서 부산의 전체교통이 원활해지는 좋은 계기가 될 것 같습니다.}
하지만 승학터널 역시 승용차 기준 1,500원씩 내야하는 유료도로입니다.
현재 부산의 유료도로는 8개입니다.
센텀과 만덕을 잇는 대심도가 내년 개통하면 9개,승학터널까지 개통하면 유료도로 10개 시대가 열립니다.
현재 요금에 이 2개까지 더하면 승용차 기준으로 단순 통행료만 2만천원이 넘게 됩니다.
그 사이 백양과 수정산터널, 광안대교는 징수기간이 끝나지만 무료화된다는 보장은 없습니다.
유지보수 비용을 이용자가 부담한다면 통행료를 징수할 가능성이 높습니다.
여기에 반송터널이나 사상~해운대 고속도로 등 대부분의 부산지역 교통 해법에 유료도로가 포함됩니다.
{도한영/부산 경제정의실천시민연합 사무처장/부산시가 재원이 없다고만 말하지 말고 B/C(비용 대비 편익) 분석 등 여러가지 효과들이 발생하는 사업들이라면 적극적으로 참여하고 투입하는게 맞지않나 보여집니다}
가덕신공항과 북항을 이을 동맥마저 시민 주머니돈으로 연결한다는 비판속에 동남권 교통망 확충이라는 숙제를 풀어가야할 부산시의 부담도 커지고 있습니다.
KNN 표중규입니다.
KNN 뉴스는 24시간 여러분의 제보를 기다립니다.
▷ 전화
부산 051-850-9000
경남 055-283-0505
▷ 이메일 jebo@knn.co.kr
▷ knn 홈페이지/앱 접속, 시청자 제보 누르기
▷ 카카오톡 친구찾기 @knn
▷ 전화
부산 051-850-9000
경남 055-283-0505
▷ 이메일 jebo@knn.co.kr
▷ knn 홈페이지/앱 접속, 시청자 제보 누르기
▷ 카카오톡 친구찾기 @knn

표중규 기자
pyowill@knn.co.kr
많이 본 뉴스
주요뉴스
-
'고사위기' 지역대학과 산업의 생존 전략은?2025.07.10
-
금어기 해제, 문어잡이 시작2025.07.09
-
도심 심야 만취 차량 질주 아찔한 현장2025.07.09
-
[단독]애견유치원서 소형견은 죽고 대형견은 학대2025.07.09
-
수박 한통 선풍기 한 대 값2025.07.09
-
[동행]'산 타고 골목 누비고' 폭염 속 배달노동자의 하루는?2025.07.09
-
기록적 폭염에 폐사 급증 가축농가 비상2025.07.08
-
[단독]사건현장 철수하다 권총 오발2025.07.08
-
루게릭병 환자에게 쓸 '근육키우는 스테로이드' 불법 유통2025.07.08
-
정가표정-현대건설, 정치권 접촉하며 취재는 거부 '눈살'2025.07.0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