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회
교정 점령한 일제 향나무
강소라
입력 : 2019.02.24 19:38
조회수 : 428
0
0
{앵커:
교정에서 많이 볼 수 있는
향나무 종의 원산지가
일본이라는 사실, 알고 계셨나요?
일제 강점기를 상징하는 나무로도
알려져 있는 가이즈카 향나무가
상당수의 교정에 심어져 있습니다.
강소라 기자가 보도합니다.}
{리포트}
경남의 한 학교에 일본이 원산지인
가이즈카 향나무가 줄지어 서
있습니다.
일제시대 향교를 중심으로
심어져오던 것이 관리가 쉽다는 이유로 광복 후에도 대부분의 학교로
퍼져나갔습니다.
관상용에 그치지 않고 아예 교목으로
삼아 온 학교도 많습니다.
'경남 초중고 가운데 13%가 넘는 학교들이 이 가이즈키 향나무를 교목으로 지정하고 있습니다.'
하지만 이 나무는 일제 식민지를
상징하는 나무로 알려져 있습니다.
조선통감부 초대 통감이던
이토 히로부미가 기념식수에 나서면서부터입니다.
{유찬열/경남산림환경연구원 공학박사'소나무라든지 우리나라 고유의 수종으로 심었다면 어른이 되어서도 우리나라 고유 수종에 대한 부분이 인문학적으로도 충분히 연결될 수 있는 좋은 바탕이 됨에도 불구하고 가이즈카 향나무를 심었다는 것은 잘못되었다고 생각합니다.'}
하지만 예산 등의 문제로 제거가 어렵고 아이들에게는 의미를 제대로 가르치지 못한 경우도 많습니다.
{B 학교 교장/'일본에서 건너왔다 이런 부분은 교육 안 시킵니다. 초등학생 같은 경우는 우리가 동일한 의미로 얘기해도 학생들이 받아들일 때는 판단과 이런게 아직 미숙하지 않습니까'}
이에 경남교육청은 교육청 앞의
가이즈키 향나무부터 철거하기로
했습니다.
올해 3.1운동 1백주년을 맞아 일제의 잔재를 지우는 차원에서 입니다.
{박용한/경남교육청 총무과장'고유의 얼이 담겨있는 소나무로 바꿔 심어서 우리 역사의 얼을 되새기고 희망찬 미래교육으로 나아가고자하는 취지에서 이 소나무로 바꾸게 되었습니다. '}
일제 잔재를 청산하고
우리나무를 뿌리내리게 하려는 시도가 일선학교로 점차 확산되고 있습니다.
knn강소라입니다.
교정에서 많이 볼 수 있는
향나무 종의 원산지가
일본이라는 사실, 알고 계셨나요?
일제 강점기를 상징하는 나무로도
알려져 있는 가이즈카 향나무가
상당수의 교정에 심어져 있습니다.
강소라 기자가 보도합니다.}
{리포트}
경남의 한 학교에 일본이 원산지인
가이즈카 향나무가 줄지어 서
있습니다.
일제시대 향교를 중심으로
심어져오던 것이 관리가 쉽다는 이유로 광복 후에도 대부분의 학교로
퍼져나갔습니다.
관상용에 그치지 않고 아예 교목으로
삼아 온 학교도 많습니다.
'경남 초중고 가운데 13%가 넘는 학교들이 이 가이즈키 향나무를 교목으로 지정하고 있습니다.'
하지만 이 나무는 일제 식민지를
상징하는 나무로 알려져 있습니다.
조선통감부 초대 통감이던
이토 히로부미가 기념식수에 나서면서부터입니다.
{유찬열/경남산림환경연구원 공학박사'소나무라든지 우리나라 고유의 수종으로 심었다면 어른이 되어서도 우리나라 고유 수종에 대한 부분이 인문학적으로도 충분히 연결될 수 있는 좋은 바탕이 됨에도 불구하고 가이즈카 향나무를 심었다는 것은 잘못되었다고 생각합니다.'}
하지만 예산 등의 문제로 제거가 어렵고 아이들에게는 의미를 제대로 가르치지 못한 경우도 많습니다.
{B 학교 교장/'일본에서 건너왔다 이런 부분은 교육 안 시킵니다. 초등학생 같은 경우는 우리가 동일한 의미로 얘기해도 학생들이 받아들일 때는 판단과 이런게 아직 미숙하지 않습니까'}
이에 경남교육청은 교육청 앞의
가이즈키 향나무부터 철거하기로
했습니다.
올해 3.1운동 1백주년을 맞아 일제의 잔재를 지우는 차원에서 입니다.
{박용한/경남교육청 총무과장'고유의 얼이 담겨있는 소나무로 바꿔 심어서 우리 역사의 얼을 되새기고 희망찬 미래교육으로 나아가고자하는 취지에서 이 소나무로 바꾸게 되었습니다. '}
일제 잔재를 청산하고
우리나무를 뿌리내리게 하려는 시도가 일선학교로 점차 확산되고 있습니다.
knn강소라입니다.
KNN 뉴스는 24시간 여러분의 제보를 기다립니다.
▷ 전화
부산 051-850-9000
경남 055-283-0505
▷ 이메일 jebo@knn.co.kr
▷ knn 홈페이지/앱 접속, 시청자 제보 누르기
▷ 카카오톡 친구찾기 @knn
▷ 전화
부산 051-850-9000
경남 055-283-0505
▷ 이메일 jebo@knn.co.kr
▷ knn 홈페이지/앱 접속, 시청자 제보 누르기
▷ 카카오톡 친구찾기 @knn
강소라 기자
knnsol@knn.co.kr
많이 본 뉴스
주요뉴스
-
공모만 6번째..계륵된 북항 마리나2025.05.23
-
특별건축구역 시동 걸었는데 경기침체가 발목2025.05.23
-
노무현 전 대통령 추도식 엄수 정치인 집결2025.05.23
-
갈등 증폭 거제 민생회복지원금 부결, 대선정국속 앞으로의 향방은?2025.05.23
-
민주당 HMM 부산 이전 공약 철회 놓고 정치권 공방2025.05.23
-
우주항공청 개청 1주년, 지역 발전은?2025.05.22
-
부산 분산에너지특구 성큼2025.05.22
-
스마트팜, 끝없는 진화... 2025 스마트팜 코리아2025.05.22
-
너도나도 부*울*경 GTX 공약, 실현 가능성은?2025.05.22
-
들이받고 덮치고...부산서 고령운전자 차량사고 잇따라2025.05.2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