스포츠
기장 월드컵 빌리지, 동계 훈련지로 인기
정수영
입력 : 2017.02.21 08:40
조회수 : 294
0
0
{앵커:
한 때 축구도시로 명성이 높았던
부산은 현재 그 인기가
많이 시들해졌습니다.
그런데 기장 월드컵 빌리지가
국내,외 축구팀들의 동계 훈련지로
각광을 받으면서 옛 명성을 조금씩
되찾아가고 있습니다.
정수영 아나운서가 전합니다. }
{리포트}
지난 7일부터 기장 월드컵 빌리지에 둥지를 튼 강원FC가 마지막 담금질에 한창입니다.
따뜻한 날씨에다 잔디 상태까지 좋아
선수들의 움직임에 활기가 넘칩니다.
{최윤겸/강원FC 감독/'그라운드 상태도 양호하고, 바람이 적게 불어서 선수들이 전술 훈련이나 연습경기 하는데는 상당히 양호한 편입니다.'}
개장 이래 처음으로 해외에서
반가운 손님도 찾아 왔습니다.
중국 연변에서 80여 명의 선수단이
구슬땀을 흘리고 있습니다.
축구뿐만 아니라
문화 교류까지, 1석2조의 효과를
거두고 있습니다.
{김진국 감독/ 중국 훈춘시 제1실험소학교/'엄청 만족하고 있습니다. 다른 한국 아이들과 교류도 할 수 있으니까 많이 좋아하고 있습니다.'}
개장 4년차를 맞은
기장 월드컵 빌리지가 겨울철
인기 훈련지로 주목받고 있습니다.
천연잔디와 인조잔디 구장 총 4면이
풀가동 됩니다.
전국에서 프로와 대학, 고등학교
팀 등이 몰리다 보니, 연습 상대도
찾기 쉽습니다.
유치 실적은 지역 경제 활성화로도
이어지고 있습니다.
선수단 규모가 커지고,
장기 사용도 늘어나면서
지난 해에는 10억 원 이상의
경제 효과를 거둬 들였습니다.
깨끗한 환경과 다양한 주변 시설을
갖춘 기장 월드컵 빌리지.
겨울철 축구의 메카로
이름을 알려 나가고 있습니다.
KNN 정수영입니다.
한 때 축구도시로 명성이 높았던
부산은 현재 그 인기가
많이 시들해졌습니다.
그런데 기장 월드컵 빌리지가
국내,외 축구팀들의 동계 훈련지로
각광을 받으면서 옛 명성을 조금씩
되찾아가고 있습니다.
정수영 아나운서가 전합니다. }
{리포트}
지난 7일부터 기장 월드컵 빌리지에 둥지를 튼 강원FC가 마지막 담금질에 한창입니다.
따뜻한 날씨에다 잔디 상태까지 좋아
선수들의 움직임에 활기가 넘칩니다.
{최윤겸/강원FC 감독/'그라운드 상태도 양호하고, 바람이 적게 불어서 선수들이 전술 훈련이나 연습경기 하는데는 상당히 양호한 편입니다.'}
개장 이래 처음으로 해외에서
반가운 손님도 찾아 왔습니다.
중국 연변에서 80여 명의 선수단이
구슬땀을 흘리고 있습니다.
축구뿐만 아니라
문화 교류까지, 1석2조의 효과를
거두고 있습니다.
{김진국 감독/ 중국 훈춘시 제1실험소학교/'엄청 만족하고 있습니다. 다른 한국 아이들과 교류도 할 수 있으니까 많이 좋아하고 있습니다.'}
개장 4년차를 맞은
기장 월드컵 빌리지가 겨울철
인기 훈련지로 주목받고 있습니다.
천연잔디와 인조잔디 구장 총 4면이
풀가동 됩니다.
전국에서 프로와 대학, 고등학교
팀 등이 몰리다 보니, 연습 상대도
찾기 쉽습니다.
유치 실적은 지역 경제 활성화로도
이어지고 있습니다.
선수단 규모가 커지고,
장기 사용도 늘어나면서
지난 해에는 10억 원 이상의
경제 효과를 거둬 들였습니다.
깨끗한 환경과 다양한 주변 시설을
갖춘 기장 월드컵 빌리지.
겨울철 축구의 메카로
이름을 알려 나가고 있습니다.
KNN 정수영입니다.
KNN 뉴스는 24시간 여러분의 제보를 기다립니다.
▷ 전화
부산 051-850-9000
경남 055-283-0505
▷ 이메일 jebo@knn.co.kr
▷ knn 홈페이지/앱 접속, 시청자 제보 누르기
▷ 카카오톡 친구찾기 @knn
▷ 전화
부산 051-850-9000
경남 055-283-0505
▷ 이메일 jebo@knn.co.kr
▷ knn 홈페이지/앱 접속, 시청자 제보 누르기
▷ 카카오톡 친구찾기 @knn
정수영 기자
jungsyy@knn.co.kr
많이 본 뉴스
주요뉴스
-
지역 대규모 국책사업 무시가 초유의 수의계약 중단 불렀나?2025.05.09
-
NC, 울산행에서 다시 창원으로2025.05.09
-
국제선 내항기의 양면성..김해공항 죽이기 우려2025.05.09
-
주한미해군사령관 '부산시 명예시민' 선정2025.05.09
-
양산도시철도 7년 만에 시운전 돌입, 운영사 선정은?2025.05.08
-
현직 경찰이 거액 보이스피싱 조직에 가담, 1명 구속2025.05.08
-
6명 숨진 '반얀트리 참사'...드러난 인허가 비리2025.05.08
-
<단독> 하루 행사에 1억 3천만 원...수상한 수의계약2025.05.07
-
<현장> '제2의 잼버리 사태' 황금연휴 망친 민폐 라면축제2025.05.07
-
현대건설 배짱...나쁜 선례 만드는데 손놓은 부산시2025.05.0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