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회
달빛어린이병원, 소아청소년과 전문의 부족 '반쪽 운영'
옥민지
입력 : 2025.11.25 20:51
조회수 : 109
0
0
<앵커>
밤 늦은 시간이나 휴일, 갑자기 아이가 아플 때 응급실 대신 갈 수 있는 병원이 바로 달빛어린이병원입니다.
하지만, 소아청소년과 전문의가 부족한 탓에 대부분의 달빛어린이병원이 반쪽짜리 운영에 그치고 있습니다.
보도에 옥민지 기자입니다.
<기자>
부산 해운대구의 한 어린이병원입니다.
평일부터 어린 환자들로 붐비는 이 곳은 늦은 밤에도 진료가 가능한 '달빛어린이병원'입니다.
{김건후, 박미연/부산시 기장군/"애기가 갑자기 열이 심하거나 하면 당황스러워지잖아요. 그럴때 이제 달빛병원이라는게 있어서 다행이어서.." }
응급실보다 적은 비용으로 야간 진료가 가능하다는 것도 장점입니다.
{김은영,임채아,임상현/부산시 강서구/"응급실 같은 경우는 좀 부담되는 것도 사실이고}
달빛어린이병원에 대한 호응이 높은 것과 달리, 부산경남의 달빛어린이병원은 여전히 반쪽짜리 운영에 그치고 있습니다.
"달빛어린이병원에서는 주말 늦은 밤에도 아픈 아이의 진료가 가능합니다. 하지만 현재 부산과 경남에 있는 달빛어린이병원 중 주말 야간에도 운영하는 곳은 이곳을 포함해 3곳뿐입니다."
부산*경남에 위치한 달빛어린이병원은 총 19곳, 6곳 가운데 1곳 정도만 정부지침을 지키고 있는 셈입니다.
각 시*구*군마다 1개소씩 달빛어린이병원을 둬야한다는 보건복지부의 원칙도 지켜지지 않고 있습니다.
소아청소년과 의료진 부족 때문입니다.
{신성현/달빛어린이병원 병원장/ "소아청소년과 환자는 소아청소년과 전문의가 진료를 봐야되는데 소아청소년과 의료진 수급이 굉장히 어렵고.. "}
실제 지난 달 부산의 한 달빛어린이병원은 의료진 부족으로 결국 운영을 포기했습니다.
지자체는 지원을 늘려 달빛어린이병원 운영을 보완해 나가겠다 밝혔지만,
{황정욱/부산시 응급의료팀장/"달빛어린이병원 확대를 위한 시 예산을 대폭 확대하여 운영비 지원 세칙을 적극적으로 홍보하고.. }
반쪽짜리 달빛 어린이병원 문제 해소의 궁극적인 해결책은 결국 의료진 확보 방안에 달려 있습니다.
KNN 옥민지입니다.
영상취재 박은성
밤 늦은 시간이나 휴일, 갑자기 아이가 아플 때 응급실 대신 갈 수 있는 병원이 바로 달빛어린이병원입니다.
하지만, 소아청소년과 전문의가 부족한 탓에 대부분의 달빛어린이병원이 반쪽짜리 운영에 그치고 있습니다.
보도에 옥민지 기자입니다.
<기자>
부산 해운대구의 한 어린이병원입니다.
평일부터 어린 환자들로 붐비는 이 곳은 늦은 밤에도 진료가 가능한 '달빛어린이병원'입니다.
{김건후, 박미연/부산시 기장군/"애기가 갑자기 열이 심하거나 하면 당황스러워지잖아요. 그럴때 이제 달빛병원이라는게 있어서 다행이어서.." }
응급실보다 적은 비용으로 야간 진료가 가능하다는 것도 장점입니다.
{김은영,임채아,임상현/부산시 강서구/"응급실 같은 경우는 좀 부담되는 것도 사실이고}
달빛어린이병원에 대한 호응이 높은 것과 달리, 부산경남의 달빛어린이병원은 여전히 반쪽짜리 운영에 그치고 있습니다.
"달빛어린이병원에서는 주말 늦은 밤에도 아픈 아이의 진료가 가능합니다. 하지만 현재 부산과 경남에 있는 달빛어린이병원 중 주말 야간에도 운영하는 곳은 이곳을 포함해 3곳뿐입니다."
부산*경남에 위치한 달빛어린이병원은 총 19곳, 6곳 가운데 1곳 정도만 정부지침을 지키고 있는 셈입니다.
각 시*구*군마다 1개소씩 달빛어린이병원을 둬야한다는 보건복지부의 원칙도 지켜지지 않고 있습니다.
소아청소년과 의료진 부족 때문입니다.
{신성현/달빛어린이병원 병원장/ "소아청소년과 환자는 소아청소년과 전문의가 진료를 봐야되는데 소아청소년과 의료진 수급이 굉장히 어렵고.. "}
실제 지난 달 부산의 한 달빛어린이병원은 의료진 부족으로 결국 운영을 포기했습니다.
지자체는 지원을 늘려 달빛어린이병원 운영을 보완해 나가겠다 밝혔지만,
{황정욱/부산시 응급의료팀장/"달빛어린이병원 확대를 위한 시 예산을 대폭 확대하여 운영비 지원 세칙을 적극적으로 홍보하고.. }
반쪽짜리 달빛 어린이병원 문제 해소의 궁극적인 해결책은 결국 의료진 확보 방안에 달려 있습니다.
KNN 옥민지입니다.
영상취재 박은성
KNN 뉴스는 24시간 여러분의 제보를 기다립니다.
▷ 전화
부산 051-850-9000
경남 055-283-0505
▷ 이메일 jebo@knn.co.kr
▷ knn 홈페이지/앱 접속, 시청자 제보 누르기
▷ 카카오톡 친구찾기 @knn
▷ 전화
부산 051-850-9000
경남 055-283-0505
▷ 이메일 jebo@knn.co.kr
▷ knn 홈페이지/앱 접속, 시청자 제보 누르기
▷ 카카오톡 친구찾기 @knn
옥민지 기자
ok@knn.co.kr
많이 본 뉴스
주요뉴스
-
유턴 차량에 치인 초등학생 숨져...조형물도 쓰러져2025.11.25
-
'방사능 검사 회피' 일본산 가리비, 태국산 둔갑 유통2025.11.25
-
달빛어린이병원, 소아청소년과 전문의 부족 '반쪽 운영'2025.11.25
-
"부울경 미래는 북극항로*지역분권" KNN 지역대포럼 개최2025.11.25
-
산불 피해 보상금 말바꾼 창녕군청에 유족들 또 '상처'2025.11.24
-
고등어 '역대급 풍년'에 가득찬 부산 공동어시장2025.11.24
-
국토부 신공항 공기, 신공항건설공단 졸속안 따랐나?2025.11.24
-
수영만요트경기장 재개발 첫삽... '갈등은 계속'2025.11.24
-
'대만 지룽항'에서 부산*경남 크루즈 관광의 미래를 엿보다2025.11.24
-
<자랑스러운 부산경남 >'가야문명의 중심 경남' 확고한 자리매김(리)2025.11.23
페이스북
트위터
카카오톡
URL복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