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회
'방사능 검사 회피' 일본산 가리비, 태국산 둔갑 유통
김민성
입력 : 2025.11.25 20:52
조회수 : 101
0
0
<앵커>
가리비가 제철을 맞아 요즘 수요가 크게 늘고 있습니다.
그런데 일본산 가리비를 태국산으로 속여 국내로 들여온 일당이 부산세관과 식약청에 적발됐습니다.
방사능 검사를 회피하는 한편, 태국산은 관세를 덜 내도 된다는 점을 악용했습니다.
김민성 기자가 보도합니다.
<기자>
수산물을 가공하는 태국의 한 공장입니다.
이곳에서 손질된 가리비가 태국산 표기를 달고 우리나라로 들어와 관세청과 식약처가 확인에 나섰습니다.
가공되고 있는 가리비를 확인해 보니 원산지가 일본입니다.
{합동 수사팀/"이거 다 일본산 맞죠? 예."}
부산의 한 수산물 수입업자가 해당 공장 측에 원산지를 속여 가리비를 보내 달라고 한 요청한 것으로 경찰 수사결과 드러났습니다.
태국산으로 신고해서 일본산 수산물이 받아야하는 방사능 검사를 피할 수 있었습니다.
{한소희/자갈치시장 상인/"일본산 가리비는 방사선 검출을 확인해서 들어와요."}
부산의 한 수산물 수입업자가 해당 공장 측에 원산지를 속여 가리비를 보내 달라고 한 요청한 것으로 합동 수사결과 드러났습니다.
"수입업자는 15번에 걸쳐 시가 약 11억 원 상당의 가리비를 우리나라로 들여온 것으로 조사됐습니다."
관세 혜택도 노렸습니다.
한-아세안 자유무역협정으로 태국산 수산물은 관세를 20% 감면받을 수 있기 때문.
이런 식으로 수입업자와 태국현지 수출업자는 부당이득 1억 5천만 원을 챙겼습니다.
{김우용/부산본부세관 특수수사2팀장/"한국 수입자가 20%라는 관세 이득을 볼 수 있으니까 자기(수출업자)도 원산지 위장해 주는 대가로 조금 더 자기 수익을 챙겨달라..."}
부산세관과 부산식약청은 수입업자와 수출업자를 원산지표기법과 FTA특례법을 위반한 혐의 등으로 검찰에 넘기는 한편,
동남아 지역에서 수입되는 가리비에도 품종 검사 등 안전 관리를 강화하기로 했습니다.
한편, 해당 가리비에서 방사능 성분은 검출되지 않았습니다.
KNN 김민성입니다.
영상취재 오원석
가리비가 제철을 맞아 요즘 수요가 크게 늘고 있습니다.
그런데 일본산 가리비를 태국산으로 속여 국내로 들여온 일당이 부산세관과 식약청에 적발됐습니다.
방사능 검사를 회피하는 한편, 태국산은 관세를 덜 내도 된다는 점을 악용했습니다.
김민성 기자가 보도합니다.
<기자>
수산물을 가공하는 태국의 한 공장입니다.
이곳에서 손질된 가리비가 태국산 표기를 달고 우리나라로 들어와 관세청과 식약처가 확인에 나섰습니다.
가공되고 있는 가리비를 확인해 보니 원산지가 일본입니다.
{합동 수사팀/"이거 다 일본산 맞죠? 예."}
부산의 한 수산물 수입업자가 해당 공장 측에 원산지를 속여 가리비를 보내 달라고 한 요청한 것으로 경찰 수사결과 드러났습니다.
태국산으로 신고해서 일본산 수산물이 받아야하는 방사능 검사를 피할 수 있었습니다.
{한소희/자갈치시장 상인/"일본산 가리비는 방사선 검출을 확인해서 들어와요."}
부산의 한 수산물 수입업자가 해당 공장 측에 원산지를 속여 가리비를 보내 달라고 한 요청한 것으로 합동 수사결과 드러났습니다.
"수입업자는 15번에 걸쳐 시가 약 11억 원 상당의 가리비를 우리나라로 들여온 것으로 조사됐습니다."
관세 혜택도 노렸습니다.
한-아세안 자유무역협정으로 태국산 수산물은 관세를 20% 감면받을 수 있기 때문.
이런 식으로 수입업자와 태국현지 수출업자는 부당이득 1억 5천만 원을 챙겼습니다.
{김우용/부산본부세관 특수수사2팀장/"한국 수입자가 20%라는 관세 이득을 볼 수 있으니까 자기(수출업자)도 원산지 위장해 주는 대가로 조금 더 자기 수익을 챙겨달라..."}
부산세관과 부산식약청은 수입업자와 수출업자를 원산지표기법과 FTA특례법을 위반한 혐의 등으로 검찰에 넘기는 한편,
동남아 지역에서 수입되는 가리비에도 품종 검사 등 안전 관리를 강화하기로 했습니다.
한편, 해당 가리비에서 방사능 성분은 검출되지 않았습니다.
KNN 김민성입니다.
영상취재 오원석
KNN 뉴스는 24시간 여러분의 제보를 기다립니다.
▷ 전화
부산 051-850-9000
경남 055-283-0505
▷ 이메일 jebo@knn.co.kr
▷ knn 홈페이지/앱 접속, 시청자 제보 누르기
▷ 카카오톡 친구찾기 @knn
▷ 전화
부산 051-850-9000
경남 055-283-0505
▷ 이메일 jebo@knn.co.kr
▷ knn 홈페이지/앱 접속, 시청자 제보 누르기
▷ 카카오톡 친구찾기 @knn
김민성 기자
30min@knn.co.kr
많이 본 뉴스
주요뉴스
-
유턴 차량에 치인 초등학생 숨져...조형물도 쓰러져2025.11.25
-
'방사능 검사 회피' 일본산 가리비, 태국산 둔갑 유통2025.11.25
-
달빛어린이병원, 소아청소년과 전문의 부족 '반쪽 운영'2025.11.25
-
"부울경 미래는 북극항로*지역분권" KNN 지역대포럼 개최2025.11.25
-
산불 피해 보상금 말바꾼 창녕군청에 유족들 또 '상처'2025.11.24
-
고등어 '역대급 풍년'에 가득찬 부산 공동어시장2025.11.24
-
국토부 신공항 공기, 신공항건설공단 졸속안 따랐나?2025.11.24
-
수영만요트경기장 재개발 첫삽... '갈등은 계속'2025.11.24
-
'대만 지룽항'에서 부산*경남 크루즈 관광의 미래를 엿보다2025.11.24
-
<자랑스러운 부산경남 >'가야문명의 중심 경남' 확고한 자리매김(리)2025.11.23
페이스북
트위터
카카오톡
URL복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