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OP
사회

[부산시정 '글로벌 해양수도 부산 추진위' 출범

김건형 입력 : 2025.09.02 07:55
조회수 : 330
<앵커>
지난 한 주간 부산시청 안팎의 주요 소식들을 정리해보는 부산시정 순서입니다.

오늘도 김건형 기자와 얘기 나눠 보겠습니다.

부산이 글로벌 해양수도로 도약하기 위해 지역 사회 모두가 힘을 모으겠다는 첫걸음이 지난주 시작됐습니다.}

지난주 글로벌 해양수도 부산 추진위원회가 출범했습니다.

부산시, 시의회, 시교육청, 부산상공회의소 등 90여곳의 기관과 단체가 1차로 참여했습니다.
산·학·연·민·관을 모두 아우르는 형태로 참여기관은 계속 늘어날 전망입니다.

올해는 동북아 해양수도 비전이 선포된지 25주년입니다.

그리고 내년이면 부산항 개항 150주년을 맞습니다.

여태까지 '해양수도'라는 단어는 부산이 나아가야할 막연한 이정표 정도로 여겨진게 사실인데요,

새 정부의 해양수산부 부산 이전이 속도를 내면서 그야말로 꿈을 현실로 만들 기회가 열렸다는데 지역 사회 모두가 공감하고 나선 겁니다.

글로벌 해양수도 추진위는 해양경제를 선도할 컨트롤타워로서 핵심 어젠다를 발굴합니다.

시민 공감대를 넓혀서 정책들이 힘있게 추진되도록 힘을 모으는 구심점 역할도 하게 됩니다.

출범식에서 박형준 부산시장은 '글로벌 해양 허브 도시 부산'의 비전과 전략을 직접 발표했습니다.

박 시장은 부산의 5대 항만을 중심으로 4개의 해양수도 신 전략 거점을 조성하겠다는 밑그림을 내놓았습니다.

{앵커:부산시가 다급한 일정 속에서도 상당히 공을 들여 추진위를 꾸리고 발족을 시켰다는 후문이던데,

출범식을 앞두고 정치권발 돌발변수로 힘을 모으려던 지역사회를 한숨 짓게 만드는 일이 벌어졌죠?}

출범식을 앞두고 찬물을 끼얹은 이는 제1야당 국민의힘 신임대표 장동혁 의원이었습니다.

출범식 이틀전인 지난달 26일 대표로 선출되자 마자 열린 기자회견에서 장 신임대표가 해수부 부산 이전 반대입장을 분명히 밝힌 겁니다.

여당의 지방선거용 얄팍한 정치행위라고 깎아내렸습니다.

부산 정치권은 난리가 났습니다.

더불어민주당은 반부산적 발언이라 맹공을 퍼부었고,

국민의힘 부산시당은 수습에 나서느라 진땀을 뺐습니다.

결국 부산지역 의원들의 심각한 우려가 장 대표에게 전달된 결과,

장 대표는 "이재명 정부의 성급한 해수부 졸속 이전을 반대한 것"이라 해명에 나서며 한 발 물러섰습니다.

"유관 기관들과 함께 이전하는 완전한 해수부 이전으로 해양수도를 구축해야 한다"는 입장이 잘못 전달된 것이라고 수습했습니다.

{수퍼:국민의힘 부산시당*부산시, 수습에 '진땀'}
그나마 추진위 출범식 도중에 들려온 장 대표의 해명 소식에 출범식을 마친 박 시장도 한숨을 돌려야했습니다.

출범식 직후 박 시장 얘기 들어보시죠.

{박형준/부산시장(지난 28일)/"우리 국민의힘 국회의원들이 당 대표하고 여러 가지 소통을 통해서 앞으로 해양수산부 이전에 힘을 싣기로 입장을 정했다고 합니다. 큰 걱정 안하셔도 될 것 같습니다."}

{앵커:그런데 충청권이 지역구인 장 대표의 해수부 이전 반대 입장은 새로운 것이 아니였다면서요?}

네, 그렇습니다.

장 의원은 당대표 선거과정에서도 이미 여러 차례 이전 반대 입장을 밝혔습니다.

그 입장을 알고도 국민의힘 당원들이 대표로 뽑아 준 것이니 본인이야 취임일성으로 똑같은 발언을 한건데 그 무게감이 달라지면서 소동이 벌어진 겁니다.

이 문제에 대한 부산 민심을 아는 지역 국민의힘 의원들이 뒤늦게 강한 우려를 전달하자 일단 물러서긴 했는데,

앞서 중앙부처의 지방이전 자체를 반대한다는 그의 발언을 되새겨보면 자기모순에 빠진 궁색한 수습으로 밖에 보이지 않습니다.

장 대표 발언 다시 들어보시죠.

{장동혁/국민의힘 대표(지난 26일)/"중앙부처는 지역과 거리상 밀접하게 함께 할 이유가 없다고 생각합니다. 중앙부처를 각 시도별로 찢어놓는다고 국가의 균형발전이 이루어지는 것이 아닙니다."}

{앵커:정치경력이 길지 않은 1.5선의 제1야당 대표가 임기 시작부터 부산에는 불안감을 키우고 있군요.

다음 소식으로는 내년도 정부 예산안 상황을 살펴볼까요?}

지난달 29일 기획재정부가 내년도 정부 예산안을 발표했습니다.

무엇보다 지역의 큰 관심사안은 가덕도신공항 관련 예산일텐데요,

건설사업비로 6890억 원이 반영됐습니다.

사업 지연으로 올해 예산이 삭감된 가덕신공항 건설사업비가 내년도에 반영되면서 신속한 재추진의 불씨는 살린 겁니다.

당초 올해 가덕도신공항 건설 예산은 1조 원에 육박했습니다.

하지만 현대건설 컨소시엄의 사업 참여 중단 결정고 이후 수의계약 절차 중단 등으로 절반이 넘는 5천2백여억원이 '불용'처리됐는데요,

내년 예산은 올해보다 30% 가까이 줄긴했지만 현재 사업의 불확실성 등을 고려할 때 국비를 확보한 것 자체가 그나마 다행이란 얘기도 나옵니다.

사업자 선정 등에 있어 여전히 진척이 없는데도 예산 편성이 된 사실 자체가 정부의 의지를 확인할 수 있다는 평가입니다.

다만 어렵사리 내년도 예산 불씨를 살렸다고는 하지만 그건 어디까지나 공사 발주가 올해 안에 이뤄진다는 전제가 깔려 있습니다.

{앵커:그 밖에 다른 사업들의 예산 확보 상황도 간략히 정리해주실까요?}

또 다른 지역의 중요 국책사업인 부산항 북항 재개발 사업의 경우 올해보다 300억 원 증액된 1400억 원으로 편성됐습니다.

서부산 교통망을 개선하는 기반시설 구축 사업도 순조롭게 동력을 확보할 듯 합니다.

부산도시철도 사상~하단선과 하단~녹산선 건설사업에 각각 300억 원, 370억 원이 반영됐고,

낙동강 횡단 교량인 대저대교와 엄궁대교, 장낙대교에 각각 70억 원, 320억 원, 100억 원이 반영됐습니다.

반면 반영되지 못한 사업들도 있습니다.

오랜기간 방치되온 부산 해수담수화 시설을 활용한 실증시설 조성 사업이 일단 빠졌습니다.

또 전액 시비로 충당한다는 계획을 세웠지만 시 재정 부담을 줄이기 위해 국비 확보도 병행하려는 사직야구장 재건축 사업도 포함되지 못했습니다.

그리고 지역간 협의가 지체돼있는데다 새정부 출범과 함께 정책기조 재조정도 예상되는 낙동강 유역 안전한 먹는물 공급 체계 구축 사업 예산도 미반영됐습니다.

{앵커:기재부 예산안은 국회 예산 심사라는 큰 관문을 거쳐야 최종 결정이 되죠.

부산시와 지역 정치권간 긴밀한 공조 체계가 가동되길 기대해봅니다.

오늘 순서는 여기까지 듣죠.

지금까지 김건형 기자와 함께 했습니다.}
KNN 뉴스는 24시간 여러분의 제보를 기다립니다.

▷ 전화
부산 051-850-9000
경남 055-283-0505
▷ 이메일 jebo@knn.co.kr
▷ knn 홈페이지/앱 접속, 시청자 제보 누르기
▷ 카카오톡 친구찾기 @knn
저작권자 © 부산경남대표방송 KNN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사이트맵