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치
너도나도 부*울*경 GTX 공약, 실현 가능성은?
김민욱
입력 : 2025.05.22 21:01
조회수 : 1557
0
0
<앵커>
이번 대선 국면에서 더불어민주당 이재명 후보는 부울경을 하나의 생활*경제권으로 연결하는 GTX급 광역교통망을 완성하겠다는 공약을 냈습니다.
부전역~마산역 복선전철의 조기 개통과 함께 부산~양산~울산선 건설을 지원한다는 계획입니다.
국민의힘 김문수 후보는 부울경 GTX를 만들어 서울과 경쟁할 국제해양도시를 만들겠다고 공약했습니다.
울산~부산~ 창원 광역 급행, 울산~신공항 광역급행, 신공항~오시리아 BuTX(비유티엑스) 를 만들겠다는 것입니다.
공교롭게 두 후보 모두 GTX 건설 공약을 냈는데 과연 얼마나 구체적인지, 실현 가능성은 있는지 김민욱 기자가 따져봤습니다.
<기자>
이재명 민주당 대선 후보는
지난 당내 경선과정에서 GTX급 광역 교통망을 만들어 부울경 30분대 생활권 시대를 열겠다고 말했습니다.
부전~마산 복선 전철, 부산~양산~울산 광역철도, 울산역~양산 북정~김해 진영을 연결하는 동남권 순환 광역 철도가 포함돼 있습니다.
국민의힘 김문수 대선 후보는 지난 13일 부산을 찾아 부울경 GTX를 공약했습니다.
{김문수/국민의힘 대선 후보/"좋은 지하고속철도 또는 고속철도를 반드시 제가 만들어서 부산, 울산, 경남이 하나의 도시로서 서울과 당당하게 경쟁할 수 있는..."}
울산~부산~창원 광역 급행에다 울산~가덕신공항 광역 급행, 신공항에서 오시리아를 연결하는 BuTX 노선을 검토하고 있습니다.
“양당 대선 후보들이 경쟁적으로 GTX 공약을 내고 있지만, 실현 가능성에 대해서는 여전히 의문점이 남습니다.”
GTX 노선 1개당 4~ 5조원이라는 막대한 예산이 투입되는데 전국에 GTX를 까는 것 자체가 현실적으로 불가능할 수 있어, 기존 교통망을 활용한 광역 교통망 구축부터 서둘러야한다는 지적입니다.
부산과 마산을 30분대 주파할 수 있는 부전~ 마산 복선전철은 2020년 6월 개통 예정이었지만 터널 붕괴 사고로 개통이 5년 넘게 늦어지고 있기 때문입니다.
{김회경/동아대 도시공학과 교수/"기존에 이슈가 되고 있는 교통망을 정리해 내는 것이 우선이고요. 이런 와중에 새로운 대규모 교통 인프라를 다시 제안하고 시작하는 것은 사실은 실행을 담보하기 힘든 아이디어가 아닌가 생각합니다. "}
교통망 확충은 선거철이면 나오는 단골 공약인 만큼 대선 이후에도 면밀한 검증 과정이 필요해 보입니다.
KNN 김민욱입니다.
영상취재 전재현 안명환 편집 김민지 CG 이선연
이번 대선 국면에서 더불어민주당 이재명 후보는 부울경을 하나의 생활*경제권으로 연결하는 GTX급 광역교통망을 완성하겠다는 공약을 냈습니다.
부전역~마산역 복선전철의 조기 개통과 함께 부산~양산~울산선 건설을 지원한다는 계획입니다.
국민의힘 김문수 후보는 부울경 GTX를 만들어 서울과 경쟁할 국제해양도시를 만들겠다고 공약했습니다.
울산~부산~ 창원 광역 급행, 울산~신공항 광역급행, 신공항~오시리아 BuTX(비유티엑스) 를 만들겠다는 것입니다.
공교롭게 두 후보 모두 GTX 건설 공약을 냈는데 과연 얼마나 구체적인지, 실현 가능성은 있는지 김민욱 기자가 따져봤습니다.
<기자>
이재명 민주당 대선 후보는
지난 당내 경선과정에서 GTX급 광역 교통망을 만들어 부울경 30분대 생활권 시대를 열겠다고 말했습니다.
부전~마산 복선 전철, 부산~양산~울산 광역철도, 울산역~양산 북정~김해 진영을 연결하는 동남권 순환 광역 철도가 포함돼 있습니다.
국민의힘 김문수 대선 후보는 지난 13일 부산을 찾아 부울경 GTX를 공약했습니다.
{김문수/국민의힘 대선 후보/"좋은 지하고속철도 또는 고속철도를 반드시 제가 만들어서 부산, 울산, 경남이 하나의 도시로서 서울과 당당하게 경쟁할 수 있는..."}
울산~부산~창원 광역 급행에다 울산~가덕신공항 광역 급행, 신공항에서 오시리아를 연결하는 BuTX 노선을 검토하고 있습니다.
“양당 대선 후보들이 경쟁적으로 GTX 공약을 내고 있지만, 실현 가능성에 대해서는 여전히 의문점이 남습니다.”
GTX 노선 1개당 4~ 5조원이라는 막대한 예산이 투입되는데 전국에 GTX를 까는 것 자체가 현실적으로 불가능할 수 있어, 기존 교통망을 활용한 광역 교통망 구축부터 서둘러야한다는 지적입니다.
부산과 마산을 30분대 주파할 수 있는 부전~ 마산 복선전철은 2020년 6월 개통 예정이었지만 터널 붕괴 사고로 개통이 5년 넘게 늦어지고 있기 때문입니다.
{김회경/동아대 도시공학과 교수/"기존에 이슈가 되고 있는 교통망을 정리해 내는 것이 우선이고요. 이런 와중에 새로운 대규모 교통 인프라를 다시 제안하고 시작하는 것은 사실은 실행을 담보하기 힘든 아이디어가 아닌가 생각합니다. "}
교통망 확충은 선거철이면 나오는 단골 공약인 만큼 대선 이후에도 면밀한 검증 과정이 필요해 보입니다.
KNN 김민욱입니다.
영상취재 전재현 안명환 편집 김민지 CG 이선연
KNN 뉴스는 24시간 여러분의 제보를 기다립니다.
▷ 전화
부산 051-850-9000
경남 055-283-0505
▷ 이메일 jebo@knn.co.kr
▷ knn 홈페이지/앱 접속, 시청자 제보 누르기
▷ 카카오톡 친구찾기 @knn
▷ 전화
부산 051-850-9000
경남 055-283-0505
▷ 이메일 jebo@knn.co.kr
▷ knn 홈페이지/앱 접속, 시청자 제보 누르기
▷ 카카오톡 친구찾기 @knn

김민욱 기자
uk@knn.co.kr
많이 본 뉴스
주요뉴스
-
업무시간 도박부터 정치적 편향성까지...김형찬 구청장 '끝없는 구설'2025.09.11
-
'거래처 사장' 출신 감사관..인사검증 구멍2025.09.11
-
유료도로 천국 오명..언제까지 계속되나?2025.09.11
-
[단독]수상한 수의계약...'정치편향 유튜버' 일감 몰아주기?2025.09.10
-
[단독]부산교육청 신임 감사관, 알고 보니 전직 거래처 사장2025.09.10
-
190억 의원회관 한달만에 또 공사 '비효율 극치'2025.09.10
-
가덕신공항건설공단, '공기 111개월 제안' 후폭풍 거세2025.09.10
-
포스코이앤씨, 이번에는 민원 외면하고 공사강행2025.09.09
-
부산 학생 수, 전국에서 제일 빨리 줄었다2025.09.09
-
포스코, HMM 새주인 후보 부상... 부산 이전 영향은?2025.09.0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