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회
"통영 멍게 찾아주세요", 고수온 여파로 1년산 조기 수확
최한솔
입력 : 2025.05.21 20:52
조회수 : 166
0
0
<앵커>
지난해 집단 폐사했던 남해안 멍게가 다시 귀한 모습을 드러냈습니다.
보통 수확하던 2년산이 씨가 마르면서 새로 뿌린 1년산 햇멍게가 나온건데요.
어민들에게는 생존을 위한 시도입니다.
최한솔 기자가 취재했습니다.
<기자>
통통한 주황색 멍게가 바닷물을 뿜으며 줄줄이 올라옵니다.
멍게 작업장이 1년 만에 겨우 활기를 찾았습니다.
매년 1월부터 6월까지 멍게를 수확하지만 올해는 이제서야 수확이 시작됐습니다.
보통 2년 정도 키운 뒤 생산해왔지만 지난해 고수온으로 통영*거제지역 2년산 멍게는 거의 전량 폐사했습니다.
때문에 뒤늦게 뿌린 햇멍게를 최대한 키워 이즈음 생산하기로 한것입니다.
{윤성길/멍게수하식수협 총괄이사/"남해안 고수운 피해로 인해서 99% 멍게가 다 폐사를 했습니다. 그래서 우리 어업인들이 조금이나마 생계에 도움이 되고자 1년산 멍게를 출하할려고 작년 가을에 멍게를 감으면서 미리 준비를 한 상태입니다."}
그렇다보니 생산량은 평년 대비 10% 수준에 그쳤습니다.
하지만 이렇게라도해야 어민들의 생계가 유지되고 또 소비자들에게도 남해안 멍게가 잊혀지지 않기 때문입니다.
이 1년산 햇멍게는 2년산에 비해 크기만 작을 뿐 맛과 향에는 아무런 차이가 없습니다.
하지만 그나마 수확을 시작한 어민들의 표정도 밝지 않습니다.
날로 뜨거워지는 바다에 올해 또다시 멍게 폐사의 재앙은 언제든 닥칠 수 있기 때문입니다.
{송광탁/멍게양식 어민/"지금 현재 수심 깊은 곳이 20m 이하에서 양식을 하면서 여름 고수온을 보내고 있습니다. 근데 최소한 한 30m 이상 된 곳에서 양식을 하면서 고수온을 만났을 때는 상당히 희망이 있다고 봅니다."}
때문에 제대로 키운 남해안 멍게를 다시 수확하기 위해서라도 수심 30 미터 이상에서 키울 수 있는 멍게 양식장 개발 등 대안마련이 시급합니다.
KNN 최한솔입니다.
영상취재 박영준
지난해 집단 폐사했던 남해안 멍게가 다시 귀한 모습을 드러냈습니다.
보통 수확하던 2년산이 씨가 마르면서 새로 뿌린 1년산 햇멍게가 나온건데요.
어민들에게는 생존을 위한 시도입니다.
최한솔 기자가 취재했습니다.
<기자>
통통한 주황색 멍게가 바닷물을 뿜으며 줄줄이 올라옵니다.
멍게 작업장이 1년 만에 겨우 활기를 찾았습니다.
매년 1월부터 6월까지 멍게를 수확하지만 올해는 이제서야 수확이 시작됐습니다.
보통 2년 정도 키운 뒤 생산해왔지만 지난해 고수온으로 통영*거제지역 2년산 멍게는 거의 전량 폐사했습니다.
때문에 뒤늦게 뿌린 햇멍게를 최대한 키워 이즈음 생산하기로 한것입니다.
{윤성길/멍게수하식수협 총괄이사/"남해안 고수운 피해로 인해서 99% 멍게가 다 폐사를 했습니다. 그래서 우리 어업인들이 조금이나마 생계에 도움이 되고자 1년산 멍게를 출하할려고 작년 가을에 멍게를 감으면서 미리 준비를 한 상태입니다."}
그렇다보니 생산량은 평년 대비 10% 수준에 그쳤습니다.
하지만 이렇게라도해야 어민들의 생계가 유지되고 또 소비자들에게도 남해안 멍게가 잊혀지지 않기 때문입니다.
이 1년산 햇멍게는 2년산에 비해 크기만 작을 뿐 맛과 향에는 아무런 차이가 없습니다.
하지만 그나마 수확을 시작한 어민들의 표정도 밝지 않습니다.
날로 뜨거워지는 바다에 올해 또다시 멍게 폐사의 재앙은 언제든 닥칠 수 있기 때문입니다.
{송광탁/멍게양식 어민/"지금 현재 수심 깊은 곳이 20m 이하에서 양식을 하면서 여름 고수온을 보내고 있습니다. 근데 최소한 한 30m 이상 된 곳에서 양식을 하면서 고수온을 만났을 때는 상당히 희망이 있다고 봅니다."}
때문에 제대로 키운 남해안 멍게를 다시 수확하기 위해서라도 수심 30 미터 이상에서 키울 수 있는 멍게 양식장 개발 등 대안마련이 시급합니다.
KNN 최한솔입니다.
영상취재 박영준
KNN 뉴스는 24시간 여러분의 제보를 기다립니다.
▷ 전화
부산 051-850-9000
경남 055-283-0505
▷ 이메일 jebo@knn.co.kr
▷ knn 홈페이지/앱 접속, 시청자 제보 누르기
▷ 카카오톡 친구찾기 @knn
▷ 전화
부산 051-850-9000
경남 055-283-0505
▷ 이메일 jebo@knn.co.kr
▷ knn 홈페이지/앱 접속, 시청자 제보 누르기
▷ 카카오톡 친구찾기 @knn

최한솔 기자
choi@knn.co.kr
많이 본 뉴스
주요뉴스
-
"통영 멍게 찾아주세요", 고수온 여파로 1년산 조기 수확2025.05.21
-
노조 집회에 본사 옮긴다는 현대위아, 지자체 고심2025.05.21
-
성적은 모처럼 '껑충' 시설은 여전히 '바닥'2025.05.21
-
코로나보다 더해..경기 불황에 문 닫는 자영업자들2025.05.21
-
[현장]다문화학생 위탁 교육기관..어린이보호 사각 지대'2025.05.21
-
무면허 운전자 구속, 다음달부터 술타기도 단속2025.05.20
-
하동 쌀 일본 첫 수출, 일석이조2025.05.20
-
돈사 화재에 실습나간 학생 안타까운 죽음2025.05.20
-
해양수산부 부산 이전 공약 '뜨거운 감자'로2025.05.20
-
국토부, 가덕도신공항 적기개항 포기 수순?2025.05.2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