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
부산 분산에너지특구 성큼
김동환
입력 : 2025.05.22 21:03
조회수 : 268
0
0
<앵커>
부산이 전국 제 1호 분산에너지 특화지역 가운데 하나로 선정돼 최종 특구 선정의 가능성이 높아졌습니다.
특구로 지정되면 저렴한 전기요금을 통한 기업유치는 물론, 막혔던 에너지신사업들이 허용돼 에너지혁신도시의 발판을 마련하게 됩니다.
김동환 기자가 보도합니다.
<기자>
정부의 분산에너지 특구 최종 후보지에 부산이 선정됐습니다.
강서구 에코델타시티와 인근 산단, 부산신항 등 축구장 7천 4백여개의 면적입니다.
분산특구로 지정되면 규제 특례가 적용돼 전기사업법 등으로 막혔던 에너지 신사업들이 허용됩니다.
대규모 전력을 보관하는 ESS팜 구축이 대표적인 사업입니다.
{남호석/부산연구원 연구위원/"이제 실질적으로 분산 에너지 사업자들이 어떤 식으로 경제성을 생각하면서 어떤 사업을 할지에 대한 그런 부분에 대한 그 역할(이 중요합니다.) "}
기장 정관신도시 에너지공급 시설의 ESS센터입니다.
어른 키보다 큰 ESS뱅크 하나에 보통 10가구가 한달 정도 사용할 수 있는 전기를 보관하고 있는데,
에코델타시티에는 이 같은 저장장치 120여개가 구축돼 특구 내 데이터센터 등에 저렴한 전기를 공급할 계획입니다.
{박재덕/부산정관에너지 대표이사/"대부분이 각각의 산업체마다 따로따로 돼 있어요. 그러다 보니까 투자비가 이중삼중으로 들어가는 거죠. 그런데 저희들은 이걸 이제 에코델타시티 안에 ESS팜이라는 것을 놔서 한꺼번에 모으겠다."}
분산특구 유치는 데이터센터와 반도체 등 전력 소비가 많은 첨단기업을 유치할 경쟁력을 가질 좋은 기회입니다.
신산업활성화형 부산 분산특구가 예정돼로 진행되면 그 동안 재생에너지 전력만 가능했던 ESS 충전 직거래가 한전 전력도 사용할 수 있도록 추친됩니다.
{이대우/부산시 미래에너지정책팀장/"대규모 ESS팜을 조성해서 각 ESS와 사업자 수요자 간의 가상 상계 거래를 통해서 전력 거래를 하는 에너지 신산업 모델이 되겠습니다."}
25개 분산특구가 경합을 벌여 현재 후보지 7곳이 남은 상황인데 대부분 특구로 지정될 가능성이 높아 지역의 기대감이 높아지고 있습니다.
KNN 김동환입니다.
영상취재 권용국 영상편집 김유진
부산이 전국 제 1호 분산에너지 특화지역 가운데 하나로 선정돼 최종 특구 선정의 가능성이 높아졌습니다.
특구로 지정되면 저렴한 전기요금을 통한 기업유치는 물론, 막혔던 에너지신사업들이 허용돼 에너지혁신도시의 발판을 마련하게 됩니다.
김동환 기자가 보도합니다.
<기자>
정부의 분산에너지 특구 최종 후보지에 부산이 선정됐습니다.
강서구 에코델타시티와 인근 산단, 부산신항 등 축구장 7천 4백여개의 면적입니다.
분산특구로 지정되면 규제 특례가 적용돼 전기사업법 등으로 막혔던 에너지 신사업들이 허용됩니다.
대규모 전력을 보관하는 ESS팜 구축이 대표적인 사업입니다.
{남호석/부산연구원 연구위원/"이제 실질적으로 분산 에너지 사업자들이 어떤 식으로 경제성을 생각하면서 어떤 사업을 할지에 대한 그런 부분에 대한 그 역할(이 중요합니다.) "}
기장 정관신도시 에너지공급 시설의 ESS센터입니다.
어른 키보다 큰 ESS뱅크 하나에 보통 10가구가 한달 정도 사용할 수 있는 전기를 보관하고 있는데,
에코델타시티에는 이 같은 저장장치 120여개가 구축돼 특구 내 데이터센터 등에 저렴한 전기를 공급할 계획입니다.
{박재덕/부산정관에너지 대표이사/"대부분이 각각의 산업체마다 따로따로 돼 있어요. 그러다 보니까 투자비가 이중삼중으로 들어가는 거죠. 그런데 저희들은 이걸 이제 에코델타시티 안에 ESS팜이라는 것을 놔서 한꺼번에 모으겠다."}
분산특구 유치는 데이터센터와 반도체 등 전력 소비가 많은 첨단기업을 유치할 경쟁력을 가질 좋은 기회입니다.
신산업활성화형 부산 분산특구가 예정돼로 진행되면 그 동안 재생에너지 전력만 가능했던 ESS 충전 직거래가 한전 전력도 사용할 수 있도록 추친됩니다.
{이대우/부산시 미래에너지정책팀장/"대규모 ESS팜을 조성해서 각 ESS와 사업자 수요자 간의 가상 상계 거래를 통해서 전력 거래를 하는 에너지 신산업 모델이 되겠습니다."}
25개 분산특구가 경합을 벌여 현재 후보지 7곳이 남은 상황인데 대부분 특구로 지정될 가능성이 높아 지역의 기대감이 높아지고 있습니다.
KNN 김동환입니다.
영상취재 권용국 영상편집 김유진
KNN 뉴스는 24시간 여러분의 제보를 기다립니다.
▷ 전화
부산 051-850-9000
경남 055-283-0505
▷ 이메일 jebo@knn.co.kr
▷ knn 홈페이지/앱 접속, 시청자 제보 누르기
▷ 카카오톡 친구찾기 @knn
▷ 전화
부산 051-850-9000
경남 055-283-0505
▷ 이메일 jebo@knn.co.kr
▷ knn 홈페이지/앱 접속, 시청자 제보 누르기
▷ 카카오톡 친구찾기 @knn

김동환 기자
onair@knn.co.kr
많이 본 뉴스
주요뉴스
-
우주항공청 개청 1주년, 지역 발전은?2025.05.22
-
부산 분산에너지특구 성큼2025.05.22
-
스마트팜, 끝없는 진화... 2025 스마트팜 코리아2025.05.22
-
너도나도 부*울*경 GTX 공약, 실현 가능성은?2025.05.22
-
들이받고 덮치고...부산서 고령운전자 차량사고 잇따라2025.05.22
-
<단독>‘싸이에 밀린 전국체전’..체전 앞둔 선수들은 어디로2025.05.22
-
"통영 멍게 찾아주세요", 고수온 여파로 1년산 조기 수확2025.05.21
-
노조 집회에 본사 옮긴다는 현대위아, 지자체 고심2025.05.21
-
성적은 모처럼 '껑충' 시설은 여전히 '바닥'2025.05.21
-
코로나보다 더해..경기 불황에 문 닫는 자영업자들2025.05.2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