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회
통영 지역경기 살리기 행사, 지역상권에 오히려 독?
안형기
입력 : 2025.05.02 20:54
조회수 : 173
0
0
<앵커>
경기가 최악인 요즘, 지역을 살리기 위해 지자체들이 여러가지 행사들을 앞다퉈 열고 있습니다.
그런데 통영에서는 지역을 살리기 위한 행사가 오히려 지역상인들에게 피해를 주고 있다는 하소연이 나옵니다.
안형기 기자가 보도합니다.
<기자>
상가 곳곳에 임대 안내만 붙어있습니다.
유명관광지인데다 한창 바쁠 점심시간이지만 식당가는 한산합니다.
통영의 명동거리로 불릴 만큼 중심 상권이던 강구안이지만 이제는 옛 말이 됐습니다.
때문에 통영시가 2년전부터 예산 수억원을 들여 축제까지 여는등 발길을 모으는데 안간힘을 쓰고 있습니다.
"통영시는 이곳 강구안 해상무대에서 야간 음악공연과 함께 먹거리를 즐길 수 있는 축제행사를 매년 개최하고 있습니다."
하지만 정작 상인들은 매년 이 행사철만 되면 오히려 매출에 직격탄을 맞고 있다고 하소연합니다.
축제가 열리는 토요일마다 상가와 떨어진 행사장에만 방문객이 몰리면서 아예 상점쪽에는 발길이 뚝 끊깁니다.
{강구안 상인/"(행사) 시작한 이후에 (매출이) 거의 70%가 줄어들었죠. 주말만 보고 장사하는 사람들이 주말에 저런 행사를 하면 손님들 그쪽으로 다 몰리는데 저희가 장사가 되겠습니까."}
인근 상가로 발길이 이어지지 못하게 먹거리에 주류까지 행사장에만 가두면서 오히려 역효과가 난 겁니다.
{장수형/식당 운영/"거기서 테이블까지 놓고 술이라든지 음식을 가져다가 드시는데... 정상적으로 세금을 내고 유지를 하고 있는 분들 다 죽으라는 거거든요."}
하지만 정작 통영시는 행사기간 강구안에 3배가 넘는 방문객이 찾았으니 지역경제에 도움이 됐다고 설명합니다
{통영시 관계자/"주변에서 음식을 드시고 숙박도 연결되고 긍정적인 효과가 훨씬 더 컸다라고... 시에서는 모든 소상공인들이 다 잘되기를 바라고 있고... (행사를) 기획하면서 항상 지역민들과 소통하고 그렇게 같이 나가도록..."}
지역경기를 살리기 위해서라는데 정작 지역상가에는 발길이 끊기는 이상한 축제에, 통영 강구안 상인들은 한숨만 쉬고 있습니다.
KNN 안형기입니다.
영상취재 정창욱
경기가 최악인 요즘, 지역을 살리기 위해 지자체들이 여러가지 행사들을 앞다퉈 열고 있습니다.
그런데 통영에서는 지역을 살리기 위한 행사가 오히려 지역상인들에게 피해를 주고 있다는 하소연이 나옵니다.
안형기 기자가 보도합니다.
<기자>
상가 곳곳에 임대 안내만 붙어있습니다.
유명관광지인데다 한창 바쁠 점심시간이지만 식당가는 한산합니다.
통영의 명동거리로 불릴 만큼 중심 상권이던 강구안이지만 이제는 옛 말이 됐습니다.
때문에 통영시가 2년전부터 예산 수억원을 들여 축제까지 여는등 발길을 모으는데 안간힘을 쓰고 있습니다.
"통영시는 이곳 강구안 해상무대에서 야간 음악공연과 함께 먹거리를 즐길 수 있는 축제행사를 매년 개최하고 있습니다."
하지만 정작 상인들은 매년 이 행사철만 되면 오히려 매출에 직격탄을 맞고 있다고 하소연합니다.
축제가 열리는 토요일마다 상가와 떨어진 행사장에만 방문객이 몰리면서 아예 상점쪽에는 발길이 뚝 끊깁니다.
{강구안 상인/"(행사) 시작한 이후에 (매출이) 거의 70%가 줄어들었죠. 주말만 보고 장사하는 사람들이 주말에 저런 행사를 하면 손님들 그쪽으로 다 몰리는데 저희가 장사가 되겠습니까."}
인근 상가로 발길이 이어지지 못하게 먹거리에 주류까지 행사장에만 가두면서 오히려 역효과가 난 겁니다.
{장수형/식당 운영/"거기서 테이블까지 놓고 술이라든지 음식을 가져다가 드시는데... 정상적으로 세금을 내고 유지를 하고 있는 분들 다 죽으라는 거거든요."}
하지만 정작 통영시는 행사기간 강구안에 3배가 넘는 방문객이 찾았으니 지역경제에 도움이 됐다고 설명합니다
{통영시 관계자/"주변에서 음식을 드시고 숙박도 연결되고 긍정적인 효과가 훨씬 더 컸다라고... 시에서는 모든 소상공인들이 다 잘되기를 바라고 있고... (행사를) 기획하면서 항상 지역민들과 소통하고 그렇게 같이 나가도록..."}
지역경기를 살리기 위해서라는데 정작 지역상가에는 발길이 끊기는 이상한 축제에, 통영 강구안 상인들은 한숨만 쉬고 있습니다.
KNN 안형기입니다.
영상취재 정창욱
KNN 뉴스는 24시간 여러분의 제보를 기다립니다.
▷ 전화
부산 051-850-9000
경남 055-283-0505
▷ 이메일 jebo@knn.co.kr
▷ knn 홈페이지/앱 접속, 시청자 제보 누르기
▷ 카카오톡 친구찾기 @knn
▷ 전화
부산 051-850-9000
경남 055-283-0505
▷ 이메일 jebo@knn.co.kr
▷ knn 홈페이지/앱 접속, 시청자 제보 누르기
▷ 카카오톡 친구찾기 @knn
안형기 기자
ahk@knn.co.kr
많이 본 뉴스
주요뉴스
-
교육부, 무단 결석 의대생 제적 절차 돌입2025.05.02
-
제64회 경남도민체육대회 개막2025.05.02
-
제28회 하동야생차문화축제 개막2025.05.02
-
통영 지역경기 살리기 행사, 지역상권에 오히려 독?2025.05.02
-
황매산 철쭉제 개막, 다음주 절정 예상2025.05.02
-
수입 축산물 2천톤 국내산 둔갑, 납품업자 3명 구속2025.05.02
-
[현장]날개 단 롯데 자이언츠..주변 상권도 '후끈'2025.05.02
-
시의회 "시민들과 함께 행동할 것" 현대건설 규탄2025.05.01
-
성탄절 여고생 살해 10대 소년법 최고형 선고2025.05.01
-
상생 의지 헛구호 경남 대기업 문화예술 투자 무관심2025.05.0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