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회
창원제2국가산단 그린벨트 해제 보류, 추진 빨간불
주우진
입력 : 2025.02.25 20:57
조회수 : 820
0
0
<앵커>
비수도권의 그린벨트를 풀어주는 국가*지역 전략사업에 부산경남에서 7곳이 선정됐습니다.
하지만 명태균의 개입 의혹을 받는 창원제2국가산단은 빠지면서 앞으로의 추진에도 빨간불이 들어왔습니다.
주우진 기자입니다.
<기자>
부산은 53사단 부지 첨단사이언스파크와 제2에코델타시티 등 3곳이 국가*지역 전략사업으로 지정됐습니다.
경남은 진해신항 배후부지 등 4곳이 선정돼, 부산경남 7곳의 부지로 그린벨트 2천730만제곱미터가 풀립니다.
을숙도 면적의 약 73배로, 막대한 개발용지가 확보되면서, 신성장 사업 추진에 동력을 얻게 됐습니다.
{박형준/부산시장 "3개 시도지사가 힘을 모아 제도 개선을 위한 공동건의문을 발표하는 등 지속적으로 노력해왔고 앞으로도 규제개선을 위해 부울경이 함께 협력하여 제도개선을 해 나가도록 하겠습니다."}
문제는 국가산단 후보지로 지정된 창원제2국가산단이 빠졌다는 점입니다.
창원제2국가산단은 정부의 국가첨단산업육성 전략의 하나로 방위*원자력 융합 산단을 조성하는 게 목표입니다.
그런데 부지에서 폐광산이 발견돼 오염수 유입 우려가 있다는 이유로 이번에 지정이 보류됐습니다.
{신종우/경남도 도시정책국장 "서류 심사하고 현장 평가하고 그 결과를 가지고 심의하는 건데, 그 서류 심사, 현장 평가할 당시에는 폐광산이 없었으니까 그런 자료 없이 결정하는 것은 어렵다 해서..."}
경남도가 일단 전략사업으로 선정하고 구획 조정 등 추후 보완하자고 수차례 요청했지만 묵살됐습니다.
정치적 고려는 없었다고 하지만, 창원제2국가산단 명태균 개입 의혹을 다분히 의식한 조치라는 분석이 나옵니다.
경남도와 창원시는 명 씨가 산단 추진 계획을 미리 알고 투기했다는 의혹으로 검찰 수사를 받아왔습니다.
산단 조성 책임자 처벌을 촉구하는 정치권의 공세가 계속되는만큼, 지정을 재추진한다해도 여론이 부담입니다.
"폐광산 부지 대책 등 자료를 보완해 국토부의 재심의를 받기로 했지만 구체적인 재심의 일정은 아직 나오지 않았습니다.
KNN 주우진입니다."
비수도권의 그린벨트를 풀어주는 국가*지역 전략사업에 부산경남에서 7곳이 선정됐습니다.
하지만 명태균의 개입 의혹을 받는 창원제2국가산단은 빠지면서 앞으로의 추진에도 빨간불이 들어왔습니다.
주우진 기자입니다.
<기자>
부산은 53사단 부지 첨단사이언스파크와 제2에코델타시티 등 3곳이 국가*지역 전략사업으로 지정됐습니다.
경남은 진해신항 배후부지 등 4곳이 선정돼, 부산경남 7곳의 부지로 그린벨트 2천730만제곱미터가 풀립니다.
을숙도 면적의 약 73배로, 막대한 개발용지가 확보되면서, 신성장 사업 추진에 동력을 얻게 됐습니다.
{박형준/부산시장 "3개 시도지사가 힘을 모아 제도 개선을 위한 공동건의문을 발표하는 등 지속적으로 노력해왔고 앞으로도 규제개선을 위해 부울경이 함께 협력하여 제도개선을 해 나가도록 하겠습니다."}
문제는 국가산단 후보지로 지정된 창원제2국가산단이 빠졌다는 점입니다.
창원제2국가산단은 정부의 국가첨단산업육성 전략의 하나로 방위*원자력 융합 산단을 조성하는 게 목표입니다.
그런데 부지에서 폐광산이 발견돼 오염수 유입 우려가 있다는 이유로 이번에 지정이 보류됐습니다.
{신종우/경남도 도시정책국장 "서류 심사하고 현장 평가하고 그 결과를 가지고 심의하는 건데, 그 서류 심사, 현장 평가할 당시에는 폐광산이 없었으니까 그런 자료 없이 결정하는 것은 어렵다 해서..."}
경남도가 일단 전략사업으로 선정하고 구획 조정 등 추후 보완하자고 수차례 요청했지만 묵살됐습니다.
정치적 고려는 없었다고 하지만, 창원제2국가산단 명태균 개입 의혹을 다분히 의식한 조치라는 분석이 나옵니다.
경남도와 창원시는 명 씨가 산단 추진 계획을 미리 알고 투기했다는 의혹으로 검찰 수사를 받아왔습니다.
산단 조성 책임자 처벌을 촉구하는 정치권의 공세가 계속되는만큼, 지정을 재추진한다해도 여론이 부담입니다.
"폐광산 부지 대책 등 자료를 보완해 국토부의 재심의를 받기로 했지만 구체적인 재심의 일정은 아직 나오지 않았습니다.
KNN 주우진입니다."
KNN 뉴스는 24시간 여러분의 제보를 기다립니다.
▷ 전화
부산 051-850-9000
경남 055-283-0505
▷ 이메일 jebo@knn.co.kr
▷ knn 홈페이지/앱 접속, 시청자 제보 누르기
▷ 카카오톡 친구찾기 @knn
▷ 전화
부산 051-850-9000
경남 055-283-0505
▷ 이메일 jebo@knn.co.kr
▷ knn 홈페이지/앱 접속, 시청자 제보 누르기
▷ 카카오톡 친구찾기 @knn

주우진 기자
wjjoo@knn.co.kr
많이 본 뉴스
주요뉴스
-
실적만 빛나는 한화... 안전 '구멍'에 노동자 '탄압'2025.09.04
-
[단독]김진홍 동구청장, 보은인사에 외유성 출장 의혹까지2025.09.04
-
부산 이전 '해수부 직원' 정착지원 대책 공개2025.09.04
-
농협 대출연체율 급증... 자산건전성 '흔들'2025.09.04
-
해수담수화시설로 공업용수 공급 숙제 여전2025.09.03
-
낙동강 취수원 다변화, 내년에는 시작되나?2025.09.03
-
생활형 숙박시설, 오피스텔 전환 신청 마감 임박..과제는?2025.09.03
-
[단독]'특혜 의혹' 정황 또 확인... 거짓 해명도 '도마'2025.09.02
-
국립박물관 '굿즈' 대박인데...초라한 지역 현실2025.09.02
-
마약처럼 쓰이는 감기약... 10대까지 파고 들었다2025.09.0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