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
부산경남 지자체, 지역경제 살리기 위한 '착한 선결제'
양휴창
입력 : 2025.02.22 18:24
조회수 : 258
0
0
<앵커>
요즘 경기 악화로 식당들 많이 어려운데요.
보다못한 경남 지자체들까지 '착한 선결제'로 숨통을 틔우자고 나섰습니다.
양휴창 기자입니다.}
<기자>
점심시간, 양산 시청 앞의 이 식당에는 사람들로 가득 찼습니다.
시청 인근 상권을 살리기 위해 선결제로 이용에 나선 시청 공무원들입니다.
{안진선/양산 시청 소통담당관/"15만 원 먼저 결제할게요"}
돈을 월말에 내는 기존후불제 대신 미리 결제를 해두고 이용하는걸로 바꾼건데,식당에게는 가뭄의 단비입니다.
{서기호/양산 시청 인근 식당 사장/"지금 굉장히 어려운 시기에 소상공인한테는 매출을 미리 확보할 수 있기 때문에 안정적으로 참 도움이 많이 된다고 봅니다. 이 이후로 매출이 좀 더 올라가고 많은 도움이 됐습니다"}
지난해 비상계엄에 잇따른 대형사고 로 경기가 위축되자, 지자체 차원에서 정책적으로 지원에 나선 것입니다.
{나동연 양산 시장/"소상공인과 자영업자의 경영 안정을 돕는 착한 소비운동입니다. 이로 하여 골목 상권의 활력을 불어 넣어줄 수 있도록 기대를 해 봅니다."}
이런 식으로 양산시가 집행한 선결제만 한달동안 1억 1천만원에 이릅니다.
김해도 지금까지 2억 5천만원의 선결제를 시청 인근상권에 몰아줬습니다.
{홍태용 김해 시장/"코로나 펜데믹 때에 준하는 그런 내수경기 위기 상황이 지금 도래했기 때문에 이런 비용들을 선결제를 통해서 소상공인 분들이 어려움을 극복하시는데 조금이라도 도움이 되시지 않을까 그렇게 기대하고 있습니다.}
부산도 '부산형 착한결제' 캠페인을 통해 지난달 33억 원을 결제하는 등 지역 상권 살리기가 한창입니다.
창원시는 소상공인연합회와 손잡고 20억 원을 선결제 하기로 하는 등 착한선결제가 빠르게 확산되고 있습니다.
"지자체 지원을 통해 어려움을 겪고있는 식당 등 자영업자들이 부담을 덜 수 있을지 주목됩니다
KNN 양휴창입니다."
요즘 경기 악화로 식당들 많이 어려운데요.
보다못한 경남 지자체들까지 '착한 선결제'로 숨통을 틔우자고 나섰습니다.
양휴창 기자입니다.}
<기자>
점심시간, 양산 시청 앞의 이 식당에는 사람들로 가득 찼습니다.
시청 인근 상권을 살리기 위해 선결제로 이용에 나선 시청 공무원들입니다.
{안진선/양산 시청 소통담당관/"15만 원 먼저 결제할게요"}
돈을 월말에 내는 기존후불제 대신 미리 결제를 해두고 이용하는걸로 바꾼건데,식당에게는 가뭄의 단비입니다.
{서기호/양산 시청 인근 식당 사장/"지금 굉장히 어려운 시기에 소상공인한테는 매출을 미리 확보할 수 있기 때문에 안정적으로 참 도움이 많이 된다고 봅니다. 이 이후로 매출이 좀 더 올라가고 많은 도움이 됐습니다"}
지난해 비상계엄에 잇따른 대형사고 로 경기가 위축되자, 지자체 차원에서 정책적으로 지원에 나선 것입니다.
{나동연 양산 시장/"소상공인과 자영업자의 경영 안정을 돕는 착한 소비운동입니다. 이로 하여 골목 상권의 활력을 불어 넣어줄 수 있도록 기대를 해 봅니다."}
이런 식으로 양산시가 집행한 선결제만 한달동안 1억 1천만원에 이릅니다.
김해도 지금까지 2억 5천만원의 선결제를 시청 인근상권에 몰아줬습니다.
{홍태용 김해 시장/"코로나 펜데믹 때에 준하는 그런 내수경기 위기 상황이 지금 도래했기 때문에 이런 비용들을 선결제를 통해서 소상공인 분들이 어려움을 극복하시는데 조금이라도 도움이 되시지 않을까 그렇게 기대하고 있습니다.}
부산도 '부산형 착한결제' 캠페인을 통해 지난달 33억 원을 결제하는 등 지역 상권 살리기가 한창입니다.
창원시는 소상공인연합회와 손잡고 20억 원을 선결제 하기로 하는 등 착한선결제가 빠르게 확산되고 있습니다.
"지자체 지원을 통해 어려움을 겪고있는 식당 등 자영업자들이 부담을 덜 수 있을지 주목됩니다
KNN 양휴창입니다."
KNN 뉴스는 24시간 여러분의 제보를 기다립니다.
▷ 전화
부산 051-850-9000
경남 055-283-0505
▷ 이메일 jebo@knn.co.kr
▷ knn 홈페이지/앱 접속, 시청자 제보 누르기
▷ 카카오톡 친구찾기 @knn
▷ 전화
부산 051-850-9000
경남 055-283-0505
▷ 이메일 jebo@knn.co.kr
▷ knn 홈페이지/앱 접속, 시청자 제보 누르기
▷ 카카오톡 친구찾기 @knn
양휴창 기자
hyu@knn.co.kr
많이 본 뉴스
주요뉴스
-
봄내음 성큼 미나리 수확, 매화 개화 시작2025.02.22
-
부산경남 지자체, 지역경제 살리기 위한 '착한 선결제'2025.02.22
-
수영 삼거리 2층 건물에서 불2025.02.22
-
반얀트리 화재 유족, 진상규명*책임자 처벌 촉구2025.02.22
-
제주항공, 지상조업에서도 또 사망사고2025.02.21
-
[단독]부산역 승강장 꺼짐 현상, 지하차도 공사 탓?2025.02.21
-
오시리아 문화예술타운 2개 소송 승소2025.02.21
-
부산경남 프로축구, "올해는 다르다!"2025.02.21
-
반얀트리, 커지는 '엉터리 사용 승인' 의혹2025.02.20
-
[단독]부산 생태하천 30년, 실제 개선효과는 '미지수'2025.02.2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