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회
                    멧돼지 도심 습격, "앞으로 더 늘어난다"
                                하영광
                                입력 : 2024.10.30 20:52
								
                            
                            조회수 : 1104
                        
                                	
                                    0
                                
                                
                                    
                                    0
                                
                                
                                
                            <앵커>
어제(29) 부산도시철도 역사에 멧돼지가 출몰한데 이어 오늘(30)도 부산에서 차에 치인 멧돼지 두 마리가 발견됐습니다.
도심을 위협하는 멧돼지는 점점 늘어나는데, 어찌된 일인지 포획되는 멧돼지는 크게 준 것으로 확인됐습니다.
하영광 기자가 취재했습니다.
<기자>
무게 100kg의 멧돼지가 도시철도 역사 안을 누빕니다.
긴급 출동한 경찰관이 멧돼지 복부를 향해 총을 쏩니다.
멧돼지는 신고 한 시간 만에 사살됐지만 승객 한 명이 부상을 입었고 승객들은 긴급 대피했습니다.
{도시철도 이용객/"역무원 사무실 앞에 출입구(가) 유리문인데, 완전히 박살나서 유리 파편들 밖에 없었고요. 개찰구부터 계단 위, 스크린도어까지 핏자국이 일자로 쭉 계속."}
연이어 오늘(30) 새벽 부산 회동동에서도 멧돼지 두 마리가 차에 치여 죽은 채 발견됐습니다.
"발견된 멧돼지입니다.
도심지역에서 멧돼지 출몰이 잦아지며 시민 안전을 위협하는 가운데, 정작 포획 건수는 줄고 있는 것으로 확인됐습니다."
"부산의 멧돼지 포획 두수는 지난해 803두에서 올해 193두로 급감했습니다."
지난 4월 부산에서 아프리카 돼지열병이 발생하자 환경부는 전염가능성을 이유로 사냥개 이용을 금지했습니다.
엽사들은 사냥개 없이는 멧돼지 포획이 사실상 불가능하다고 말합니다.
{이성남/부산야생동물보호협회 해운대지회장/"돼지 같은 경우엔 아주 예민하고 민감하기 때문에 개 없이는 사람이 잡기는 좀 어렵습니다. 환경부에서 이렇게 개를 규제해놓기 때문에 어떠한 방법이 없습니다, 지금."}
다음달부터는 멧돼지가 번식철을 앞두고 있어 개체수는 더욱 늘어날 것으로 보입니다.
"환경부는 사냥개 대신 열화상 카메라 등 대체 장비 사용이 가능하다는 입장입니다."
하지만 산과 도심이 혼재된 대도시 특성상 대체 장비 사용이 어렵다는 반론이 나오는 가운데, 멧돼지의 도심 습격 위험성은 높아져가고 있습니다.
KNN 하영광입니다.
                    
                    
                    
                    
                    어제(29) 부산도시철도 역사에 멧돼지가 출몰한데 이어 오늘(30)도 부산에서 차에 치인 멧돼지 두 마리가 발견됐습니다.
도심을 위협하는 멧돼지는 점점 늘어나는데, 어찌된 일인지 포획되는 멧돼지는 크게 준 것으로 확인됐습니다.
하영광 기자가 취재했습니다.
<기자>
무게 100kg의 멧돼지가 도시철도 역사 안을 누빕니다.
긴급 출동한 경찰관이 멧돼지 복부를 향해 총을 쏩니다.
멧돼지는 신고 한 시간 만에 사살됐지만 승객 한 명이 부상을 입었고 승객들은 긴급 대피했습니다.
{도시철도 이용객/"역무원 사무실 앞에 출입구(가) 유리문인데, 완전히 박살나서 유리 파편들 밖에 없었고요. 개찰구부터 계단 위, 스크린도어까지 핏자국이 일자로 쭉 계속."}
연이어 오늘(30) 새벽 부산 회동동에서도 멧돼지 두 마리가 차에 치여 죽은 채 발견됐습니다.
"발견된 멧돼지입니다.
도심지역에서 멧돼지 출몰이 잦아지며 시민 안전을 위협하는 가운데, 정작 포획 건수는 줄고 있는 것으로 확인됐습니다."
"부산의 멧돼지 포획 두수는 지난해 803두에서 올해 193두로 급감했습니다."
지난 4월 부산에서 아프리카 돼지열병이 발생하자 환경부는 전염가능성을 이유로 사냥개 이용을 금지했습니다.
엽사들은 사냥개 없이는 멧돼지 포획이 사실상 불가능하다고 말합니다.
{이성남/부산야생동물보호협회 해운대지회장/"돼지 같은 경우엔 아주 예민하고 민감하기 때문에 개 없이는 사람이 잡기는 좀 어렵습니다. 환경부에서 이렇게 개를 규제해놓기 때문에 어떠한 방법이 없습니다, 지금."}
다음달부터는 멧돼지가 번식철을 앞두고 있어 개체수는 더욱 늘어날 것으로 보입니다.
"환경부는 사냥개 대신 열화상 카메라 등 대체 장비 사용이 가능하다는 입장입니다."
하지만 산과 도심이 혼재된 대도시 특성상 대체 장비 사용이 어렵다는 반론이 나오는 가운데, 멧돼지의 도심 습격 위험성은 높아져가고 있습니다.
KNN 하영광입니다.
                    
                    KNN 뉴스는 24시간 여러분의 제보를 기다립니다.
▷ 전화
부산 051-850-9000
경남 055-283-0505
▷ 이메일 jebo@knn.co.kr
▷ knn 홈페이지/앱 접속, 시청자 제보 누르기
▷ 카카오톡 친구찾기 @knn
                              
                    ▷ 전화
부산 051-850-9000
경남 055-283-0505
▷ 이메일 jebo@knn.co.kr
▷ knn 홈페이지/앱 접속, 시청자 제보 누르기
▷ 카카오톡 친구찾기 @knn
 
                             하영광  기자
                                
                                hi@knn.co.kr
                            많이 본 뉴스
주요뉴스
- 
                                
                                    20년 숙원 금정산국립공원 드디어 결실2025.10.31
- 
                                
                                    "먹튀 또 있었다"..기승 부리는 '보따리 사무장' 피해2025.10.31
- 
                                
                                    [현장]시행사 일방 철거... 방치된 사람들2025.10.31
- 
                                
                                    중소기업 ‘재도약 프로젝트’ 효과 기대2025.10.31
- 
                                
                                    미*중 정상회담 열린 '나래마루' 관광 명소 될까?2025.10.30
- 
                                
                                    조선업 중심지 경남, APEC 성과로 경제 수혜 기대2025.10.30
- 
                                
                                    친환경 행사에 오히려 자연 훼손... 무슨 일이?2025.10.30
- 
                                
                                    [단독]160억 들인 굴껍데기 재활용 공장 '1년째 멈춤'2025.10.30
- 
                                
                                    미중 정상회담 열리는 김해공항, 보안 낙제점?2025.10.28
- 
                                
                                    은폐되는 1급 발암물질... 허울뿐인 폐아스콘 재활용률2025.10.28
 
                         페이스북
페이스북 트위터
트위터 카카오톡
카카오톡 URL복사
URL복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