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회
밀양 아파트 폭발사고, 이웃 주민 이주민 신세
김동환
입력 : 2024.07.24 20:53
조회수 : 911
0
0
<앵커>
지난주 폭발 화재가 발생한 밀양의 한 아파트의 복구 작업이 한창입니다.
하루아침에 이재민 신세가 된 주민들의 불편은 폭염 속에 끝이 없습니다.
김동환 기자가 보도합니다.
<기자>
일주일 전 폭발 화재가 났던 밀양의 한 아파트입니다.
창틀이 통째로 날아간 채 시커먼 그을음이 그대로 남아있습니다.
안타깝게도 1명이 숨진 폭발의 여파로 같은 건물의 이웃 7가구도 큰 피해를 입었습니다.
{아파트 주민/"창문이 넉장 깨져서 어제 갈아넣고 방화문도 아마 오늘 내일 하러 올거거든요."}
하루아침에 이재민 신세가 돼 무더위에 모텔 생활을 하게 된 일부 주민들은 불편이 이만저만이 아닙니다.
식당에서 하루 세 끼를 모두 사먹고 무더위에 계속 갈아입는 여름철 옷가지들은 빨래방에서 해결합니다.
{아파트 주민/"보금자리가 없어지니까 최고 시급하지, 먹고 자고 하는게,,복구(시기)는 아예 모르겠어요. 밥은 여기저기서 하루는 여기 갔다가 저기갔다가,,,"}
심각한 손상을 입은 아파트 외벽은 일부를 철거하고 보수하는 작업이 한창입니다.
파손된 수도와 환기통로, 배수관 공사 등 해야할 일이 많습니다.
"밀양시는 사고 원인으로 추정되는 가스 안전점검과 정밀안전진단 점검을 마친 상태입니다."
화재 당일부터 현장 상황실을 꾸리고 재난안전대책본부를 운영하고 있는 밀양시는 추가 안전진단을 진행할 예정입니다.
{이창희/밀양시 건축과 공동주택 담당/"각 세대에 들어가서 벽이라던지 주요 구조부가 문제가 있는 것인지에 대한 부분을 별도로 저희들이 진단을 할 것입니다."}
피해 아파트를 사회재난지역으로 지정한 밀양시는 피해자 지원 방안을 다각도로 검토하고 있습니다.
하지만 폭염 속에 집을 잃고 시작한 이재민 생활이 언제 끝날 지는 아무도 모를 상황입니다.
KNN김동환입니다.
지난주 폭발 화재가 발생한 밀양의 한 아파트의 복구 작업이 한창입니다.
하루아침에 이재민 신세가 된 주민들의 불편은 폭염 속에 끝이 없습니다.
김동환 기자가 보도합니다.
<기자>
일주일 전 폭발 화재가 났던 밀양의 한 아파트입니다.
창틀이 통째로 날아간 채 시커먼 그을음이 그대로 남아있습니다.
안타깝게도 1명이 숨진 폭발의 여파로 같은 건물의 이웃 7가구도 큰 피해를 입었습니다.
{아파트 주민/"창문이 넉장 깨져서 어제 갈아넣고 방화문도 아마 오늘 내일 하러 올거거든요."}
하루아침에 이재민 신세가 돼 무더위에 모텔 생활을 하게 된 일부 주민들은 불편이 이만저만이 아닙니다.
식당에서 하루 세 끼를 모두 사먹고 무더위에 계속 갈아입는 여름철 옷가지들은 빨래방에서 해결합니다.
{아파트 주민/"보금자리가 없어지니까 최고 시급하지, 먹고 자고 하는게,,복구(시기)는 아예 모르겠어요. 밥은 여기저기서 하루는 여기 갔다가 저기갔다가,,,"}
심각한 손상을 입은 아파트 외벽은 일부를 철거하고 보수하는 작업이 한창입니다.
파손된 수도와 환기통로, 배수관 공사 등 해야할 일이 많습니다.
"밀양시는 사고 원인으로 추정되는 가스 안전점검과 정밀안전진단 점검을 마친 상태입니다."
화재 당일부터 현장 상황실을 꾸리고 재난안전대책본부를 운영하고 있는 밀양시는 추가 안전진단을 진행할 예정입니다.
{이창희/밀양시 건축과 공동주택 담당/"각 세대에 들어가서 벽이라던지 주요 구조부가 문제가 있는 것인지에 대한 부분을 별도로 저희들이 진단을 할 것입니다."}
피해 아파트를 사회재난지역으로 지정한 밀양시는 피해자 지원 방안을 다각도로 검토하고 있습니다.
하지만 폭염 속에 집을 잃고 시작한 이재민 생활이 언제 끝날 지는 아무도 모를 상황입니다.
KNN김동환입니다.
KNN 뉴스는 24시간 여러분의 제보를 기다립니다.
▷ 전화
부산 051-850-9000
경남 055-283-0505
▷ 이메일 jebo@knn.co.kr
▷ knn 홈페이지/앱 접속, 시청자 제보 누르기
▷ 카카오톡 친구찾기 @knn
▷ 전화
부산 051-850-9000
경남 055-283-0505
▷ 이메일 jebo@knn.co.kr
▷ knn 홈페이지/앱 접속, 시청자 제보 누르기
▷ 카카오톡 친구찾기 @knn

김동환 기자
onair@knn.co.kr
많이 본 뉴스
주요뉴스
-
<단독>10개 병원 응급실 의사 13명 인건비 지원 중단2025.04.30
-
5월 황금연휴 앞두고 김해공항 대란 재현되나?2025.04.30
-
가덕신공항 조기개항 약속 내팽개친 현대건설2025.04.30
-
백화점 '팝업 스토어' 매출 상승세 이끈다2025.04.30
-
"추가 1조 원에 시간도 2년 더 달라고?"2025.04.29
-
정권교체기 공공기관 사장 인선 '알박기' 논란2025.04.29
-
[단독]학교에서 성추행 도주, 5개월째 못잡는 경찰2025.04.29
-
[단독]'유령 법률사무소' 홈페이지 올려 상담료 사기2025.04.29
-
SKT 유심 '해킹 포비아' 현장은 대혼란2025.04.28
-
가덕도신공항 2029년 조기 개항 차질?2025.04.2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