건강
[건강365] 뇌졸중 아닌 '경추척수증' 이렇게 구분해야
이아영
입력 : 2024.07.24 11:14
조회수 : 1270
0
0
<앵커>
팔이 저리면서 몸이 마비되는 느낌이 들면 언뜻 뇌졸중을 의심하게 됩니다.
그런데 중추신경에 문제가 생겼을 때도 비슷한 증상이 생기기 때문에 제대로 구분해서 치료해야 합니다.
오늘 건강365에서는 '경추척수증'에 대해 알아봅니다.
이곳은 척추를 구성하는 뼈 가운데 한 부분인 목뼈 경추와, 등뼈 흉추입니다.
뼈 자체에 문제가 생기거나 디스크만 튀어나올 수도 있지만 신경이 눌리면서 또 다른 문제를 만들기도 합니다.
(이주영 동아대학교병원 정형외과 척추센터 교수 / 서울대학교 의과대학 의학과 졸업, 서울아산병원 정형외과 척추 외래교수)
{허리디스크나 척추관협착증은 많이들 알고 계시죠?
쉽게 이러한 디스크나 협착증이 목이나 등에 생겨서 척수를 누르게 되면 중추신경이 비가역적으로 손상되게 되는데 이 결과로 보행장애나 균형감 소실, 손이 어눌해지면서 단추 잠그기나 글씨 쓰기가 힘들어지고 최종적으로는 사지마비, 대소변 장애를 유발하는 질환을 얘기합니다. }
타고날 때부터 척수 신경이 지나가는 척추관이 좁은 경우나 디스크 탈출증이 오랫동안 상당히 진행된 경우.
퇴행성 질환에 의해 자란 뼈가 커지면서 척수 신경을 압박하는 것이 원인입니다.
{ 뇌졸중의 경우 주로 편측성 마비, 심한 두통, 어지러움, 언어장애 등의 증상이 급성으로 나타나게 됩니다.
이에 반해서 경추척수증의 경우 양측성 마비가 만성적으로 점차 진행하는 양상을 띄는 경우가 많고 양쪽 팔에 저린 감각을 동반하기도 합니다. }
주로 60대 이상 노년층에서 빈번하게 생기지만 젊은 층도 안심할 수는 없는데요.
척수가 오랫동안 눌리게 되면 혈액 공급이 원활하게 이뤄지지 않아서 사지 마비까지 부를 수 있습니다.
{확진은 MRI입니다. 경*흉추 척수는 허리와 다르게 뇌와 같은 중추신경이기 때문에 한 번 손상되면 회복이 거의 되질 않습니다.
이에 치료 목표는 증상 개선보다는 악화를 막는 암 수술에 가깝다고 이해를 하시면 편하고, 약이나 주사는 전혀 의미가 없으며 물리적인 감압, 즉 수술이 반드시 필요합니다. }
대부분 나이가 들면서 퇴행성으로 생기는 만큼 예방을 위해선 평소 올바른 자세를 유지하는 것이 무엇보다 중요합니다.
운동 전이나 몸에 부담이 많이 가는 일을 할 때는 안전 장비를 사용하는 것을 권장합니다. 건강365였습니다.
KNN 뉴스는 24시간 여러분의 제보를 기다립니다.
▷ 전화
부산 051-850-9000
경남 055-283-0505
▷ 이메일 jebo@knn.co.kr
▷ knn 홈페이지/앱 접속, 시청자 제보 누르기
▷ 카카오톡 친구찾기 @knn
▷ 전화
부산 051-850-9000
경남 055-283-0505
▷ 이메일 jebo@knn.co.kr
▷ knn 홈페이지/앱 접속, 시청자 제보 누르기
▷ 카카오톡 친구찾기 @knn

이아영 작가
yyy@knn.co.kr
많이 본 뉴스
주요뉴스
-
땅꺼짐 12차례 사상*하단선 현장...사고막을 대책은?2025.04.10
-
[단독] 부산시가 유치한 명문 국제학교, 설립 조차 미지수2025.04.10
-
잇따르는 출마 선언, 지역 의원들 고민2025.04.10
-
조기대선에 지역 현안 추진에 불똥2025.04.10
-
<오희주의 날씨> 내륙 중심 큰 일교차..내일 오전 부산 대기질 '나쁨'2025.04.10
-
"벌목이 불 키웠다", 산림정책 전환 요구 봇물2025.04.10
-
스타트업 보육*투자까지 한 곳에서..부산창투원 출범2025.04.09
-
조선업 호황 놓칠라...지역은행 지원2025.04.09
-
국내 기술로 만든 첫 호화 크루즈..'팬스타 미라클' 이름 내걸다2025.04.09
-
[단독 ]근무태만 '해임' 당한 경찰...부산경찰, 기강해이 심각2025.04.0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