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
코로나때보다 더 힘들다...신용 보증사고 급증
김민욱
입력 : 2024.07.19 19:43
조회수 : 1211
0
0
<앵커>
고물가, 고금리 등의 여파로 자영업자들이 대출받은 돈을 은행에 제대로 갚지 못하는 신용 보증사고가 급증한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자영업자들은 코로나19 때보다 더 힘들다고 하는데, 이유가 무엇인지 김민욱 기자가 취재했습니다. }
<기자>
부산 광안리에서 9년째 식당을 운영하는 조숙희 씨,
조 씨는 창업 자금 등 8천만 원을 신용보증재단을 통해 금융기관으로부터 대출받았습니다.
조 씨가 한 달에 갚는 원금과 이자는 2백만원선,
연체가 되면 신용도가 내려가기 때문에 대출금 상환에 가장 신경 씁니다.
{조숙희/식당 운영/"연체가 되면 모든 것이 정지가 되니까 그건 0순위로 지키려고... 대출을 받는 것이 한계가 있으니까 3금융(권)이라든지..."}
조 씨는 그나마 대출 연체는 피했지만, 버티지 못한 자영업자들도 많습니다.
"부산신용보증재단에 따르면, 대출금을 갚지 못해 발생한 보증사고 비율은 2021년 1.7%에서 지난달에는 7.6%로 증가했습니다."
지난달까지 부산 전체 보증잔액 2조 9천억 원 가운데 보증사고 금액은 1천47억 원, 건수는 7천 건이 넘습니다.
신용보증재단이 채무자 대신 대출금을 갚아준 구상채권 비율도 2021년 1.1%에서 지난달 7%로 급증했습니다.
경남도 보증 사고 비율이 지난 2021년 1.8%에서 지난달 6.6%까지 급증했습니다.
부산신용보증재단은 코로나19 때 저신용, 저소득층을 위한 대규모 특례보증의 잠재 부실이 고물가, 고금리 영향으로 터진 것으로 보고 있습니다.
{성동화/부산신용보증재단 이사장/"코로나19 기간 중에 지원한 보증들이 전부다 특례 보증이다 보니까 자격이라든지 한도라든지 제한 없이 1천만 원~2천만 원 심사 없이, 간단한 심사만으로 자격만 되면 지원하는 건수, 작은 건수가 굉장히 많았습니다."}
부산시의회는 상환금 납부 유예 등 대책을 요구했습니다.
{김태효/부산시의원/"일시적으로 자금, 유동성 위기를 겪고 있는 기업들이나 가계들에 보증 한도를 늘려주거나 보증 금액을 늘려주는 방법밖에 없는데 그러려면 신용보증재단 출연금이 증가해야 되거든요."}
코로나 19 기간 각종 지원금과 세제 혜택이 대부분 줄어들면서 한계 자영업자들이 부도, 폐업 등으로 이어지지 않도록 대책 마련이 절실합니다.
KNN 김민욱입니다.
고물가, 고금리 등의 여파로 자영업자들이 대출받은 돈을 은행에 제대로 갚지 못하는 신용 보증사고가 급증한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자영업자들은 코로나19 때보다 더 힘들다고 하는데, 이유가 무엇인지 김민욱 기자가 취재했습니다. }
<기자>
부산 광안리에서 9년째 식당을 운영하는 조숙희 씨,
조 씨는 창업 자금 등 8천만 원을 신용보증재단을 통해 금융기관으로부터 대출받았습니다.
조 씨가 한 달에 갚는 원금과 이자는 2백만원선,
연체가 되면 신용도가 내려가기 때문에 대출금 상환에 가장 신경 씁니다.
{조숙희/식당 운영/"연체가 되면 모든 것이 정지가 되니까 그건 0순위로 지키려고... 대출을 받는 것이 한계가 있으니까 3금융(권)이라든지..."}
조 씨는 그나마 대출 연체는 피했지만, 버티지 못한 자영업자들도 많습니다.
"부산신용보증재단에 따르면, 대출금을 갚지 못해 발생한 보증사고 비율은 2021년 1.7%에서 지난달에는 7.6%로 증가했습니다."
지난달까지 부산 전체 보증잔액 2조 9천억 원 가운데 보증사고 금액은 1천47억 원, 건수는 7천 건이 넘습니다.
신용보증재단이 채무자 대신 대출금을 갚아준 구상채권 비율도 2021년 1.1%에서 지난달 7%로 급증했습니다.
경남도 보증 사고 비율이 지난 2021년 1.8%에서 지난달 6.6%까지 급증했습니다.
부산신용보증재단은 코로나19 때 저신용, 저소득층을 위한 대규모 특례보증의 잠재 부실이 고물가, 고금리 영향으로 터진 것으로 보고 있습니다.
{성동화/부산신용보증재단 이사장/"코로나19 기간 중에 지원한 보증들이 전부다 특례 보증이다 보니까 자격이라든지 한도라든지 제한 없이 1천만 원~2천만 원 심사 없이, 간단한 심사만으로 자격만 되면 지원하는 건수, 작은 건수가 굉장히 많았습니다."}
부산시의회는 상환금 납부 유예 등 대책을 요구했습니다.
{김태효/부산시의원/"일시적으로 자금, 유동성 위기를 겪고 있는 기업들이나 가계들에 보증 한도를 늘려주거나 보증 금액을 늘려주는 방법밖에 없는데 그러려면 신용보증재단 출연금이 증가해야 되거든요."}
코로나 19 기간 각종 지원금과 세제 혜택이 대부분 줄어들면서 한계 자영업자들이 부도, 폐업 등으로 이어지지 않도록 대책 마련이 절실합니다.
KNN 김민욱입니다.
KNN 뉴스는 24시간 여러분의 제보를 기다립니다.
▷ 전화
부산 051-850-9000
경남 055-283-0505
▷ 이메일 jebo@knn.co.kr
▷ knn 홈페이지/앱 접속, 시청자 제보 누르기
▷ 카카오톡 친구찾기 @knn
▷ 전화
부산 051-850-9000
경남 055-283-0505
▷ 이메일 jebo@knn.co.kr
▷ knn 홈페이지/앱 접속, 시청자 제보 누르기
▷ 카카오톡 친구찾기 @knn

김민욱 기자
uk@knn.co.kr
많이 본 뉴스
주요뉴스
-
해수담수화시설로 공업용수 공급 숙제 여전2025.09.03
-
낙동강 취수원 다변화, 내년에는 시작되나?2025.09.03
-
생활형 숙박시설, 오피스텔 전환 신청 마감 임박..과제는?2025.09.03
-
[단독]'특혜 의혹' 정황 또 확인... 거짓 해명도 '도마'2025.09.02
-
국립박물관 '굿즈' 대박인데...초라한 지역 현실2025.09.02
-
마약처럼 쓰이는 감기약... 10대까지 파고 들었다2025.09.02
-
<앵커리포트>부당한 공격에 대응하는 KNN의 자세2025.09.02
-
[단독]수자원공사 '남강댐 청소 입찰' 특혜 의혹2025.09.01
-
추석 출하용 참돔 전멸 "적조 확산 심상찮다"2025.09.01
-
세계로교회 대안학교 특혜 의혹 '일파만파'2025.09.0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