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회
의료공백 한 달째, 의대 교수들도 사직 움직임
최한솔
입력 : 2024.03.19 17:38
조회수 : 762
0
0
<앵커>
정부의 의대 증원 방침과 전공의 이탈로 인한 의료공백 사태가 한 달째 접어들었습니다.
이런 가운데 부산대와 경상대 등 지역의 의대 교수들도 사직의사를 밝히면서 정부와 의료계의 조속한 협상이 더욱 시급해졌습니다.
최한솔 기자가 취재했습니다.
<리포트>
전공의 이탈로 인한 의료공백 사태가 한 달째로 접어들었습니다.
이제는 의대 교수들도 사직을 예고했습니다.
부산*경남에선 경상대 교수들이 집단 사직을 결정했고 동아대는 전공의와 학생들의 신상에 문제가 생길 경우 사직을 하겠다고 밝혔습니다.
부산대 또한 집단 사직에 동참할 움직임입니다.
{오세옥/부산대 의대 교수협회장/"교수 설문조사에서 356 명이 참여하였고 그중 79.5%가 자발적 사직을 하겠다고 하였으며 3월 25일 이후부터 사직서 제출을 시작할 것입니다."}
정부 안대로 2천 명을 증원할 경우 현재의 실습실과 강의실로는 교육을 진행할 수 없고 그만한 교수진 충원도 힘들다는 것이 주요 이유입니다.
수십년 쌓아온 의료교육 체계가 감당 못할 학생수로 무너질 수 있다는 우려입니다.
{오세옥/부산대 의대 교수협회장/"현 사태가 지속될 경우, 내년 예과 1학년에는 유급생과 신입생을 합쳐 현재의 3배에 가까운 학생이 있게되고 이는 도저히 교육 불가능합니다."}
무엇보다 병원 진료를 병행하는 교수들이 대부분이라 이들의 사직은 의료공백과 직결됩니다.
그런 상황에서 교수협의회는 정부와 시민단체 그리고 전공의와 학생들로 대표되는 협의체들이 모여 조건 없는 토론을 통해 합의점을 찾아야 한다며 대책을 제시했습니다.
하지만 정부와 의협의 강대강 대치는 여전합니다.
{김강현/대한의사협회 비상대책위 대변인/"3월 20일에는 각 의대별 정원을 확정하여 발표한다고 언론에 보도되고 있습니다. 만일 의대별 정원이 확정 발표된다면 이는 사실상 돌아올 수 없는 강을 건너는 것입니다."}
전국 의료현장이 한순간에 무너질 수 있는 상황에서 대화와 협상의 자리가 무엇보다 절실해졌습니다.
KNN 최한솔입니다.
정부의 의대 증원 방침과 전공의 이탈로 인한 의료공백 사태가 한 달째 접어들었습니다.
이런 가운데 부산대와 경상대 등 지역의 의대 교수들도 사직의사를 밝히면서 정부와 의료계의 조속한 협상이 더욱 시급해졌습니다.
최한솔 기자가 취재했습니다.
<리포트>
전공의 이탈로 인한 의료공백 사태가 한 달째로 접어들었습니다.
이제는 의대 교수들도 사직을 예고했습니다.
부산*경남에선 경상대 교수들이 집단 사직을 결정했고 동아대는 전공의와 학생들의 신상에 문제가 생길 경우 사직을 하겠다고 밝혔습니다.
부산대 또한 집단 사직에 동참할 움직임입니다.
{오세옥/부산대 의대 교수협회장/"교수 설문조사에서 356 명이 참여하였고 그중 79.5%가 자발적 사직을 하겠다고 하였으며 3월 25일 이후부터 사직서 제출을 시작할 것입니다."}
정부 안대로 2천 명을 증원할 경우 현재의 실습실과 강의실로는 교육을 진행할 수 없고 그만한 교수진 충원도 힘들다는 것이 주요 이유입니다.
수십년 쌓아온 의료교육 체계가 감당 못할 학생수로 무너질 수 있다는 우려입니다.
{오세옥/부산대 의대 교수협회장/"현 사태가 지속될 경우, 내년 예과 1학년에는 유급생과 신입생을 합쳐 현재의 3배에 가까운 학생이 있게되고 이는 도저히 교육 불가능합니다."}
무엇보다 병원 진료를 병행하는 교수들이 대부분이라 이들의 사직은 의료공백과 직결됩니다.
그런 상황에서 교수협의회는 정부와 시민단체 그리고 전공의와 학생들로 대표되는 협의체들이 모여 조건 없는 토론을 통해 합의점을 찾아야 한다며 대책을 제시했습니다.
하지만 정부와 의협의 강대강 대치는 여전합니다.
{김강현/대한의사협회 비상대책위 대변인/"3월 20일에는 각 의대별 정원을 확정하여 발표한다고 언론에 보도되고 있습니다. 만일 의대별 정원이 확정 발표된다면 이는 사실상 돌아올 수 없는 강을 건너는 것입니다."}
전국 의료현장이 한순간에 무너질 수 있는 상황에서 대화와 협상의 자리가 무엇보다 절실해졌습니다.
KNN 최한솔입니다.
KNN 뉴스는 24시간 여러분의 제보를 기다립니다.
▷ 전화
부산 051-850-9000
경남 055-283-0505
▷ 이메일 jebo@knn.co.kr
▷ knn 홈페이지/앱 접속, 시청자 제보 누르기
▷ 카카오톡 친구찾기 @knn
▷ 전화
부산 051-850-9000
경남 055-283-0505
▷ 이메일 jebo@knn.co.kr
▷ knn 홈페이지/앱 접속, 시청자 제보 누르기
▷ 카카오톡 친구찾기 @knn
최한솔 기자
choi@knn.co.kr
많이 본 뉴스
주요뉴스
-
미중회담 부산 개최, 전 세계 시선 부산으로2025.10.27
-
'특혜' 북항 D3구역... 부당이득만 8천억 원2025.10.27
-
김해공항 국제선, 수요 폭증에 사고까지 우려2025.10.27
-
복지정책 내실화 시급한데 계속 확대만...2025.10.27
-
축제의 부산..다양한 테마로 외국인 관광객에 인기2025.10.26
-
<자랑스러운 부산경남>경남의 농*수산업을 책임질 청년들2025.10.26
-
APEC 정상회의 앞두고 김해공항 보안등급 상향2025.10.26
-
비댁스(BDACS), '원데이 아이디어톤' 개최2025.10.26
-
낙동강 따라 손잡은 7도시…양산, 관광도시 꿈꾼다2025.10.25
-
갈변안되는 사과라더니...이상기후에 소용없나?2025.10.25
페이스북
트위터
카카오톡
URL복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