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회
달집 태우다 '펑'... 안전 불감증 여전
이민재
입력 : 2024.02.26 18:30
조회수 : 1323
0
0
<앵커>
이틀 전이 정월대보름이었죠.
부산경남 곳곳에서 액을 쫓고 복을 부르는 달집태우기 행사가 열렸는데, 1만 5천명 넘게 모인 한 현장에서 폭발이 나 시민들이 다칠 뻔 했습니다.
5년 전에도 비슷한 사고로 인명사고가 났던 만큼 안전에 대한 우려가 여전합니다.
이민재 기자입니다.
<기자>
15미터 높이 달집 앞에 1만 5천 명 구름 인파가 몰렸습니다.
사회자의 구령에 맞춰 불을 붙이려는 순간, 펑 소리와 함께 폭발합니다.
{"하나,둘, 셋! (펑)"}
점화자도 놀라 뒷걸음질을 치고, 시민들 사이에서도 탄식이 터져나옵니다.
다행히 부상자는 없었습니다.
{목격자/폭발물 터지듯이 펑 터지는데 놀랐죠."}
"폭발 현장에서 나온 잔해입니다.
보시는 것처럼 이렇게 새까만 재만 남았는데, 원래 형태가 무엇이었는지 도 알아볼 수 없는 수준입니다."
5년 전 유증기가 폭발해 3명이 다친 해운대 송정해수욕장 달집 태우기 사고와 판박입니다.
당시는 유증기가 폭발의 원인이었는데 이번 사고 원인은 아직 조사중입니다.
{정영수/부산 서구청 문화관광과장/"휘발유만 쓰면 유증의 위험이 크기 때문에 올해는 휘발유는 최소한으로 하고 경유를 섞었습니다."}
당시 사고 이후 시민들과 달집 사이 안전거리를 두게 했지만 점화자의 경우는 여전히 위험에 노출돼 있습니다.
달집 태우기 행사장에서 발생하는 연기로 인한 민원도 계속되고 있습니다.
{해운대 달집 태우기 행사 주최단체/"나무가 비에 젖어가지고 안쪽부터 타고 들어가면서 까만 연기가 많이 났습니다."}
이런 문제 때문에 실제 불 대신 LED를 활용해 행사를 한 곳도 있습니다.
{오은택/부산 남구청장/"이산화탄소 배출을 줄이고, 안전사고를 줄이는 부분에 중점을 맞추다 보니 LED 달집이 더 어울린다고 판단했습니다."}
달집 태우기와 쥐불놀이 등 민족고유의 세시풍속을 이어가는 것도 중요하지만, 안전사고와 환경오염 우려를 줄여나갈 고민도 필요해 보입니다.
KNN 이민재입니다.
이틀 전이 정월대보름이었죠.
부산경남 곳곳에서 액을 쫓고 복을 부르는 달집태우기 행사가 열렸는데, 1만 5천명 넘게 모인 한 현장에서 폭발이 나 시민들이 다칠 뻔 했습니다.
5년 전에도 비슷한 사고로 인명사고가 났던 만큼 안전에 대한 우려가 여전합니다.
이민재 기자입니다.
<기자>
15미터 높이 달집 앞에 1만 5천 명 구름 인파가 몰렸습니다.
사회자의 구령에 맞춰 불을 붙이려는 순간, 펑 소리와 함께 폭발합니다.
{"하나,둘, 셋! (펑)"}
점화자도 놀라 뒷걸음질을 치고, 시민들 사이에서도 탄식이 터져나옵니다.
다행히 부상자는 없었습니다.
{목격자/폭발물 터지듯이 펑 터지는데 놀랐죠."}
"폭발 현장에서 나온 잔해입니다.
보시는 것처럼 이렇게 새까만 재만 남았는데, 원래 형태가 무엇이었는지 도 알아볼 수 없는 수준입니다."
5년 전 유증기가 폭발해 3명이 다친 해운대 송정해수욕장 달집 태우기 사고와 판박입니다.
당시는 유증기가 폭발의 원인이었는데 이번 사고 원인은 아직 조사중입니다.
{정영수/부산 서구청 문화관광과장/"휘발유만 쓰면 유증의 위험이 크기 때문에 올해는 휘발유는 최소한으로 하고 경유를 섞었습니다."}
당시 사고 이후 시민들과 달집 사이 안전거리를 두게 했지만 점화자의 경우는 여전히 위험에 노출돼 있습니다.
달집 태우기 행사장에서 발생하는 연기로 인한 민원도 계속되고 있습니다.
{해운대 달집 태우기 행사 주최단체/"나무가 비에 젖어가지고 안쪽부터 타고 들어가면서 까만 연기가 많이 났습니다."}
이런 문제 때문에 실제 불 대신 LED를 활용해 행사를 한 곳도 있습니다.
{오은택/부산 남구청장/"이산화탄소 배출을 줄이고, 안전사고를 줄이는 부분에 중점을 맞추다 보니 LED 달집이 더 어울린다고 판단했습니다."}
달집 태우기와 쥐불놀이 등 민족고유의 세시풍속을 이어가는 것도 중요하지만, 안전사고와 환경오염 우려를 줄여나갈 고민도 필요해 보입니다.
KNN 이민재입니다.
KNN 뉴스는 24시간 여러분의 제보를 기다립니다.
▷ 전화
부산 051-850-9000
경남 055-283-0505
▷ 이메일 jebo@knn.co.kr
▷ knn 홈페이지/앱 접속, 시청자 제보 누르기
▷ 카카오톡 친구찾기 @knn
▷ 전화
부산 051-850-9000
경남 055-283-0505
▷ 이메일 jebo@knn.co.kr
▷ knn 홈페이지/앱 접속, 시청자 제보 누르기
▷ 카카오톡 친구찾기 @knn
이민재 기자
mash@knn.co.kr
많이 본 뉴스
주요뉴스
-
매서운 입춘 한파, "아직 절정 아니다"2025.02.05
-
음주 전과자 또 음주운전, 4km 아찔한 도주2025.02.05
-
첨단시설 기대 용도변경 혜택... 결국 아파트2025.02.05
-
부산역 주차난에도 주차장 확보 계획 보류, 왜?2025.02.05
-
필라테스 또 먹튀... '먹튀 방지법' 아직 계류2025.02.04
-
'눈속임 수수료', 교통카드 선정 가처분 신청2025.02.04
-
오시리아 문화예술타운 소송, 첫 삽은 언제쯤?2025.02.04
-
치솟는 난방비에 생산과 소비 하락 '삼중고'2025.02.04
-
부산항 발견 코카인 100㎏, 중남미 마약 조직원 검거2025.02.03
-
화재 여객기 합동감식 시작, 보조배터리 안전 강화2025.02.0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