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회
'주거 불법' 생숙, 오피스텔 속속 변경
조진욱
입력 : 2024.01.15 20:58
조회수 : 10180
1
0
<앵커>
정부가 지난해 생활형숙박시설내 주거를 불법으로 규정했죠.
당장 올 연말부터 벌금이 부과되면서 지역 생숙들마다 앞다퉈 오피스텔로 용도 변경을 추진하고 있습니다.
하지만 애초에 바꿀 수 없는 곳도 많아서 논란은 계속될 것으로 보입니다.
조진욱 기자입니다.
<기자>
건물 외관에 용도 변경을 알리는 대형 현수막이 붙었습니다.
지난 2018년, 560세대 규모로 들어선 부산 해운대의 한 생활형 숙박시설입니다.
분양 당시 부산 대표 생숙으로 각광받았지만, 국토부가 생숙 내 주거를 금지하면서 용도 변경에 나선 겁니다.
집집마다 소방시설을 다는 등 규제에 맞췄고 지난달 오피스텔로 최종 변경됐습니다.
세대당 2백만원 가량 비용이 들었습니다.
대단지 생숙이 용도를 바꾼 건 부산에서 처음입니다.
{조윤숙/00생활형 숙박시설 관리위원회 회장/"이행강제금을 부과하다보니까 누가 자기집에살면서 벌금내고 살고싶은 사람이 어딨겠어요?"}
부산항 북항에 들어선 천세대 규모의 생활형 숙박시설도 용도 변경이 추진 중입니다.
현재 소방법 등 관련 절차가 진행 중인데, 빠르면 이달 말쯤 통과될 것으로 보입니다.
{부산 동구청 관계자/ "(추후)무난하게 통과될 것으로 보인다."}
"당초 로또라 불릴만큼 인기있던 생활형숙박시설이지만 이젠 하나둘 오피스텔로 바뀌는 분위기입니다.
하지만 아예 변경이 불가능한 곳도 많습니다."
지구단위 계획 자체를 바꿔야 해서 사실상 불가능한 곳들인데,
해운대 LCT나 오시리아 관광단지내 생숙이 해당됩니다.
{김태규/비아파트총연맹 회장/ "(추후) 국가와 시행사 시공사들의 잘못이고그들의 과장광고 묵인 하에서 이뤄졌는데 그들은 빠져나가고..."}
국토부는 올해 10월부터 매년 시가표준액의 10%를 이행과징금으로 부과할 예정입니다.
해운대 엘시티의 경우, 많게는 매년 억단위까지 이행강제금이 예상돼 반발도 계속될 전망입니다.
KNN 조진욱입니다.
정부가 지난해 생활형숙박시설내 주거를 불법으로 규정했죠.
당장 올 연말부터 벌금이 부과되면서 지역 생숙들마다 앞다퉈 오피스텔로 용도 변경을 추진하고 있습니다.
하지만 애초에 바꿀 수 없는 곳도 많아서 논란은 계속될 것으로 보입니다.
조진욱 기자입니다.
<기자>
건물 외관에 용도 변경을 알리는 대형 현수막이 붙었습니다.
지난 2018년, 560세대 규모로 들어선 부산 해운대의 한 생활형 숙박시설입니다.
분양 당시 부산 대표 생숙으로 각광받았지만, 국토부가 생숙 내 주거를 금지하면서 용도 변경에 나선 겁니다.
집집마다 소방시설을 다는 등 규제에 맞췄고 지난달 오피스텔로 최종 변경됐습니다.
세대당 2백만원 가량 비용이 들었습니다.
대단지 생숙이 용도를 바꾼 건 부산에서 처음입니다.
{조윤숙/00생활형 숙박시설 관리위원회 회장/"이행강제금을 부과하다보니까 누가 자기집에살면서 벌금내고 살고싶은 사람이 어딨겠어요?"}
부산항 북항에 들어선 천세대 규모의 생활형 숙박시설도 용도 변경이 추진 중입니다.
현재 소방법 등 관련 절차가 진행 중인데, 빠르면 이달 말쯤 통과될 것으로 보입니다.
{부산 동구청 관계자/ "(추후)무난하게 통과될 것으로 보인다."}
"당초 로또라 불릴만큼 인기있던 생활형숙박시설이지만 이젠 하나둘 오피스텔로 바뀌는 분위기입니다.
하지만 아예 변경이 불가능한 곳도 많습니다."
지구단위 계획 자체를 바꿔야 해서 사실상 불가능한 곳들인데,
해운대 LCT나 오시리아 관광단지내 생숙이 해당됩니다.
{김태규/비아파트총연맹 회장/ "(추후) 국가와 시행사 시공사들의 잘못이고그들의 과장광고 묵인 하에서 이뤄졌는데 그들은 빠져나가고..."}
국토부는 올해 10월부터 매년 시가표준액의 10%를 이행과징금으로 부과할 예정입니다.
해운대 엘시티의 경우, 많게는 매년 억단위까지 이행강제금이 예상돼 반발도 계속될 전망입니다.
KNN 조진욱입니다.
KNN 뉴스는 24시간 여러분의 제보를 기다립니다.
▷ 전화
부산 051-850-9000
경남 055-283-0505
▷ 이메일 jebo@knn.co.kr
▷ knn 홈페이지/앱 접속, 시청자 제보 누르기
▷ 카카오톡 친구찾기 @knn
▷ 전화
부산 051-850-9000
경남 055-283-0505
▷ 이메일 jebo@knn.co.kr
▷ knn 홈페이지/앱 접속, 시청자 제보 누르기
▷ 카카오톡 친구찾기 @knn

조진욱 기자
jojo@knn.co.kr
많이 본 뉴스
주요뉴스
-
외출조차 쉽지 않은 중증 발달장애인, 돌봄 공백도 여전2025.04.20
-
중*동구, 북항재개발에서 혜택은 없고 부담만 늘고2025.04.20
-
조선업 분야 경남 '광역형 비자 제동', '당혹' 대책 부심2025.04.20
-
산청 산불 한 달, 여전히 고통받는 이재민들2025.04.19
-
김해 공장 화재*통영 선박 충돌..사건 사고 잇따라2025.04.19
-
친환경 선박 수요, 지역기업 성장 기대2025.04.19
-
"산불 진화 장비 구매" 교정당국 사칭 사기 기승2025.04.19
-
해양수산부 부산 이전 공약, 이재명의 PK 승부수?2025.04.18
-
크루즈 관광객 40만 명 시대, 보안은 '구멍'2025.04.18
-
남해대교 '주탑 오르기' 관광 상품화2025.04.1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