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OP
사회

위험 공동주택 이주 지원... 문제는 지자체 '의지'

김건형 입력 : 2025.08.05 20:44
조회수 : 204
<앵커>
지난주 4명의 사상자가 발생한 경남 창원 건물 붕괴사고를 계기로 위험건물 거주 주민들의 이주 시급성이 제기되고 있습니다.

이주비용 등의 경제적 문제가 걸림돌인데 지자체의 지원의지에 따라 상황이 달라지는 경우도 있습니다.

김건형 기자입니다.

<리포트>
부산 원도심 가파른 옹벽 위에 자리잡은 한 다세대주택,

아랫쪽과 달리 건물 위쪽에 큰 틈이 벌어졌습니다.

건물이 옹벽 아랫쪽으로 기울어버린겁니다.

"이 건물은 지난 1999년도에 지어졌습니다.

지은 지 15년이 지난 시점부터 건물이 이렇게 기울기 시작했는데 주민들은 불안에 떨면서도 벌써 10년째 떠나지 못하고 있습니다."

안전진단 D등급 판정으론 마땅한 이주지원을 기대할 수 없었던 탓인데 최근 상황이 달라졌습니다.

마지막 남아 있던 2가구도 공공임대주택 입주 신청길이 열렸습니다.

{김희정/부산 서구청 지역건축안전계장/"순환형 임대주택 활성화 대책에 따라서 이제 좋은 기회가 돼가지고 (공공 임대주택) 신청을 하시면서 (주민들이) 되게 많이 기뻐하셨습니다."}

일제시대에 지어진 부산에서 가장 오래된 아파트입니다.

4년전 당장 무너질 수 있다는 E등급 판정을 받고도 올 초까지 20가구가 살았습니다.

이 곳 역시 최근 3개월새 10가구가 이주를 결심했습니다.

공공 임대주택 2년간 무조건 입주 허용 등의 적극적인 이주 유도정책이 지난 4월부터 본격화된 덕분입니다.

{김기환/부산시 시민안전실장/"(위험 건물에 거주하시는) 이분들이 선택할 수 있는 폭을 좀 만들어야 될 필요가 있다고 판단이 되었고 다행히 좋은 안과 좋은 결과를 만들어내고 있는 것 같습니다."}

다만 D등급 건물의 경우 재건축,재개발 등으로 이어지지 않으면 여전히 이주지원에 한계가 있습니다.

현재 부산,경남 공동주택에는 D등급 24개동과 E등급 8개동이 있습니다.

KNN 김건형입니다.

영상취재 전재현
KNN 뉴스는 24시간 여러분의 제보를 기다립니다.

▷ 전화
부산 051-850-9000
경남 055-283-0505
▷ 이메일 jebo@knn.co.kr
▷ knn 홈페이지/앱 접속, 시청자 제보 누르기
▷ 카카오톡 친구찾기 @knn
저작권자 © 부산경남대표방송 KNN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사이트맵