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치
<경제브리핑> 주식 공매도 전격 금지..배경은?
노경민
입력 : 2023.11.09 10:14
조회수 : 642
0
0
<앵커>
최근 외국계 투자 은행들의 불법 공매도가 드러난 가운데 국내 주식 시장에서는 내년 상반기까지 공매도가 금지됩니다. 궁금해하시는 분들 많으실 것 같은데요.
이은혜 리포터와 함께 자세히 알아보시죠
주식시장 공매도가 전면 금지됐습니다. 공매도가 금지된 배경과 시장의 반응을 살펴봤습니다.
지난 6일부터 내년 6월까지 국내 주식시장에서 공매도가 금지됩니다. 대상은 코스피와 코스닥 그리고 코넥스 전 종목입니다. 현재 한정적으로 허용됐던 코스피 200과 코스닥 150에 속하는 350개 종목도 금지대상에 포함됐습니다. 다만 유동성 공급 등의 목적으로 가격을 제시한 공매도 거래는 허용됩니다.
공매도는 주가가 하락할 것으로 예상되는 주식을 미리 빌려서 팔았다가 실제 주가가 떨어지면 이를 싸게 사서 빌린 걸 갚고 차익을 챙기는 거래 입니다. 주로 하락장에 수익을 낼 수 있는 방법중에 하나지만 패닉장에서는 주가 하락을 부추길 수 있어 금지시킨 적도 있습니다.
국내 주식 공매도가 금지 된 것은 주식시장 역사상 이번이 4번째 입니다.
2008년 글로벌 금융위기때를 시작으로 2011년 유럽 재정위기때 그리고 2020년 코로나로 폭락 장이 이어지며 공매도를 금지한 바 있습니다.
이번에는 글로벌 투자은행의 불법 공매도도 적발됨에 따라 제도를 개선해야 한다는 목소리가 높아지고 있습니다.
사실 공매도에 대해서는 그간 기울어진 운동장이라는 비판도 많았는데요 개인의 공매도 상환 기간은 90일로 제한되지만 기관과 외국인은 사실상 기간 제한이 없기 때문입니다. 또 불법 무차입 공매도를 사전에 방지하기위한 시스템 구축이 필요하다는 지적도 많았습니다.
일단 공매도 금지에 시장은 환영하는 분위기입니다. 공매도 잔액이 컸던 2차전지주 중심으로 반등이 나타나며 6일 코스피지수 2400선이 회복됐고 (이부분은 종가 확인하고 고칠수도 있어요)코스닥시장에서는 프로그램 매수효과가 일시 정지돼는 사이드카가 발동되기도 했습니다.
하지만 전문가들 사이에서는 공매도 금지를 반대하는 목소리도 있습니다. 선진국시장에서는 공매도를 전면 허용하고 있다는 점에서 MSCI선진국지수 편입 등에 불리한데다
총선을 앞둔 표심잡기라는 비판도 나오는 상황인데요 이번에는 개인투자자들이 원하는 충분한 시스템의 개선이 이뤄질 수 있을지 관심이 모아지고 있습니다.
경제브리핑이었습니다.
최근 외국계 투자 은행들의 불법 공매도가 드러난 가운데 국내 주식 시장에서는 내년 상반기까지 공매도가 금지됩니다. 궁금해하시는 분들 많으실 것 같은데요.
이은혜 리포터와 함께 자세히 알아보시죠
주식시장 공매도가 전면 금지됐습니다. 공매도가 금지된 배경과 시장의 반응을 살펴봤습니다.
지난 6일부터 내년 6월까지 국내 주식시장에서 공매도가 금지됩니다. 대상은 코스피와 코스닥 그리고 코넥스 전 종목입니다. 현재 한정적으로 허용됐던 코스피 200과 코스닥 150에 속하는 350개 종목도 금지대상에 포함됐습니다. 다만 유동성 공급 등의 목적으로 가격을 제시한 공매도 거래는 허용됩니다.
공매도는 주가가 하락할 것으로 예상되는 주식을 미리 빌려서 팔았다가 실제 주가가 떨어지면 이를 싸게 사서 빌린 걸 갚고 차익을 챙기는 거래 입니다. 주로 하락장에 수익을 낼 수 있는 방법중에 하나지만 패닉장에서는 주가 하락을 부추길 수 있어 금지시킨 적도 있습니다.
국내 주식 공매도가 금지 된 것은 주식시장 역사상 이번이 4번째 입니다.
2008년 글로벌 금융위기때를 시작으로 2011년 유럽 재정위기때 그리고 2020년 코로나로 폭락 장이 이어지며 공매도를 금지한 바 있습니다.
이번에는 글로벌 투자은행의 불법 공매도도 적발됨에 따라 제도를 개선해야 한다는 목소리가 높아지고 있습니다.
사실 공매도에 대해서는 그간 기울어진 운동장이라는 비판도 많았는데요 개인의 공매도 상환 기간은 90일로 제한되지만 기관과 외국인은 사실상 기간 제한이 없기 때문입니다. 또 불법 무차입 공매도를 사전에 방지하기위한 시스템 구축이 필요하다는 지적도 많았습니다.
일단 공매도 금지에 시장은 환영하는 분위기입니다. 공매도 잔액이 컸던 2차전지주 중심으로 반등이 나타나며 6일 코스피지수 2400선이 회복됐고 (이부분은 종가 확인하고 고칠수도 있어요)코스닥시장에서는 프로그램 매수효과가 일시 정지돼는 사이드카가 발동되기도 했습니다.
하지만 전문가들 사이에서는 공매도 금지를 반대하는 목소리도 있습니다. 선진국시장에서는 공매도를 전면 허용하고 있다는 점에서 MSCI선진국지수 편입 등에 불리한데다
총선을 앞둔 표심잡기라는 비판도 나오는 상황인데요 이번에는 개인투자자들이 원하는 충분한 시스템의 개선이 이뤄질 수 있을지 관심이 모아지고 있습니다.
경제브리핑이었습니다.
KNN 뉴스는 24시간 여러분의 제보를 기다립니다.
▷ 전화
부산 051-850-9000
경남 055-283-0505
▷ 이메일 jebo@knn.co.kr
▷ knn 홈페이지/앱 접속, 시청자 제보 누르기
▷ 카카오톡 친구찾기 @knn
▷ 전화
부산 051-850-9000
경남 055-283-0505
▷ 이메일 jebo@knn.co.kr
▷ knn 홈페이지/앱 접속, 시청자 제보 누르기
▷ 카카오톡 친구찾기 @knn
노경민 기자
kkoing@knn.co.kr
많이 본 뉴스
주요뉴스
-
컬러 질주·세계문화 만남… 주말 '축제의 장'2025.05.24
-
'백산 정신 되새긴다' 의령 너른마당 개관2025.05.24
-
부산 아파트*공장 화재 잇따라(카톡)2025.05.24
-
장애아동 상습학대 혐의 교사 2명 구속2025.05.24
-
공모만 6번째..계륵된 북항 마리나2025.05.23
-
특별건축구역 시동 걸었는데 경기침체가 발목2025.05.23
-
노무현 전 대통령 추도식 엄수 정치인 집결2025.05.23
-
갈등 증폭 거제 민생회복지원금 부결, 대선정국속 앞으로의 향방은?2025.05.23
-
민주당 HMM 부산 이전 공약 철회 놓고 정치권 공방2025.05.23
-
우주항공청 개청 1주년, 지역 발전은?2025.05.2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