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회
고려대장경 판각지 남해, 관광 자원으로
정기형
입력 : 2023.10.15 20:38
조회수 : 636
0
0
<앵커>
고려시대 만들어진 세계에서 가장 오래되고 정확한 불교 경전,
팔만대장경으로 널리 알려진 고려대장경이 만들어진 곳이 경남 남해군으로 추정됩니다.
대장경이 만들어진 판각지를 재조명하고 관광*문화 자원으로 키우기 위한 움직임이 시작됐습니다.
정기형기자가 보도합니다.
<기자>
남해군 관음포 해변입니다.
고려시대, 인근에서 벌채한 나무가 이 곳으로 모였습니다.
팔만대장경으로 잘 알려진 고려대장경을 만들기 위해서입니다.
남해군 일대는 고려대장경이 만들어진 판각지로 추정됩니다.
옛 선원사 터 등에서 판각지로 보이는 건물터와 고려시대 유물이 다수 발견됐습니다.
{이재수/동국대 불교학술원 교수/대장경 경전의 제일 마지막 말제라고 하는 제목이 있고 거기에 분명하게 '남해 분사대장도감'에서 판각을 했다고 하는 기록이 남아 있고...}
고려대장경 판각지 남해를 재발견하는 움직임이 본격화되고 있습니다.
남해에서 꽃피운 판각 문화와 국난 극복 노력은 뛰어난 문화 콘텐츠로 인정 받을 수 있다는 것입니다.
{성각 스님/남해군불교사암연합회장/판각지를 성역화해서 우리가 조금 더 발전적인 방향을 모색하고 또 세계적인 문화유산으로 등재가 되었으면 하는...}
고려대장경은 유네스코 세계기록유산으로, 합천 해인사에 보관되어 있는 장경판전은 유네스코 세계문화유산으로 각각 지정되어 있습니다.
판각 문화와 기술에 대한 조사*연구를 더해 판각지와 대장경, 장경판전을 하나로 묶은 세계문화유산 지정도
가능하다는 의견입니다.
남해군은 판각지로 추정되는 고현면 일대의 관광 자원 개발에 나섰습니다.
{장충남/남해군수/판각을 하는 체험을 하고 또 관련된 재료를 만들 수 있는 대장간 정도의 유물들을 많이 발굴하고 만드는 사업들도...}
판각지 관광 자원화는 해인사와 연계한 경남의 새로운 문화*관광사업으로 발전할 가능성도 높습니다.
KNN 정기형입니다.
고려시대 만들어진 세계에서 가장 오래되고 정확한 불교 경전,
팔만대장경으로 널리 알려진 고려대장경이 만들어진 곳이 경남 남해군으로 추정됩니다.
대장경이 만들어진 판각지를 재조명하고 관광*문화 자원으로 키우기 위한 움직임이 시작됐습니다.
정기형기자가 보도합니다.
<기자>
남해군 관음포 해변입니다.
고려시대, 인근에서 벌채한 나무가 이 곳으로 모였습니다.
팔만대장경으로 잘 알려진 고려대장경을 만들기 위해서입니다.
남해군 일대는 고려대장경이 만들어진 판각지로 추정됩니다.
옛 선원사 터 등에서 판각지로 보이는 건물터와 고려시대 유물이 다수 발견됐습니다.
{이재수/동국대 불교학술원 교수/대장경 경전의 제일 마지막 말제라고 하는 제목이 있고 거기에 분명하게 '남해 분사대장도감'에서 판각을 했다고 하는 기록이 남아 있고...}
고려대장경 판각지 남해를 재발견하는 움직임이 본격화되고 있습니다.
남해에서 꽃피운 판각 문화와 국난 극복 노력은 뛰어난 문화 콘텐츠로 인정 받을 수 있다는 것입니다.
{성각 스님/남해군불교사암연합회장/판각지를 성역화해서 우리가 조금 더 발전적인 방향을 모색하고 또 세계적인 문화유산으로 등재가 되었으면 하는...}
고려대장경은 유네스코 세계기록유산으로, 합천 해인사에 보관되어 있는 장경판전은 유네스코 세계문화유산으로 각각 지정되어 있습니다.
판각 문화와 기술에 대한 조사*연구를 더해 판각지와 대장경, 장경판전을 하나로 묶은 세계문화유산 지정도
가능하다는 의견입니다.
남해군은 판각지로 추정되는 고현면 일대의 관광 자원 개발에 나섰습니다.
{장충남/남해군수/판각을 하는 체험을 하고 또 관련된 재료를 만들 수 있는 대장간 정도의 유물들을 많이 발굴하고 만드는 사업들도...}
판각지 관광 자원화는 해인사와 연계한 경남의 새로운 문화*관광사업으로 발전할 가능성도 높습니다.
KNN 정기형입니다.
KNN 뉴스는 24시간 여러분의 제보를 기다립니다.
▷ 전화
부산 051-850-9000
경남 055-283-0505
▷ 이메일 jebo@knn.co.kr
▷ knn 홈페이지/앱 접속, 시청자 제보 누르기
▷ 카카오톡 친구찾기 @knn
▷ 전화
부산 051-850-9000
경남 055-283-0505
▷ 이메일 jebo@knn.co.kr
▷ knn 홈페이지/앱 접속, 시청자 제보 누르기
▷ 카카오톡 친구찾기 @knn

정기형 기자
ki@knn.co.kr
많이 본 뉴스
주요뉴스
-
해수담수화시설로 공업용수 공급 숙제 여전2025.09.03
-
낙동강 취수원 다변화, 내년에는 시작되나?2025.09.03
-
생활형 숙박시설, 오피스텔 전환 신청 마감 임박..과제는?2025.09.03
-
[단독]'특혜 의혹' 정황 또 확인... 거짓 해명도 '도마'2025.09.02
-
국립박물관 '굿즈' 대박인데...초라한 지역 현실2025.09.02
-
마약처럼 쓰이는 감기약... 10대까지 파고 들었다2025.09.02
-
<앵커리포트>부당한 공격에 대응하는 KNN의 자세2025.09.02
-
[단독]수자원공사 '남강댐 청소 입찰' 특혜 의혹2025.09.01
-
추석 출하용 참돔 전멸 "적조 확산 심상찮다"2025.09.01
-
세계로교회 대안학교 특혜 의혹 '일파만파'2025.09.0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