건강
[건강365]-무릎 통증 부르는 '추벽', 잘라내는 게 최선?
이아영
입력 : 2023.09.21 10:34
조회수 : 2185
0
0
<앵커>
성인 세 명 가운데 한 명은 무릎 안에 '추벽'이라는 얇은 막이 남아 있습니다.
무릎을 자극하는 운동을 자주 하면, 여기가 두꺼워지면서 통증을 만드는데요.
반드시 잘라내는 수술이 필요할까요?
건강365에서 답을 알아봅니다.
<리포트>
계단 오르기는 평지 걷기보다 에너지 소모가 1.5배나 많은 고강도 운동입니다.
그런데 무릎이 약한 분들, 특히 '추벽'이 있다면 자극되지 않게 조심해야 합니다.
================================
(김상효 미래병원 정형외과 과장 / 서울대학교병원(분당) 스포츠의학 및 무릎 복원수술 전임의, 서울대학교병원 소아정형외과)
{Q.추벽이 남아있으면 반드시 문제가 되나요? }
{추벽은 태아 때 형성되는 무릎 내의 얇은 막으로, 성인에서도 종종 남아있는 경우가 있습니다.
대부분의 추벽은 증상을 나타내지 않습니다. }
================================
추벽증후군은 젊은 층에서도 심심찮게 나타납니다.
특별히 다친 적이 없더라도 무릎 통증이나 이상 증세가 가라앉지 않으면 진단이 필요합니다.
================================
{Q.추벽을 두껍게 만드는 원인은 뭘까요? }
{내측 추벽은 대퇴골 내과 안쪽에서 관찰되는 구조물로, 무릎 관절 운동을 할 때 대퇴골 내과와 밀접하게 접촉되어 충돌을 일으킬 수 있습니다.
반복적인 미세 외상 등의 마찰과 자극으로 두꺼워져 증상을 일으킬 수 있습니다. }
================================
얇고 부드러운 추벽이 딱딱하고 두꺼워지면 무릎을 움직일 때마다 연골을 자극해서 통증을 부릅니다.
우리가 알고 있는 관절염 증상과는 이런 차이가 있습니다.
================================
{Q.일반적인 관절염 증상과 차이점은? }
{대부분의 관절염은 시큰시큰한 통증, 물참.
그리고 관절염 부위 통증과 보행장애 등을 호소합니다.
추벽증후군의 경우 무릎 전방부의 관절 운동에 따른 모호한 통증을 호소하며, 때에 따라 추벽을 만지면 통증을 호소합니다. }
================================
추벽증후군 진단 후에는 약을 먹고 물리치료를 받으면서 무릎 사용을 최대한 줄여야 합니다.
보존 치료에도 통증이 더 심해지면 관절 안을 직접 확인해서 치료할 수 있습니다.
================================
(김상효 / 미래병원 정형외과 과장 )
{Q.문제가 되는 추벽, 잘라내야 할까요? }
{안쪽 추벽의 경우 임상적 증상을 종종 나타냅니다.
추벽이 심하게 두꺼워져 대퇴 활차부에 연골 손상을 일으키거나 보존적 치료에 반응하지 않는다면 관절내시경을 통해 절제하는 것이 바람직합니다. }
================================
추벽증후군 예방을 위해선 무릎에 가해지는 압력을 줄여야 합니다.
등산, 축구 같은 무리한 운동은 삼가고 쪼그려 앉거나 양반다리 자세도 고쳐야 합니다. 건강365였습니다.
성인 세 명 가운데 한 명은 무릎 안에 '추벽'이라는 얇은 막이 남아 있습니다.
무릎을 자극하는 운동을 자주 하면, 여기가 두꺼워지면서 통증을 만드는데요.
반드시 잘라내는 수술이 필요할까요?
건강365에서 답을 알아봅니다.
<리포트>
계단 오르기는 평지 걷기보다 에너지 소모가 1.5배나 많은 고강도 운동입니다.
그런데 무릎이 약한 분들, 특히 '추벽'이 있다면 자극되지 않게 조심해야 합니다.
================================
(김상효 미래병원 정형외과 과장 / 서울대학교병원(분당) 스포츠의학 및 무릎 복원수술 전임의, 서울대학교병원 소아정형외과)
{Q.추벽이 남아있으면 반드시 문제가 되나요? }
{추벽은 태아 때 형성되는 무릎 내의 얇은 막으로, 성인에서도 종종 남아있는 경우가 있습니다.
대부분의 추벽은 증상을 나타내지 않습니다. }
================================
추벽증후군은 젊은 층에서도 심심찮게 나타납니다.
특별히 다친 적이 없더라도 무릎 통증이나 이상 증세가 가라앉지 않으면 진단이 필요합니다.
================================
{Q.추벽을 두껍게 만드는 원인은 뭘까요? }
{내측 추벽은 대퇴골 내과 안쪽에서 관찰되는 구조물로, 무릎 관절 운동을 할 때 대퇴골 내과와 밀접하게 접촉되어 충돌을 일으킬 수 있습니다.
반복적인 미세 외상 등의 마찰과 자극으로 두꺼워져 증상을 일으킬 수 있습니다. }
================================
얇고 부드러운 추벽이 딱딱하고 두꺼워지면 무릎을 움직일 때마다 연골을 자극해서 통증을 부릅니다.
우리가 알고 있는 관절염 증상과는 이런 차이가 있습니다.
================================
{Q.일반적인 관절염 증상과 차이점은? }
{대부분의 관절염은 시큰시큰한 통증, 물참.
그리고 관절염 부위 통증과 보행장애 등을 호소합니다.
추벽증후군의 경우 무릎 전방부의 관절 운동에 따른 모호한 통증을 호소하며, 때에 따라 추벽을 만지면 통증을 호소합니다. }
================================
추벽증후군 진단 후에는 약을 먹고 물리치료를 받으면서 무릎 사용을 최대한 줄여야 합니다.
보존 치료에도 통증이 더 심해지면 관절 안을 직접 확인해서 치료할 수 있습니다.
================================
(김상효 / 미래병원 정형외과 과장 )
{Q.문제가 되는 추벽, 잘라내야 할까요? }
{안쪽 추벽의 경우 임상적 증상을 종종 나타냅니다.
추벽이 심하게 두꺼워져 대퇴 활차부에 연골 손상을 일으키거나 보존적 치료에 반응하지 않는다면 관절내시경을 통해 절제하는 것이 바람직합니다. }
================================
추벽증후군 예방을 위해선 무릎에 가해지는 압력을 줄여야 합니다.
등산, 축구 같은 무리한 운동은 삼가고 쪼그려 앉거나 양반다리 자세도 고쳐야 합니다. 건강365였습니다.
KNN 뉴스는 24시간 여러분의 제보를 기다립니다.
▷ 전화
부산 051-850-9000
경남 055-283-0505
▷ 이메일 jebo@knn.co.kr
▷ knn 홈페이지/앱 접속, 시청자 제보 누르기
▷ 카카오톡 친구찾기 @knn
▷ 전화
부산 051-850-9000
경남 055-283-0505
▷ 이메일 jebo@knn.co.kr
▷ knn 홈페이지/앱 접속, 시청자 제보 누르기
▷ 카카오톡 친구찾기 @knn

이아영 작가
yyy@knn.co.kr
많이 본 뉴스
주요뉴스
-
'생숙' 용도변경, 주차장 설치 기준 이견에 중단2025.08.06
-
폭염*폭우 반복 '물가 폭탄'... 수박*채소류 '금값'2025.08.06
-
농협 마트에선 소비쿠폰 못 써...농촌 주민 불편2025.08.06
-
경남도정 -NC의 승리? 연고지 저울질에 쓴 입맛2025.08.07
-
인천공항 지연율 심각..'항공 일극주의' 폐해2025.08.05
-
'개교 2년' 학교 증축 현장에서 노동자 추락사2025.08.05
-
위험 공동주택 이주 지원... 문제는 지자체 '의지'2025.08.05
-
노후건물 곳곳 '지뢰밭'... 안전 사각지대 '불안'2025.08.04
-
사방댐*숲 가꾸기가 산사태 피해 키웠나?2025.08.04
-
음주단속 경찰관 매달고 달린 50대 구속2025.08.0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