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회
'임산부 호송' 요청...도 넘는 악성 댓글에 고통
최한솔
입력 : 2023.06.05
조회수 : 3789
0
0
<앵커>
임산부를 태우고 가다 경찰에 도움을 요청했지만 연거푸 거절을 당했고 세 번 만에 도움을 받았던 가족의 얘기 얼마전 전해드렸습니다.
보도 뒤 이들 부부를 향한 도 넘는 악성 댓글이 끊이질 않고 있는데요,
취재진이 남편을 만나 비난 여론을 하나하나 따져봤습니다.
최한솔 기자가 취재했습니다.}
<기자>
부산 강서구에서 해운대까지 산모를 태우고 가다 경찰에 호송을 요청했던 권익환 씨.
{112 상황실 통화 내용/"임산부를 애를 출산할 거 같아서 나르고 있는데 혹시 경찰 도움을 받을 수 있냐고요. (119에는 전화해보셨습니까?) 아니요. 제가 제 차로 실어나르고 있습니다. (119에 한 번 도움을 받아 보시죠.)"}
그렇게 두 번의 거절 뒤 세 번 만에 경찰의 도움을 받을 수 있었습니다.
보도 뒤 권 씨는 수많은 악성 댓글에 시달렸습니다.
30km가 넘는 먼 거리의 병원을 고집하면서 경찰을 들러리 세웠다는 등의 이유입니다. 하지만 이는 사실과 다릅니다.
가장 많았던 지적이 당시 119를 왜 부르지 않았냐는 것인데, 권 씨는 그럴 상황이 아니었다 말합니다.
{권익환/악성댓글 피해자/"출산 예정일이 5일 이상 남은 상태였고요, 출발할 당시에는 가벼운 진통 정도 왔기 때문에...(진통이 왔을 땐) 의료진들이 다 대기를 하고 있는 상황이었기 때문에 다시 119를 부르고 병원을 물색하고 고위험 산모라서 받아지주 않을 가능성도 컸기 때문에..."}
119를 부른다고 병원을 바로 배정받는 다는 보장도 없었습니다.
도움을 외면한 경찰들에 대해 민원을 넣거나 진정을 제기한 적도 없었습니다.
도움을 준 경찰관에 대한 미담을 경찰청에 제보했는데, 경찰을 욕 먹이기 위한 행동이라 오해받았습니다.
{권익환/악성댓글 피해자/"응급상황이 발생한 상태에서 바로 눈앞에 경찰이 보이는데 그 경찰을 외면한다는게 더 이상하지 않습니까?"}
굳이 30km 떨어진 해운대까지 간 것은 고급 산후조리원을 노린 이기심이라는 비판도 나왔습니다.
{권익환/악성댓글 피해자/"독감 환자들 처럼 아무 병원이나 간다고 해서 받아주질 않습니다. 특히 산모들 같은 경우에는 지난 10개월간의 히스토리가 남아 있기 때문에요. 저희 같은 경우에는 애초에 (산후조리원) 예약도 하지 않았고 지금도 가정양육을 하고 있습니다."}
임신중독으로 약물치료까지 받는 상황에서 그동안 다니던 병원을 택했을 뿐이라는 겁니다.
하지만 일부 여론은 아랑곳하지 않고 권 씨 고통스럽게 만듭니다.
{권익환/악성댓글 피해자/"폭력적인 글들이 굉장히 많았었고요 저에 대한 사진이나 가족들에 대한 신상정보를 노출시켜서 조롱하고 비난하고...사람의 영혼을 철저히 파괴하는 글들이었습니다."}
권 씨는 악성댓글에 대해 고소 방침을 밝혔고, 도움을 거절했던 관할 지구대는 당시 권 씨의 요청은 시민으로서 지극히 정상적인 요청이라 밝혔습니다.
KNN 최한솔입니다.
임산부를 태우고 가다 경찰에 도움을 요청했지만 연거푸 거절을 당했고 세 번 만에 도움을 받았던 가족의 얘기 얼마전 전해드렸습니다.
보도 뒤 이들 부부를 향한 도 넘는 악성 댓글이 끊이질 않고 있는데요,
취재진이 남편을 만나 비난 여론을 하나하나 따져봤습니다.
최한솔 기자가 취재했습니다.}
<기자>
부산 강서구에서 해운대까지 산모를 태우고 가다 경찰에 호송을 요청했던 권익환 씨.
{112 상황실 통화 내용/"임산부를 애를 출산할 거 같아서 나르고 있는데 혹시 경찰 도움을 받을 수 있냐고요. (119에는 전화해보셨습니까?) 아니요. 제가 제 차로 실어나르고 있습니다. (119에 한 번 도움을 받아 보시죠.)"}
그렇게 두 번의 거절 뒤 세 번 만에 경찰의 도움을 받을 수 있었습니다.
보도 뒤 권 씨는 수많은 악성 댓글에 시달렸습니다.
30km가 넘는 먼 거리의 병원을 고집하면서 경찰을 들러리 세웠다는 등의 이유입니다. 하지만 이는 사실과 다릅니다.
가장 많았던 지적이 당시 119를 왜 부르지 않았냐는 것인데, 권 씨는 그럴 상황이 아니었다 말합니다.
{권익환/악성댓글 피해자/"출산 예정일이 5일 이상 남은 상태였고요, 출발할 당시에는 가벼운 진통 정도 왔기 때문에...(진통이 왔을 땐) 의료진들이 다 대기를 하고 있는 상황이었기 때문에 다시 119를 부르고 병원을 물색하고 고위험 산모라서 받아지주 않을 가능성도 컸기 때문에..."}
119를 부른다고 병원을 바로 배정받는 다는 보장도 없었습니다.
도움을 외면한 경찰들에 대해 민원을 넣거나 진정을 제기한 적도 없었습니다.
도움을 준 경찰관에 대한 미담을 경찰청에 제보했는데, 경찰을 욕 먹이기 위한 행동이라 오해받았습니다.
{권익환/악성댓글 피해자/"응급상황이 발생한 상태에서 바로 눈앞에 경찰이 보이는데 그 경찰을 외면한다는게 더 이상하지 않습니까?"}
굳이 30km 떨어진 해운대까지 간 것은 고급 산후조리원을 노린 이기심이라는 비판도 나왔습니다.
{권익환/악성댓글 피해자/"독감 환자들 처럼 아무 병원이나 간다고 해서 받아주질 않습니다. 특히 산모들 같은 경우에는 지난 10개월간의 히스토리가 남아 있기 때문에요. 저희 같은 경우에는 애초에 (산후조리원) 예약도 하지 않았고 지금도 가정양육을 하고 있습니다."}
임신중독으로 약물치료까지 받는 상황에서 그동안 다니던 병원을 택했을 뿐이라는 겁니다.
하지만 일부 여론은 아랑곳하지 않고 권 씨 고통스럽게 만듭니다.
{권익환/악성댓글 피해자/"폭력적인 글들이 굉장히 많았었고요 저에 대한 사진이나 가족들에 대한 신상정보를 노출시켜서 조롱하고 비난하고...사람의 영혼을 철저히 파괴하는 글들이었습니다."}
권 씨는 악성댓글에 대해 고소 방침을 밝혔고, 도움을 거절했던 관할 지구대는 당시 권 씨의 요청은 시민으로서 지극히 정상적인 요청이라 밝혔습니다.
KNN 최한솔입니다.
KNN 뉴스는 24시간 여러분의 제보를 기다립니다.
▷ 전화
부산 051-850-9000
경남 055-283-0505
▷ 이메일 jebo@knn.co.kr
▷ knn 홈페이지/앱 접속, 시청자 제보 누르기
▷ 카카오톡 친구찾기 @knn
▷ 전화
부산 051-850-9000
경남 055-283-0505
▷ 이메일 jebo@knn.co.kr
▷ knn 홈페이지/앱 접속, 시청자 제보 누르기
▷ 카카오톡 친구찾기 @knn

최한솔 기자
choi@knn.co.kr
많이 본 뉴스
주요뉴스
-
신공항 연결 '차세대 급행철도' 급물살2023.09.25
-
사업비 2조 증액, 남부내륙철도 연기 되나?2023.09.25
-
돌아온 남자 농구, 'KCC 이지스' 입성2023.09.25
-
민주당 내홍 여파, 지역 현안 무더기 연기2023.09.25
-
해운대구 아파트 화재 일가족 3명 사상, 온천천 실종 여성 숨진 채 발견2023.09.23
-
내홍 딛고 정상화 시동, 부산국제영화제 예매 시작2023.09.23
-
추석 앞두고 임금 체불 급증, 노동자는 "하루하루가 고통"2023.09.23
-
부산시 주요 하천에 비상대피시설 확충2023.09.23
-
'상상 그 이상의 공룡 세계', 공룡엑스포 개막2023.09.22
-
'모바일 승차권' 졸속 추진, 감사 시급2023.09.2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