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회
40m 높이 건설장비가 집 앞에 떡
조진욱
입력 : 2023.03.30 19:38
조회수 : 2647
0
0
<앵커>
어제(30) 울산에서 40미터 높이에 달하는 대형 건설장비가 넘어지면서 인근 주택가를 덮쳤습니다.
부산에서는 대형 건설장비가 아파트에 딱 붙어서 작업을 하는 공사현장이 있는데요.
주민들은 장비가 넘어지지 않을까 우려하고 있습니다.
조진욱 기자입니다.
<기자>
40미터에 달하는 대형 건설장비가 쓰러져 주택가를 덮칩니다.
땅을 파서 철제 말뚝을 박는 장비인 항타기가 중심을 잃고 넘어진 겁니다.
부산의 한 공사현장.
15층 아파트 높이의 항타기가 건물에 바짝 붙어 있습니다.
작업 위치를 옮길 때마다 항타기가 위태롭게 흔들립니다.
아파트 안에서 공사현장을 바라봤습니다.
항타기로 인해서 굉장히 답답한 모습인데요.
실제로 줄자로 거리를 재봤더니 60cm가 채 안 됩니다.
손을 뻗으면 닿일 정도, 주민들은 소음 피해를 호소합니다.
특히 항타기가 넘어지면서 건물을 덮치진 않을까 우려가 큽니다.
{강영란/인접 아파트 주민/ "항타기 저 기계가 저희 벽을 긁어가면서 벽이 터져서 토사가 흘러나오고... 밑에 돌이라도 있어서 조금만 휘청하면 저희집 유리창 다 박살 납니다."}
항타기 작업시 인접 건물과의 거리 규정이 없습니다.
해당 지역은 상업지다보니 건물간 이격거리 규정도 없습니다.
시공사는 법적 규정을 준수해 공사 중이라는 입장입니다.
{부산고용노동청 관계자/ "안전보건기준에 관한 규칙에도 별도의 거리에 관한 규정은 없습니다. 법령 자체가 근로자에 대한 안전 보건에 대한 사항이기 떄문에 인근 주민에 관한 안전보건과는 약간의 거리가 있는 편입니다." }
도시밀도가 높고 난개발이 심한 부산은 건설장비 넘어짐 사고에 취약할 수밖에 없는 구조여서 세심한 규제 마련이 필요합니다.
KNN 조진욱입니다.
어제(30) 울산에서 40미터 높이에 달하는 대형 건설장비가 넘어지면서 인근 주택가를 덮쳤습니다.
부산에서는 대형 건설장비가 아파트에 딱 붙어서 작업을 하는 공사현장이 있는데요.
주민들은 장비가 넘어지지 않을까 우려하고 있습니다.
조진욱 기자입니다.
<기자>
40미터에 달하는 대형 건설장비가 쓰러져 주택가를 덮칩니다.
땅을 파서 철제 말뚝을 박는 장비인 항타기가 중심을 잃고 넘어진 겁니다.
부산의 한 공사현장.
15층 아파트 높이의 항타기가 건물에 바짝 붙어 있습니다.
작업 위치를 옮길 때마다 항타기가 위태롭게 흔들립니다.
아파트 안에서 공사현장을 바라봤습니다.
항타기로 인해서 굉장히 답답한 모습인데요.
실제로 줄자로 거리를 재봤더니 60cm가 채 안 됩니다.
손을 뻗으면 닿일 정도, 주민들은 소음 피해를 호소합니다.
특히 항타기가 넘어지면서 건물을 덮치진 않을까 우려가 큽니다.
{강영란/인접 아파트 주민/ "항타기 저 기계가 저희 벽을 긁어가면서 벽이 터져서 토사가 흘러나오고... 밑에 돌이라도 있어서 조금만 휘청하면 저희집 유리창 다 박살 납니다."}
항타기 작업시 인접 건물과의 거리 규정이 없습니다.
해당 지역은 상업지다보니 건물간 이격거리 규정도 없습니다.
시공사는 법적 규정을 준수해 공사 중이라는 입장입니다.
{부산고용노동청 관계자/ "안전보건기준에 관한 규칙에도 별도의 거리에 관한 규정은 없습니다. 법령 자체가 근로자에 대한 안전 보건에 대한 사항이기 떄문에 인근 주민에 관한 안전보건과는 약간의 거리가 있는 편입니다." }
도시밀도가 높고 난개발이 심한 부산은 건설장비 넘어짐 사고에 취약할 수밖에 없는 구조여서 세심한 규제 마련이 필요합니다.
KNN 조진욱입니다.
KNN 뉴스는 24시간 여러분의 제보를 기다립니다.
▷ 전화
부산 051-850-9000
경남 055-283-0505
▷ 이메일 jebo@knn.co.kr
▷ knn 홈페이지/앱 접속, 시청자 제보 누르기
▷ 카카오톡 친구찾기 @knn
▷ 전화
부산 051-850-9000
경남 055-283-0505
▷ 이메일 jebo@knn.co.kr
▷ knn 홈페이지/앱 접속, 시청자 제보 누르기
▷ 카카오톡 친구찾기 @knn

조진욱 기자
jojo@knn.co.kr
많이 본 뉴스
주요뉴스
-
[경제브리핑] 금융권 스포츠 연계 마케팅 집중2025.03.31
-
부산대 의대생 600여 명 전원 복귀2025.03.31
-
'지리산 지켰다'...열흘 만에 산청*하동 산불 종료선언2025.03.30
-
고용노동부, 진화대원 사망 관련 중처법 위반 여부 조사2025.03.30
-
4.2재보궐, 역대급 무관심 속 주말 총공세2025.03.30
-
경남 '제조 AI집적화'로 제조업 살린다2025.03.30
-
험준한 산세 주불 잡기 총력2025.03.29
-
자갈치아지매시장 개장 추진..걸림돌 여전2025.03.29
-
NC-LG 경기도중 구조물 추락, 3명 부상2025.03.29
-
부산대 의대, 미등록생 다음달 5일부터 제적 절차2025.03.2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