건강
[건강365] 너무 일찍 깨도 불면증? 맞춤 치료해야
강기성
입력 : 2023.03.17 15:21
조회수 : 1050
0
0
<앵커>
잠을 얼마나 못자야 '불면증'이라고 볼 수 있을까요?
여러 가지 진단 기준이 있고, 이유도 사람마다 다릅니다.
한의학에서는 체질별로 근본 원인을 살펴서 맞춤 치료가 필요하다고 보는데요.
건강365에서 자세한 내용 짚어봅니다.
<기자>
우리 인생 3분의 1 정도는 잠을 자는 데 씁니다.
그런데 세 명 가운데 한 명은 불면증을 가지고 있는데요.
내 수면 습관은 안녕할까요?
(김효진 진한의원 원장 / 한방내과 전문의, 대한한방비만학회 정회원 )
{ 불면증은 잠드는 데 시간이 너무 오래 걸리거나 자는 중에 여러 번 깬다든지 또 한 번 깨게 되면 다시 잠들기 힘든 증상이 3개월 이상 이어지는 경우입니다. }
불면증은 고혈압과 당뇨, 비만을 부릅니다. 치매 발병률을 높인다는 보고도 잇따르죠. 한의학에서는 우리 몸의 기능이 제대로 돌아가는지 들여다봅니다.
{ 자율 신경계가 약해지면 혈압, 체온, 맥박이 불안정해지고 심장이 두근거리고 가슴이 답답해지면서 수면 장애를 동반하게 되는데 이러한 경우를 자율 신경 실조로 인한 불면증으로 볼 수 있습니다. }
한의학에서는 우리 몸이 스스로 치유할 수 있는 회복 능력부터 되돌려야 한다고 강조합니다.
환자별로 맞춤 치료가 필요하겠죠.
{ 목*어깨 근육이 뭉치면서 긴장이 과도한 경우에는 침과 약침 치료를 사용해서 뭉친 근육을 풀어주고 심장에 열이 많거나 예민한 경우에는 수승화강을 도와주는 한약을 복용하기도 하고, 또 살이 찌면서 수면 무호흡과 코골이가 심해지는 경우에는 체중 감량을 도와주는 약을 쓰게 됩니다. }
건강한 수면을 위해선 규칙적인 생활습관이 꼭 필요합니다.
'오늘도 못자면 큰일'이라는 강박을 내려놓는 마음의 안정도 중요합니다.
<출연자>
{ 밤 늦게까지 깨어있다 보면 아무래도 먹는 양이 증가하게 되고 핸드폰 사용 등 수면을 방해하는 습관이 쌓이기 때문에 될 수 있으면 잠을 일찍 자는 습관이 필요합니다. }
적당한 수면 시간은 사람마다 다릅니다.
얼마나 오래 잤는지 따져보기 보다는 질 좋은 수면을 꾸준히 유지하는 데 집중해야 합니다.
건강365였습니다.
잠을 얼마나 못자야 '불면증'이라고 볼 수 있을까요?
여러 가지 진단 기준이 있고, 이유도 사람마다 다릅니다.
한의학에서는 체질별로 근본 원인을 살펴서 맞춤 치료가 필요하다고 보는데요.
건강365에서 자세한 내용 짚어봅니다.
<기자>
우리 인생 3분의 1 정도는 잠을 자는 데 씁니다.
그런데 세 명 가운데 한 명은 불면증을 가지고 있는데요.
내 수면 습관은 안녕할까요?
(김효진 진한의원 원장 / 한방내과 전문의, 대한한방비만학회 정회원 )
{ 불면증은 잠드는 데 시간이 너무 오래 걸리거나 자는 중에 여러 번 깬다든지 또 한 번 깨게 되면 다시 잠들기 힘든 증상이 3개월 이상 이어지는 경우입니다. }
불면증은 고혈압과 당뇨, 비만을 부릅니다. 치매 발병률을 높인다는 보고도 잇따르죠. 한의학에서는 우리 몸의 기능이 제대로 돌아가는지 들여다봅니다.
{ 자율 신경계가 약해지면 혈압, 체온, 맥박이 불안정해지고 심장이 두근거리고 가슴이 답답해지면서 수면 장애를 동반하게 되는데 이러한 경우를 자율 신경 실조로 인한 불면증으로 볼 수 있습니다. }
한의학에서는 우리 몸이 스스로 치유할 수 있는 회복 능력부터 되돌려야 한다고 강조합니다.
환자별로 맞춤 치료가 필요하겠죠.
{ 목*어깨 근육이 뭉치면서 긴장이 과도한 경우에는 침과 약침 치료를 사용해서 뭉친 근육을 풀어주고 심장에 열이 많거나 예민한 경우에는 수승화강을 도와주는 한약을 복용하기도 하고, 또 살이 찌면서 수면 무호흡과 코골이가 심해지는 경우에는 체중 감량을 도와주는 약을 쓰게 됩니다. }
건강한 수면을 위해선 규칙적인 생활습관이 꼭 필요합니다.
'오늘도 못자면 큰일'이라는 강박을 내려놓는 마음의 안정도 중요합니다.
<출연자>
{ 밤 늦게까지 깨어있다 보면 아무래도 먹는 양이 증가하게 되고 핸드폰 사용 등 수면을 방해하는 습관이 쌓이기 때문에 될 수 있으면 잠을 일찍 자는 습관이 필요합니다. }
적당한 수면 시간은 사람마다 다릅니다.
얼마나 오래 잤는지 따져보기 보다는 질 좋은 수면을 꾸준히 유지하는 데 집중해야 합니다.
건강365였습니다.
KNN 뉴스는 24시간 여러분의 제보를 기다립니다.
▷ 전화
부산 051-850-9000
경남 055-283-0505
▷ 이메일 jebo@knn.co.kr
▷ knn 홈페이지/앱 접속, 시청자 제보 누르기
▷ 카카오톡 친구찾기 @knn
▷ 전화
부산 051-850-9000
경남 055-283-0505
▷ 이메일 jebo@knn.co.kr
▷ knn 홈페이지/앱 접속, 시청자 제보 누르기
▷ 카카오톡 친구찾기 @knn
강기성 기자
0987666@knn.co.kr
많이 본 뉴스
주요뉴스
-
실적만 빛나는 한화... 안전 '구멍'에 노동자 '탄압'2025.09.04
-
[단독]김진홍 동구청장, 보은인사에 외유성 출장 의혹까지2025.09.04
-
부산 이전 '해수부 직원' 정착지원 대책 공개2025.09.04
-
농협 대출연체율 급증... 자산건전성 '흔들'2025.09.04
-
해수담수화시설로 공업용수 공급 숙제 여전2025.09.03
-
낙동강 취수원 다변화, 내년에는 시작되나?2025.09.03
-
생활형 숙박시설, 오피스텔 전환 신청 마감 임박..과제는?2025.09.03
-
[단독]'특혜 의혹' 정황 또 확인... 거짓 해명도 '도마'2025.09.02
-
국립박물관 '굿즈' 대박인데...초라한 지역 현실2025.09.02
-
마약처럼 쓰이는 감기약... 10대까지 파고 들었다2025.09.0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