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회
정부 지원금, 동백전으로 받는다면?
표중규
입력 : 2023.03.06 21:02
조회수 : 851
0
0
<앵커>
부산 지역화폐인 동백전으로 정부에서 받는 수당이나 지원금도 받을수 있다면 어떨까요?
부산시가 지역은행과 함께 이런 플랫폼을 만들겠다고 나섰는데 이번에는 성공할 수 있을지 주목됩니다.
표중규 기자가 보도합니다.
<기자>
2019년 12월 출시한 부산 지역화폐인 동백전은 3월 현재 가입자만 109만명!
부산시민 3명 가운데 1명이 사용하는 셈입니다.
부산에서는 앞으로 이런 동백전으로 출산지원금이나 아동수당 등 정책자금도 받을 수 있게 됩니다.
부산시가 추진하는 통합 시민플랫폼은 한해 2조5천억의 동백전에, 정책자금까지 더해 규모부터 두 세배 키웁니다.
여기에 간편인증 등을 통한 디지털 시민증까지 더하면 블록체인 특구의 경쟁력도 높일 수 있습니다.
{박형준/부산시장/널리 활용하게 되면 그 자체가 블록체인 기술을 발전시키는 계기가 되고 또 블록체인과 관련한 여러가지 새로운 기업이나 산업을 창출하는 효과를 갖게 됩니다. 1석 3조라고 할 수 있죠.}
부산은행 역시 동백전을 기반으로 정책자금까지 운용하면 공공서비스 경험에 빅데이터까지 얻을 수 있습니다.
{김상환/부산은행 디지털전략부 상무/민간부문의 수익모델을 창출해야되거든요. 데이터라든지 사용자라든지 광고효과라든지 이런 부분들이 모두 다 활용할 수 있는 자원이 됩니다.}
시민들도 동백통, 동백택시는 물론 온라인쇼핑에 예매, 대리운전 등 다양한 서비스를 폭넓게 이용할수 있습니다.
특히 비슷한 개념으로 3년전 출범시켰지만 이용자 10만에 그친 B-PASS 대신 100만 이용자가 확보된 동백전 기반에서 시도된다는 점에서 부산 블록체인 통합시민플랫폼에 대한 기대는 더욱 커지고 있습니다.
KNN 표중규입니다.
부산 지역화폐인 동백전으로 정부에서 받는 수당이나 지원금도 받을수 있다면 어떨까요?
부산시가 지역은행과 함께 이런 플랫폼을 만들겠다고 나섰는데 이번에는 성공할 수 있을지 주목됩니다.
표중규 기자가 보도합니다.
<기자>
2019년 12월 출시한 부산 지역화폐인 동백전은 3월 현재 가입자만 109만명!
부산시민 3명 가운데 1명이 사용하는 셈입니다.
부산에서는 앞으로 이런 동백전으로 출산지원금이나 아동수당 등 정책자금도 받을 수 있게 됩니다.
부산시가 추진하는 통합 시민플랫폼은 한해 2조5천억의 동백전에, 정책자금까지 더해 규모부터 두 세배 키웁니다.
여기에 간편인증 등을 통한 디지털 시민증까지 더하면 블록체인 특구의 경쟁력도 높일 수 있습니다.
{박형준/부산시장/널리 활용하게 되면 그 자체가 블록체인 기술을 발전시키는 계기가 되고 또 블록체인과 관련한 여러가지 새로운 기업이나 산업을 창출하는 효과를 갖게 됩니다. 1석 3조라고 할 수 있죠.}
부산은행 역시 동백전을 기반으로 정책자금까지 운용하면 공공서비스 경험에 빅데이터까지 얻을 수 있습니다.
{김상환/부산은행 디지털전략부 상무/민간부문의 수익모델을 창출해야되거든요. 데이터라든지 사용자라든지 광고효과라든지 이런 부분들이 모두 다 활용할 수 있는 자원이 됩니다.}
시민들도 동백통, 동백택시는 물론 온라인쇼핑에 예매, 대리운전 등 다양한 서비스를 폭넓게 이용할수 있습니다.
특히 비슷한 개념으로 3년전 출범시켰지만 이용자 10만에 그친 B-PASS 대신 100만 이용자가 확보된 동백전 기반에서 시도된다는 점에서 부산 블록체인 통합시민플랫폼에 대한 기대는 더욱 커지고 있습니다.
KNN 표중규입니다.
KNN 뉴스는 24시간 여러분의 제보를 기다립니다.
▷ 전화
부산 051-850-9000
경남 055-283-0505
▷ 이메일 jebo@knn.co.kr
▷ knn 홈페이지/앱 접속, 시청자 제보 누르기
▷ 카카오톡 친구찾기 @knn
▷ 전화
부산 051-850-9000
경남 055-283-0505
▷ 이메일 jebo@knn.co.kr
▷ knn 홈페이지/앱 접속, 시청자 제보 누르기
▷ 카카오톡 친구찾기 @knn

표중규 기자
pyowill@knn.co.kr
많이 본 뉴스
주요뉴스
-
해수담수화시설로 공업용수 공급 숙제 여전2025.09.03
-
낙동강 취수원 다변화, 내년에는 시작되나?2025.09.03
-
생활형 숙박시설, 오피스텔 전환 신청 마감 임박..과제는?2025.09.03
-
[단독]'특혜 의혹' 정황 또 확인... 거짓 해명도 '도마'2025.09.02
-
국립박물관 '굿즈' 대박인데...초라한 지역 현실2025.09.02
-
마약처럼 쓰이는 감기약... 10대까지 파고 들었다2025.09.02
-
<앵커리포트>부당한 공격에 대응하는 KNN의 자세2025.09.02
-
[단독]수자원공사 '남강댐 청소 입찰' 특혜 의혹2025.09.01
-
추석 출하용 참돔 전멸 "적조 확산 심상찮다"2025.09.01
-
세계로교회 대안학교 특혜 의혹 '일파만파'2025.09.0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