교육
서부산·원도심에 자사고·특목고 설립
박명선
입력 : 2023.01.06 20:59
조회수 : 898
0
0
<앵커>
동부산권과 서부산권의 교육 격차를 줄이기 위한 움직임이 새해부터 본격화되고 있습니다.
부산교육청은 서부산과 원도심권에 자율형 사립고를 설립해 학력 격차를 줄여보겠다는건데,
정작 사학들의 반응은 미지근합니다.
박명선 기자가 보도합니다.
<기자>
수능 만점자인 권하은양!
부산이 집인 권 양은 부산을 떠나, 인근 울산의 자율형 사립고인 현대 청운고에서 기숙사 생활을 했습니다.
고등학교부터 부산지역 인재들이 타지역으로 유출되는 경우도 늘고 있는데, 고교 진학을 앞둔 학부모들의 고민도 큽니다.
{박진영/중3 학부모/'입시결과와 더불어 증명이 되고 있으니까요. 사람들은 믿을만하고 공부를 열심히 가르쳐주고 더 좋은 선생님이 계시는 곳으로 보내는 것이죠.'}
'실제로 부산지역 자사고는 해운대고 1개, 특목고는 부산외고, 부일외고, 브니엘예고, 부산예고 등 4곳에 불과합니다.'
부산교육청은 동서간 균형을 맞추기 위해 서부산, 원도심권역에 자사고 설립을 추진합니다.
서부산권 27개 사립고 가운데 재정 건전성이 우수한 학교법인 2,3곳을 대상으로 자사고 전환 여부를 타진한다는 것입니다.
자사고는 교육청이 예산 지원을 하지 않기 때문에 학교측은 해마다 예산을 부담해야합니다.
하지만 교육청은 법령을 개정해, 법인 전입금을 5%보다 낮추도록 적극 건의하겠다고 밝혔습니다.
{강준현/부산교육청 지원과장/'지금은 수업료, 입학금 총액의 5%를 법인전입금으로 부담하고 있는데 이 규정을 개선하고 하향 조정할수 있도록 거듭 건의하겠습니다. '}
문제는 교육감이 바뀔때마다 일관성없이 교육 정책이 뒤바뀌는 경우가 많아, 학교 재단측 우려는 여전합니다.
{00사립 학교 관계자/'교육 열악지역에 학교를 지정할 것이라고 이야기를 들었는데, 자사고를 만들게 되면 정부가 바뀌게 되면 또 어떻게 될지 모르는 부분이라서...'}
부산교육청은 "지역간 교육격차 해소 추진단"을 3월부터 운영하기로 성과가 주목됩니다.
KNN 박명선입니다.
KNN 뉴스는 24시간 여러분의 제보를 기다립니다.
▷ 전화
부산 051-850-9000
경남 055-283-0505
▷ 이메일
jebo@knn.co.kr
▷ knn 홈페이지/앱 접속, 제보 누르기
▷ 카카오톡 친구찾기 @knn
동부산권과 서부산권의 교육 격차를 줄이기 위한 움직임이 새해부터 본격화되고 있습니다.
부산교육청은 서부산과 원도심권에 자율형 사립고를 설립해 학력 격차를 줄여보겠다는건데,
정작 사학들의 반응은 미지근합니다.
박명선 기자가 보도합니다.
<기자>
수능 만점자인 권하은양!
부산이 집인 권 양은 부산을 떠나, 인근 울산의 자율형 사립고인 현대 청운고에서 기숙사 생활을 했습니다.
고등학교부터 부산지역 인재들이 타지역으로 유출되는 경우도 늘고 있는데, 고교 진학을 앞둔 학부모들의 고민도 큽니다.
{박진영/중3 학부모/'입시결과와 더불어 증명이 되고 있으니까요. 사람들은 믿을만하고 공부를 열심히 가르쳐주고 더 좋은 선생님이 계시는 곳으로 보내는 것이죠.'}
'실제로 부산지역 자사고는 해운대고 1개, 특목고는 부산외고, 부일외고, 브니엘예고, 부산예고 등 4곳에 불과합니다.'
부산교육청은 동서간 균형을 맞추기 위해 서부산, 원도심권역에 자사고 설립을 추진합니다.
서부산권 27개 사립고 가운데 재정 건전성이 우수한 학교법인 2,3곳을 대상으로 자사고 전환 여부를 타진한다는 것입니다.
자사고는 교육청이 예산 지원을 하지 않기 때문에 학교측은 해마다 예산을 부담해야합니다.
하지만 교육청은 법령을 개정해, 법인 전입금을 5%보다 낮추도록 적극 건의하겠다고 밝혔습니다.
{강준현/부산교육청 지원과장/'지금은 수업료, 입학금 총액의 5%를 법인전입금으로 부담하고 있는데 이 규정을 개선하고 하향 조정할수 있도록 거듭 건의하겠습니다. '}
문제는 교육감이 바뀔때마다 일관성없이 교육 정책이 뒤바뀌는 경우가 많아, 학교 재단측 우려는 여전합니다.
{00사립 학교 관계자/'교육 열악지역에 학교를 지정할 것이라고 이야기를 들었는데, 자사고를 만들게 되면 정부가 바뀌게 되면 또 어떻게 될지 모르는 부분이라서...'}
부산교육청은 "지역간 교육격차 해소 추진단"을 3월부터 운영하기로 성과가 주목됩니다.
KNN 박명선입니다.
KNN 뉴스는 24시간 여러분의 제보를 기다립니다.
▷ 전화
부산 051-850-9000
경남 055-283-0505
▷ 이메일
jebo@knn.co.kr
▷ knn 홈페이지/앱 접속, 제보 누르기
▷ 카카오톡 친구찾기 @knn
KNN 뉴스는 24시간 여러분의 제보를 기다립니다.
▷ 전화
부산 051-850-9000
경남 055-283-0505
▷ 이메일 jebo@knn.co.kr
▷ knn 홈페이지/앱 접속, 시청자 제보 누르기
▷ 카카오톡 친구찾기 @knn
▷ 전화
부산 051-850-9000
경남 055-283-0505
▷ 이메일 jebo@knn.co.kr
▷ knn 홈페이지/앱 접속, 시청자 제보 누르기
▷ 카카오톡 친구찾기 @knn

박명선 기자
pms@knn.co.kr
많이 본 뉴스
주요뉴스
-
공모만 6번째..계륵된 북항 마리나2025.05.23
-
특별건축구역 시동 걸었는데 경기침체가 발목2025.05.23
-
노무현 전 대통령 추도식 엄수 정치인 집결2025.05.23
-
갈등 증폭 거제 민생회복지원금 부결, 대선정국속 앞으로의 향방은?2025.05.23
-
민주당 HMM 부산 이전 공약 철회 놓고 정치권 공방2025.05.23
-
우주항공청 개청 1주년, 지역 발전은?2025.05.22
-
부산 분산에너지특구 성큼2025.05.22
-
스마트팜, 끝없는 진화... 2025 스마트팜 코리아2025.05.22
-
너도나도 부*울*경 GTX 공약, 실현 가능성은?2025.05.22
-
들이받고 덮치고...부산서 고령운전자 차량사고 잇따라2025.05.2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