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OP
건강

[건강365]-감기약 먹는데 악화? "축농증" 의심

이아영 입력 : 2022.11.23 09:00
조회수 : 1618
<앵커>
요즘 감기 환자가 정말 많습니다.

약을 먹어도 누런 콧물이 더 심해졌다면 일반 감기가 아니라 "축농증"일 수 있는데요.

치료법이 아예 달라서 늦지 않게 이비인후과를 찾으셔야 합니다.

건강365입니다.

<리포트>
축농증이 단순히 이비인후과 질환에 그치지 않는다는 연구 결과가 있습니다.

만성화됐다면 뇌졸중과 허혈성 심장 질환을 이만큼씩 증가시킬 수도 있습니다.

<출연자>
(이근익 해운대백병원 이비인후과 교수 / 부산대학교 의학대학원 석사, 전 양산부산대학교병원 진료조교수 )

{코감기와 축농증은 코막힘, 콧물, 후각 저하.

그리고 경우에 따라서는 통증을 유발할 수 있는 비슷한 증상을 유발할 수 있는 질환들인데요.

단순 코감기는 바이러스 감염에 의해서 발생되는 비강 내 염증 상태를 말하고 일주일 이내에 자연적으로 좋아지는 경우가 많습니다.

하지만 이러한 것들이 세균성 감염으로 진행되거나 염증들이 쌓이게 되면 축농증으로 진행할 수 있습니다. }

코감기인 줄 알고 일반 감기약을 사 먹을 때가 있죠.

감기약은 콧물 농도를 짙게 만들어서 축농증을 더 심해지게 만듭니다.

<출연자>
{축농증은 염증이 주변 조직으로 파급되면 합병증을 유발할 수 있는데요.

부비동 근처에 있는 조직으로는 주로 눈과 두개골(머리뼈)이 있습니다.

그쪽으로 점점 파급되면 뇌염이라든지 뇌농양, 안와농양 같은 합병증을 유발할 수 있습니다. }

병원을 찾으면 코 내시경 검사나 엑스레이로 진단합니다.

초기에는 항생제를 포함한 약을 먹어보는데요.

생리식염수로 콧속을 씻어내는 것도 도움이 될 수 있습니다.

<출연자>
{축농증 치료는 1차적으로 약물치료를 할 수 있는데요.

적절한 약물치료를 충분히 했음에도 불구하고 증상이 호전되지 않거나 또는 축농증으로 인해서 합병증이 발생했을 경우에는 수술적인 치료를 해야 됩니다. }

요즘 축농증 수술은 내시경을 활용합니다.

절개 없이 조직 손상을 최소화 하다 보니 수술 시간도, 회복 기간도 더 빨라졌습니다.

<출연자>
(이근익 / 해운대백병원 이비인후과 교수 )

{첫 번째로는 부비동 내에 들어있는 병변을 직접적으로 제거하는 목적으로 시행할 수 있고요.

두 번째로는 부비동의 생리적 기능인 환기와 배농 같은 정상적인 기능을 할 수 있도록 도와주기 위해서 구조를 바꾸는 목적을 위해 시행할 수 있고요.

그리고 마지막으로는 수술 후에 국소 약물 치료를 할 때 그런 약물들이 부비동 내에 잘 도달할 수 있도록 만들어주는 목적으로 시행을 합니다. }

겨울철 축농증 관리 원칙, 어떤 게 있을까요?

커피보다 따뜻한 물을 자주 마시고, 실내 습도는 50% 정도로 높여야 합니다.

염증을 키우는 음주는 삼가야겠죠. 건강365였습니다.
KNN 뉴스는 24시간 여러분의 제보를 기다립니다.

▷ 전화
부산 051-850-9000
경남 055-283-0505
▷ 이메일 jebo@knn.co.kr
▷ knn 홈페이지/앱 접속, 시청자 제보 누르기
▷ 카카오톡 친구찾기 @knn
저작권자 © 부산경남대표방송 KNN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사이트맵