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회
지역 응급실의 위기, 의사부족에 파업까지
황보람
입력 : 2020.08.31 18:54
조회수 : 379
0
0
{앵커:
지난주 저희 KNN은 한 40대 남성이 부산*경남에서
치료 받을 응급실을 찾지 못해, 울산으로 이송 돼 중태에 빠졌다 숨진 소식을
단독 보도해드렸습니다.
지난해에도 이와 비슷한 일이 발생하기도 했는데, 응급의학과
전문의 수가 부족한 지역의 고질적인 문제에다 전공의 파업 여파까지
겹쳐 위기가 가속화 되고 있다는 분석입니다.
황보 람 기자입니다.}
{리포트}
지난해 9월, KNN의 단독보도 영상입니다.
한 병원에서 입원 치료를 받던 70대가 의식을 잃어 상급 병원으로
이송 돼야 했지만, 부산*경남 지역 6개 대학병원은 환자를 수용하지 않았습니다.
울산대병원이 이 환자를 수용하기로 했지만, 70대 환자는 결국 이송 도중 숨졌습니다.
당시 보도 이후, 부산 소방과 응급의료기관 관계자들이 사상 첫 워크숍이 열면서
같은 일을 막기 위한 협력 시스템 구축을 논의하기도 했습니다.
하지만 1년만에 또 부산에서 같은 일이 벌어졌습니다.
지난주 보도했던, 40대 약물중독 응급환자의 이야기죠.
응급실 13곳이 수용을 거절해 3시간 만에 울산으로 옮겨졌다 다음날 숨졌습니다.
똑같은 사고를 방지하기 위해 대책 논의까지 이뤄졌는데 말이죠.
'부산에 응급 의료기관은 28곳입니다.
인천보다 7곳, 대구보다는 16곳이나 의료기관이 많은데요.
하지만 응급의학과 전문의는 대구에 비하면 11명, 인천에 비하면 21명이나 적습니다.
상황이 이렇다 보니, 인구 10만 명당 전문의 수는 전국 평균에 크게 밑돌고 있습니다.'
{정진우/동아대병원 응급의료센터장/'중환자실이라든지, 특히 응급의학과 전문의 배출이 적고요.
전문의 챌도 적은데다 전공의 정원도 적고, 사실 전국 최악이거든요.'}
여기다 최근 전공의 파업으로, 대학병원 응급실 인력은 평소의 절반도 못 미치는 상황입니다.
고질적 인력난과 파업 여파로 지역 응급의료 시스템이 큰 위기를
겪고 있는 만큼, 보다 장기적인 대책 마련이 필요하단 지적입니다.
KNN 황보 람입니다.
지난주 저희 KNN은 한 40대 남성이 부산*경남에서
치료 받을 응급실을 찾지 못해, 울산으로 이송 돼 중태에 빠졌다 숨진 소식을
단독 보도해드렸습니다.
지난해에도 이와 비슷한 일이 발생하기도 했는데, 응급의학과
전문의 수가 부족한 지역의 고질적인 문제에다 전공의 파업 여파까지
겹쳐 위기가 가속화 되고 있다는 분석입니다.
황보 람 기자입니다.}
{리포트}
지난해 9월, KNN의 단독보도 영상입니다.
한 병원에서 입원 치료를 받던 70대가 의식을 잃어 상급 병원으로
이송 돼야 했지만, 부산*경남 지역 6개 대학병원은 환자를 수용하지 않았습니다.
울산대병원이 이 환자를 수용하기로 했지만, 70대 환자는 결국 이송 도중 숨졌습니다.
당시 보도 이후, 부산 소방과 응급의료기관 관계자들이 사상 첫 워크숍이 열면서
같은 일을 막기 위한 협력 시스템 구축을 논의하기도 했습니다.
하지만 1년만에 또 부산에서 같은 일이 벌어졌습니다.
지난주 보도했던, 40대 약물중독 응급환자의 이야기죠.
응급실 13곳이 수용을 거절해 3시간 만에 울산으로 옮겨졌다 다음날 숨졌습니다.
똑같은 사고를 방지하기 위해 대책 논의까지 이뤄졌는데 말이죠.
'부산에 응급 의료기관은 28곳입니다.
인천보다 7곳, 대구보다는 16곳이나 의료기관이 많은데요.
하지만 응급의학과 전문의는 대구에 비하면 11명, 인천에 비하면 21명이나 적습니다.
상황이 이렇다 보니, 인구 10만 명당 전문의 수는 전국 평균에 크게 밑돌고 있습니다.'
{정진우/동아대병원 응급의료센터장/'중환자실이라든지, 특히 응급의학과 전문의 배출이 적고요.
전문의 챌도 적은데다 전공의 정원도 적고, 사실 전국 최악이거든요.'}
여기다 최근 전공의 파업으로, 대학병원 응급실 인력은 평소의 절반도 못 미치는 상황입니다.
고질적 인력난과 파업 여파로 지역 응급의료 시스템이 큰 위기를
겪고 있는 만큼, 보다 장기적인 대책 마련이 필요하단 지적입니다.
KNN 황보 람입니다.
KNN 뉴스는 24시간 여러분의 제보를 기다립니다.
▷ 전화
부산 051-850-9000
경남 055-283-0505
▷ 이메일 jebo@knn.co.kr
▷ knn 홈페이지/앱 접속, 시청자 제보 누르기
▷ 카카오톡 친구찾기 @knn
▷ 전화
부산 051-850-9000
경남 055-283-0505
▷ 이메일 jebo@knn.co.kr
▷ knn 홈페이지/앱 접속, 시청자 제보 누르기
▷ 카카오톡 친구찾기 @knn

황보람 기자
lhwangbo@knn.co.kr
많이 본 뉴스
주요뉴스
-
21대 대선 7명 출사표, 부울경 맞춤공약 발표2025.05.12
-
연봉 3억 6천만 원도 외면 '농촌 의료 난 심각'2025.05.12
-
'마약 공포' 부산항 컨테이너선 코카인 700㎏ 적발2025.05.12
-
[지역을 지키는 청년들]미식도시 부산에서 '미쉐린 스타' 꿈꾼다2025.05.12
-
도의회, 예산 부당 지출 수사 중에 또 국외 연수2025.05.10
-
<현장> '전국 최대규모 재개발' 22년째 지지부진, 인근 주택*학교까지 안전위협2025.05.11
-
"계약금 10%만 환불 가능", 봉안당 피해 호소 속출2025.05.11
-
민주당 이재명 대선 후보, PK 표심 공략 본격화2025.05.10
-
부산시의회, 현대건설 수의계약 중단 대책 촉구2025.05.10
-
부산*경남서 까치집 제거 5년 동안 2천 7백건2025.05.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