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
반도체 호황에 내년 법인세 ‘87조원 돌파’ 기대감… “AI 거품” 변수는?
손예지
입력 : 2025.11.20 12:20
조회수 : 250
0
0
국회예산정책처, 내년 법인세 수입 전망치 87조 5천억 원으로 제시
산업별 온도차·AI 거품론… 불안정한 경제 변수 여전
기업 실적 토대로 재전망 후 예산심의 반영 검토
하지만 인공지능(AI) 거품론과 산업별 실적 온도 차 등 불확실성도 상존하며 재정 당국의 고심이 깊어지고 있습니다.
관계 당국에 따르면 기획재정부는 최근 발표된 주요 기관의 경제전망과 기업들의 3분기 실적을 토대로 내년 세수 변동 가능성을 면밀히 검토하고 있습니다.
정부는 지난 8월 말 발표한 국세수입 예산안에서 내년 법인세가 올해 2차 추가경정예산보다 3조 원(3.6%) 증가한 86조 5천억 원이 걷힐 것으로 예상한 바 있습니다.
이는 올해 기업 실적의 호조세에 기반한 전망입니다.
실제로 기업데이터연구소 CEO스코어가 국내 500대 기업 중 3분기 분기보고서를 제출한 339개 사의 실적을 집계한 결과, 이들 기업의 합산 영업이익은 작년 동기 대비 22.4% 증가한 73조 2천47억 원을 기록했습니다.
특히 삼성전자와 SK하이닉스 등 반도체 양사의 영업이익 증가분이 전체의 절반 이상을 차지하며, 반도체 슈퍼 사이클의 도래가 세수 증대에 결정적인 역할을 할 것으로 분석됩니다.
NH투자증권은 “삼성전자, SK하이닉스의 당기순이익이 늘면 다음 해 정부 법인세 수입이 늘어난다”며, 내년 정부 법인세 수입 증가를 전망했습니다.
국회예산정책처 역시 정부 전망보다 1조 원 높은 87조 5천억 원을 내년 법인세 수입 전망치로 제시하며 이러한 낙관론에 힘을 싣고 있습니다.
하지만 긍정적인 전망만으로 상황을 낙관하기는 어렵다는 지적도 나왔습니다.
최근 AI 거품론으로 주식시장이 출렁이면서 반도체 사이클에도 부정적인 영향을 줄 수 있다는 위기감이 커지고 있습니다.
NH투자증권은 “AI 사이클이 꺾이면 한국은 반도체 기업 이익 감소가 불가피하다”며, 이 경우 정부 재정에 시차를 두고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고 경고했습니다.
또한, 모든 산업이 고른 성장을 보이는 것은 아닙니다.
관세 직격탄을 맞은 자동차 산업과 구조조정에 들어간 석유화학 등 일부 업종은 실적이 좋지 않은 상황입니다.
이와 더불어 올해 세법 개정안에 포함된 법인세율 1%포인트(p) 인상안이 국회 논의 과정에서 수정될 경우, 약 7천억 원으로 추정되는 세수 증가 효과가 사라질 수도 있어 법인세 변동의 하방 요인으로 지목되고 있습니다.
정부 관계자는 “기업 실적을 토대로 전체적으로 재전망해서 예산안 심사에 반영할지 검토하고 있다”고 전했습니다.
KNN 뉴스는 24시간 여러분의 제보를 기다립니다.
▷ 전화
부산 051-850-9000
경남 055-283-0505
▷ 이메일 jebo@knn.co.kr
▷ knn 홈페이지/앱 접속, 시청자 제보 누르기
▷ 카카오톡 친구찾기 @knn
▷ 전화
부산 051-850-9000
경남 055-283-0505
▷ 이메일 jebo@knn.co.kr
▷ knn 홈페이지/앱 접속, 시청자 제보 누르기
▷ 카카오톡 친구찾기 @knn
디지털 뉴스팀 손예지
sonyj@knn.co.kr
많이 본 뉴스
주요뉴스
-
고등어 '역대급 풍년'에 가득찬 부산 공동어시장2025.11.24
-
국토부 신공항 공기, 신공항건설공단 졸속안 따랐나?2025.11.24
-
산불 피해 보상금 말바꾼 창녕군청에 유족들 또 '상처'2025.11.24
-
수영만요트경기장 재개발 첫삽... '갈등은 계속'2025.11.24
-
'대만 지룽항'에서 부산*경남 크루즈 관광의 미래를 엿보다2025.11.24
-
<자랑스러운 부산경남 >'가야문명의 중심 경남' 확고한 자리매김(리)2025.11.23
-
파크골프 열풍...부울경 파크골프 최강자를 찾아라2025.11.23
-
진주 빌라 불 3명 사상 부산도 화재로 소방관 다쳐2025.11.22
-
고성 독수리 장관 겨울철새 도래에 우려도2025.11.22
-
가덕도신공항, 내년 착공*10년 뒤 개항..지역 분노2025.11.21
페이스북
트위터
카카오톡
URL복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