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
거제 시민이면 20만원, '민생회복 지원금' 추진
안형기
입력 : 2025.04.16 20:48
조회수 : 786
0
0
<앵커>
경남 거제시가 전체 시민에게 20만원씩 민생회복지원금을 지급하겠다고 나섰습니다.
지역경제를 활성화시키기 위해서인데, 막대한 예산이 소요될거라며 우려의 목소리도 나오고 있습니다.
안형기 기자입니다.
<기자>
지난 2일 당선된 변광용 거제시장이 1호 공약이었던 '민생회복지원금' 추진을 공식 발표했습니다.
침체된 지역경제기를 살리기 위해 23만 거제시민에게 1인당 20만 원을 지역화폐로 지급하겠다는 것입니다.
지원금 규모만 470억원에 이르는데, 시 자체예산인 '통합재정 안정화기금'을 활용하겠다는 계획입니다.
{변광용/경남 거제시장/"1500억 이상의 지역 경제 효과가 있을 것으로 저희는 추정하고 있기 때문에 경제활성화, 상권활성화에 이 같은 좋은 수단은 없다고 확신을 갖고 있습니다."}
수백억의 지역화폐가 풀리면 거제 소비는 일단 살아날 것으로 기대됩니다.
조선업은 살아났는데 지역경제는 여전하다며 쳐져있던 시민들도 대체로 환영하는 분위기입니다.
{심수현/거제시 장평동/"경기도 어렵고 물가도 많이 비싼데 지원금을 주면 저한테 너무 유익하게 잘쓸 것 같고요, 너무 많이 도움이 돼요.}
하지만 위기상황을 대비한 기금을 소비를 위한 지원금으로 쓰는데 우려도 적지 않습니다.
{김선민/경남 거제시의회 의원/"거제 시민의 미래를 위한 것인가 아니면 거제시 발전을 위한 것인가 이 부분도 검토되어야 하고, 자신의 득표 활동을 위한 공약을 지키려는 것 아닌가...}
거제시는 추석 전 지급을 목표로 오는 5월 시의회 임시회를 통해 관련 조례안을 통과시킨다는 방침입니다.
"거제시가 민생회복지원금 지급에 강한 의지를 보이는 만큼, 비판을 넘어 시민들의 기대를 채우고 얼어붙은 지역 경기를 살릴 수 있을지 주목됩니다. KNN 안형기입니다."
영상취재 박영준
경남 거제시가 전체 시민에게 20만원씩 민생회복지원금을 지급하겠다고 나섰습니다.
지역경제를 활성화시키기 위해서인데, 막대한 예산이 소요될거라며 우려의 목소리도 나오고 있습니다.
안형기 기자입니다.
<기자>
지난 2일 당선된 변광용 거제시장이 1호 공약이었던 '민생회복지원금' 추진을 공식 발표했습니다.
침체된 지역경제기를 살리기 위해 23만 거제시민에게 1인당 20만 원을 지역화폐로 지급하겠다는 것입니다.
지원금 규모만 470억원에 이르는데, 시 자체예산인 '통합재정 안정화기금'을 활용하겠다는 계획입니다.
{변광용/경남 거제시장/"1500억 이상의 지역 경제 효과가 있을 것으로 저희는 추정하고 있기 때문에 경제활성화, 상권활성화에 이 같은 좋은 수단은 없다고 확신을 갖고 있습니다."}
수백억의 지역화폐가 풀리면 거제 소비는 일단 살아날 것으로 기대됩니다.
조선업은 살아났는데 지역경제는 여전하다며 쳐져있던 시민들도 대체로 환영하는 분위기입니다.
{심수현/거제시 장평동/"경기도 어렵고 물가도 많이 비싼데 지원금을 주면 저한테 너무 유익하게 잘쓸 것 같고요, 너무 많이 도움이 돼요.}
하지만 위기상황을 대비한 기금을 소비를 위한 지원금으로 쓰는데 우려도 적지 않습니다.
{김선민/경남 거제시의회 의원/"거제 시민의 미래를 위한 것인가 아니면 거제시 발전을 위한 것인가 이 부분도 검토되어야 하고, 자신의 득표 활동을 위한 공약을 지키려는 것 아닌가...}
거제시는 추석 전 지급을 목표로 오는 5월 시의회 임시회를 통해 관련 조례안을 통과시킨다는 방침입니다.
"거제시가 민생회복지원금 지급에 강한 의지를 보이는 만큼, 비판을 넘어 시민들의 기대를 채우고 얼어붙은 지역 경기를 살릴 수 있을지 주목됩니다. KNN 안형기입니다."
영상취재 박영준
KNN 뉴스는 24시간 여러분의 제보를 기다립니다.
▷ 전화
부산 051-850-9000
경남 055-283-0505
▷ 이메일 jebo@knn.co.kr
▷ knn 홈페이지/앱 접속, 시청자 제보 누르기
▷ 카카오톡 친구찾기 @knn
▷ 전화
부산 051-850-9000
경남 055-283-0505
▷ 이메일 jebo@knn.co.kr
▷ knn 홈페이지/앱 접속, 시청자 제보 누르기
▷ 카카오톡 친구찾기 @knn
안형기 기자
ahk@knn.co.kr
많이 본 뉴스
주요뉴스
-
외출조차 쉽지 않은 중증 발달장애인, 돌봄 공백도 여전2025.04.20
-
중*동구, 북항재개발에서 혜택은 없고 부담만 늘고2025.04.20
-
조선업 분야 경남 '광역형 비자 제동', '당혹' 대책 부심2025.04.20
-
산청 산불 한 달, 여전히 고통받는 이재민들2025.04.19
-
김해 공장 화재*통영 선박 충돌..사건 사고 잇따라2025.04.19
-
친환경 선박 수요, 지역기업 성장 기대2025.04.19
-
"산불 진화 장비 구매" 교정당국 사칭 사기 기승2025.04.19
-
해양수산부 부산 이전 공약, 이재명의 PK 승부수?2025.04.18
-
크루즈 관광객 40만 명 시대, 보안은 '구멍'2025.04.18
-
남해대교 '주탑 오르기' 관광 상품화2025.04.1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