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OP
사회

경남 농축협 자산건전성 악화, 피해 회복도 어려워

주우진 입력 : 2025.04.08 20:49
조회수 : 460

<앵커>
경남지역 농축협에서 적자가 속출했다는 소식 전해드렸는데요,

여기에 부동산 경기 침체 여파까지 겹치면서 지역 농축협의 자산건전성이 더욱 악화되고 있습니다.

부실대출을 정리하려해도 담보물건의 낙찰가율이 낮아지면서 피해 회복이 쉽지 않은 상황입니다.

주우진 기자입니다.

<기자>
지난해 경남지역 농축협 137곳 가운데 적자를 본 곳은 14곳으로, 1년전보다 2배나 급증했습니다.

100억 원 이상 적자만 3곳으로 대부분 수십억 원 적자인데, 적자는 면했어도 영업이익이 준 곳이 92곳이나 됩니다.

부동산 경기가 침체되면서, 지역 농축협의 '공동대출'이 부실로 이어진 게 주요 원인으로 꼽힙니다.

규모가 큰 부동산 대출을 여러 농축협이 공동으로 대출해 준데서 연체가 쌓이면서 연쇄 손실이 발생한 겁니다.

지난해 말 경남지역 농축협의 공동대출 연체액은 2천9백여 억원으로, 연초보다 1천2백억 원 넘게 급증했습니다.

연체 증가액으로 따지면 경기에 이어 전국에서 두번째로 높습니다.

{표동진/국립창원대 글로벌비즈니스학부 교수 "단위 조합의 경우에는 자본 규모가 상대적으로 작기 때문에 손실을 잘 흡수하는데 한계가 있을 수 있습니다. 일부 부동산 자산의 부실 문제가 지역에 전반적인 금융 불안전성을 키울 가능성도 있습니다."}

또 이런 부실 대출을 정리하려 해도 대출금 회수율이 턱없이 떨어집니다.

담보로 잡은 아파트나 상가, 토지의 경남지역 경매 낙찰가율이 전국 평균보다 크게 떨어지기 때문입니다.

{정상철/창신대 부동산경영학과 석좌교수 "경남이 그만큼 경기가 안좋다는 겁니다. 경매 같은 경우는 6개월 전에 감정가를 매기는데 지금 그 가치가 현저히 떨어지고 있거든요."}

손익 예측 실패 등 부실하고 무리한 대출이 지역 부동산 침체와 맞물리면서 수렁에 빠진 모양새입니다.

"농촌을 중심으로 한 경남 경제의 실핏줄 역할을 하는 지역 농축협의 위기에 우려가 커지고 있습니다.

KNN 주우진입니다."

KNN 뉴스는 24시간 여러분의 제보를 기다립니다.

▷ 전화
부산 051-850-9000
경남 055-283-0505
▷ 이메일 jebo@knn.co.kr
▷ knn 홈페이지/앱 접속, 시청자 제보 누르기
▷ 카카오톡 친구찾기 @knn
저작권자 © 부산경남대표방송 KNN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사이트맵