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회
27년차 현직 경찰관, 경찰청장 탄핵 청원 이유는?
최한솔
입력 : 2024.10.10 19:40
조회수 : 2963
0
0
<앵커>
현직 경찰관이 경찰청장의 탄핵을 요청하는 글을 올려 파장이 커지고 있습니다.
실명을 내건 이 경찰관은 경찰청장의 잘못된 문제 인식과 대처로 일선 경찰관들이 죽어나간다며 책임질 것을 요구했습니다.
최한솔 기자가 취재했습니다.
<기자>
지난 2일 국회 국민동의청원에는 경찰청장의 탄핵을 요구하는 글이 올라왔습니다.
청원을 올린 이는 27년차 현직 경찰관인 김해 신어지구대 김건표 경감.
김 경감은 최근 경남의 한 파출소 순찰차에서 여성이 갇혀 숨진 사건에 대한 후속 조치를 보고 공개 청원을 결심했습니다.
경찰청이 내놓은 대책은 관리체계 개선과 GPS 등을 통한 일선 경찰관 감시였습니다.
{김건표 경감/김해 신어지구대/"(해당 사건은) 13만 경찰관 중에 0.0001%의 근무 소홀 근무 태만입니다. 국민을 위해서 목숨 한 번 안 걸어보신 분이 목숨을 걸고 있는 경찰관들한테 '너희가 잘못하고 있어' 이해가 안 갑니다."}
경찰 내부망을 통해 5년째 경찰 처우 개선을 요구했지만 아무런 변화 없이 업무만 가중시킨다는 주장입니다.
{김건표 경감/김해 신어지구대/"중앙 행정기관 46곳 중에 자살율 1위, 순직률 1위. 외상 후 스트레스 건수가 (최근 3년간) 50% 증가했습니다. 경찰 순경 기준으로 시간 외 시급은 9천9백27원, 휴일 수당은 순경 기준으로 47.6원을 받습니다. 어디 조선시대 노비 받는 세금이 아니고서야..."}
이런 상황에서 기동순찰대 출범 등 조직개편으로 지역 경찰의 수는 더욱 줄어들고 있어 치안 담당 경찰이 희생된다고 주장합니다.
김 경감의 청원에는 동의자가 2만 명을 넘어서면서 파장이 커지고 있습니다.
{A 경찰관/"지금 청장이 지역 경찰을 갖다가 '고비용 저효율'이라고 이야기하는데 저는 제가 봤을 때 이때까지 지휘부들이 오히려 '고비용 저효율'이 아니었나..."}
해당 청원에 대한 경찰 내부의 찬반은 엇갈리는 가운데,다음달 6일까지 5만 명의 동의를 얻으면 국회 소관 상임위에 회부됩니다.
KNN 최한솔입니다.
현직 경찰관이 경찰청장의 탄핵을 요청하는 글을 올려 파장이 커지고 있습니다.
실명을 내건 이 경찰관은 경찰청장의 잘못된 문제 인식과 대처로 일선 경찰관들이 죽어나간다며 책임질 것을 요구했습니다.
최한솔 기자가 취재했습니다.
<기자>
지난 2일 국회 국민동의청원에는 경찰청장의 탄핵을 요구하는 글이 올라왔습니다.
청원을 올린 이는 27년차 현직 경찰관인 김해 신어지구대 김건표 경감.
김 경감은 최근 경남의 한 파출소 순찰차에서 여성이 갇혀 숨진 사건에 대한 후속 조치를 보고 공개 청원을 결심했습니다.
경찰청이 내놓은 대책은 관리체계 개선과 GPS 등을 통한 일선 경찰관 감시였습니다.
{김건표 경감/김해 신어지구대/"(해당 사건은) 13만 경찰관 중에 0.0001%의 근무 소홀 근무 태만입니다. 국민을 위해서 목숨 한 번 안 걸어보신 분이 목숨을 걸고 있는 경찰관들한테 '너희가 잘못하고 있어' 이해가 안 갑니다."}
경찰 내부망을 통해 5년째 경찰 처우 개선을 요구했지만 아무런 변화 없이 업무만 가중시킨다는 주장입니다.
{김건표 경감/김해 신어지구대/"중앙 행정기관 46곳 중에 자살율 1위, 순직률 1위. 외상 후 스트레스 건수가 (최근 3년간) 50% 증가했습니다. 경찰 순경 기준으로 시간 외 시급은 9천9백27원, 휴일 수당은 순경 기준으로 47.6원을 받습니다. 어디 조선시대 노비 받는 세금이 아니고서야..."}
이런 상황에서 기동순찰대 출범 등 조직개편으로 지역 경찰의 수는 더욱 줄어들고 있어 치안 담당 경찰이 희생된다고 주장합니다.
김 경감의 청원에는 동의자가 2만 명을 넘어서면서 파장이 커지고 있습니다.
{A 경찰관/"지금 청장이 지역 경찰을 갖다가 '고비용 저효율'이라고 이야기하는데 저는 제가 봤을 때 이때까지 지휘부들이 오히려 '고비용 저효율'이 아니었나..."}
해당 청원에 대한 경찰 내부의 찬반은 엇갈리는 가운데,다음달 6일까지 5만 명의 동의를 얻으면 국회 소관 상임위에 회부됩니다.
KNN 최한솔입니다.
KNN 뉴스는 24시간 여러분의 제보를 기다립니다.
▷ 전화
부산 051-850-9000
경남 055-283-0505
▷ 이메일 jebo@knn.co.kr
▷ knn 홈페이지/앱 접속, 시청자 제보 누르기
▷ 카카오톡 친구찾기 @knn
▷ 전화
부산 051-850-9000
경남 055-283-0505
▷ 이메일 jebo@knn.co.kr
▷ knn 홈페이지/앱 접속, 시청자 제보 누르기
▷ 카카오톡 친구찾기 @knn
최한솔 기자
choi@knn.co.kr
많이 본 뉴스
주요뉴스
-
낙동강 따라 손잡은 7도시…양산, 관광도시 꿈꾼다2025.10.25
-
갈변안되는 사과라더니...이상기후에 소용없나?2025.10.25
-
미*중 정상회담 부산에서 개최 예정...이목 집중 전망2025.10.25
-
부산 빌라서 불..40대 거주자 숨져2025.10.25
-
의료대란 끝났다더니...'응급실 뺑뺑이' 그대로?2025.10.24
-
강호동 회장, 금품수수 의혹 추가 제기2025.10.24
-
[현장]"누가 가장 빠를까?" 101층 계단 오르는 소방관들2025.10.24
-
'분식점 김밥 먹었다가...' 손님 100명 단체 식중독2025.10.24
-
부산*경남 교육청 국감, '부산 브니엘예고 사태' 등 도마2025.10.23
-
올해 굴 본격 수확, '걱정 반 기대 반'2025.10.23
페이스북
트위터
카카오톡
URL복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