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치
'공천 개입 의혹', 명태균*김영선 압수수색
주우진
입력 : 2024.09.30 20:49
조회수 : 722
0
0
<앵커>
검찰이 김건희 여사와의 친분을 바탕으로 지난 4월 총선과 2022년 재보궐 선거에서 김영선 전 의원 공천에 개입한 의혹을 받는 명태균 씨 자택 등을 압수수색했습니다.
검찰의 본격 수사로, 김건희 여사의 공천 관여 여부도 규명될 지 관심이 모아지고 있습니다.
주우진 기자입니다.
<기자>
검찰이 김영선 전 국회의원과 명태균 씨 집, 사무실 등에서 압수수색을 실시해 휴대전화 등을 확보했습니다.
경남도선거관리위원회가 정치자금법 위반 혐의로 수사의뢰한 지 9개월만입니다.
지난 2022년 김영선 전 의원이 창원의창 국회의원 보궐선거에서 당선된 뒤 명태균 씨에게 전달한 돈, 9천여만 원의 성격 등을 수사하고 있습니다.
비례대표를 거쳐 경기 고양에서 활동하며 4선을 한 김영선 전 의원은 2017년 갑자기 경남에 내려와 도지사 선거에 나섰다가 공천에서 탈락했습니다.
2020년 21대 총선에서도 진해에 출마했다가 공천에서 떨어졌는데, 윤석열 정부 출범 직후 열린 창원의창 보궐선거에서 공천받아 당선됐습니다.
지역 정가에서 활동하며 김영선 전 의원과 가까웠던 명태균 씨는 김건희 여사와의 친분을 공공연히 밝히고 다녔습니다.
김건희 여사가 지난 4월 총선에서 김영선 전 의원의 공천에 개입했다는 의혹과 관련해, 핵심 관계자인 명태균 씨와 김영선 전 의원 금전거래 의혹 수사에 속도가 붙고 있습니다.
KNN 주우진입니다.
검찰이 김건희 여사와의 친분을 바탕으로 지난 4월 총선과 2022년 재보궐 선거에서 김영선 전 의원 공천에 개입한 의혹을 받는 명태균 씨 자택 등을 압수수색했습니다.
검찰의 본격 수사로, 김건희 여사의 공천 관여 여부도 규명될 지 관심이 모아지고 있습니다.
주우진 기자입니다.
<기자>
검찰이 김영선 전 국회의원과 명태균 씨 집, 사무실 등에서 압수수색을 실시해 휴대전화 등을 확보했습니다.
경남도선거관리위원회가 정치자금법 위반 혐의로 수사의뢰한 지 9개월만입니다.
지난 2022년 김영선 전 의원이 창원의창 국회의원 보궐선거에서 당선된 뒤 명태균 씨에게 전달한 돈, 9천여만 원의 성격 등을 수사하고 있습니다.
비례대표를 거쳐 경기 고양에서 활동하며 4선을 한 김영선 전 의원은 2017년 갑자기 경남에 내려와 도지사 선거에 나섰다가 공천에서 탈락했습니다.
2020년 21대 총선에서도 진해에 출마했다가 공천에서 떨어졌는데, 윤석열 정부 출범 직후 열린 창원의창 보궐선거에서 공천받아 당선됐습니다.
지역 정가에서 활동하며 김영선 전 의원과 가까웠던 명태균 씨는 김건희 여사와의 친분을 공공연히 밝히고 다녔습니다.
김건희 여사가 지난 4월 총선에서 김영선 전 의원의 공천에 개입했다는 의혹과 관련해, 핵심 관계자인 명태균 씨와 김영선 전 의원 금전거래 의혹 수사에 속도가 붙고 있습니다.
KNN 주우진입니다.
KNN 뉴스는 24시간 여러분의 제보를 기다립니다.
▷ 전화
부산 051-850-9000
경남 055-283-0505
▷ 이메일 jebo@knn.co.kr
▷ knn 홈페이지/앱 접속, 시청자 제보 누르기
▷ 카카오톡 친구찾기 @knn
▷ 전화
부산 051-850-9000
경남 055-283-0505
▷ 이메일 jebo@knn.co.kr
▷ knn 홈페이지/앱 접속, 시청자 제보 누르기
▷ 카카오톡 친구찾기 @knn

주우진 기자
wjjoo@knn.co.kr
많이 본 뉴스
주요뉴스
-
공공배달앱 예산 확대 경남은 한숨만2025.06.22
-
개장 첫 주말 피서객 몰린 해수욕장2025.06.22
-
<자랑스러운 부산경남>남해 산골짜기서 그린 '억겁의 미소'2025.06.22
-
장마철 국지성 돌발 폭우 위험, "침수 막아라"2025.06.21
-
<수유실 기획5> '수유실알리미' 들여다보니 오류투성이2025.06.21
-
공무원 사칭 사기 극성 예약 전화 겁날 정도2025.06.20
-
현대건설, 신공항은 포기하더니 지역 알짜 벡스코 3전시장 눈독2025.06.20
-
'핫플'로 떠오른 도심 복합문화공간2025.06.20
-
제철 맞은 갯장어 잡이 한창2025.06.19
-
마트가는데 한나절...농촌 식품 사막화 대책은?2025.06.1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