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회
'부산~제주 뱃길' 1년 째 단절... 회복은 언제?
조진욱
입력 : 2024.01.08 20:51
조회수 : 7080
0
0
<앵커>
부산항과 제주를 오가는 여객선 뱃길이 끊어진지도 어느덧 1년이 넘었는데요.
지난주부터 새 사업자 모집에 나섰지만 당장 회복은 쉽지않아 보입니다.
조진욱 기자가 보도합니다. }
<기자>
부산에서 유일한 연안여객선 전용 부두입니다.
카페리인 뉴스타호가 정기적으로 부산과 제주를 오갔지만 지난 2022년 12월을 끝으로 뱃길이 끊어졌습니다.
저가항공에 밀린 여객 수요와 노후 선박, 선사의 경영악화 등이 원인으로 꼽힙니다.
"뱃길이 중단된 지 1년이 넘으면서 이곳 대합실을 비롯한 모든 시설이 텅 비었습니다.
노동자들도 무기한 휴업에 들어갔습니다."
지난해까지는 그나마 인근 우암부두에서 화물선 작업이라도 했지만 이마저도 일감이 끊기면서 실직자 신세입니다.
{이창화/부산항운노조 남포지부장/ "배가 없으니까, 앞으로 우리가 일할 곳이 마땅치 않으니까요. 부산에서 제주가는 여객선이 1년 넘게 없는 건 말이 안 되는 겁니다."}
부산해수청은 부랴부랴 부산항~제주 노선의 새 사업자 모집에 나섰습니다.
전국 모든 사업자가 대상인데, 카페리 경영 악화에 현재로선 경남 사천과 제주를 오가는 사업자가 유일한 대안으로 꼽힙니다.
하지만 사천~제주 노선을 뺼 수 없다 보니 경유 노선 개발과 중고선박 매입 등 검토할 대상이 산더미입니다.
여기에 선박 금융 제한 등 제약도 많습니다.
{구범수/현성MCT 대표/ "너무 고정비도 많이 나가고 그다음에 거리가 머니까 이틀에 한 항차, 주 삼 항차 밖에 못하고 중고선이라도 한번 찾아보자 하고 했는데 중고 선도 없는 거예요 월드마켓으로 다 뒤져도 좀 문제다"}
해양수도란 말이 무색하게, 정기 여객선 한 척 없는 열악한 현실.
관계기관의 과감하고 속도감 있는 대책 마련이 필요하단 지적입니다.
KNN 조진욱입니다.
부산항과 제주를 오가는 여객선 뱃길이 끊어진지도 어느덧 1년이 넘었는데요.
지난주부터 새 사업자 모집에 나섰지만 당장 회복은 쉽지않아 보입니다.
조진욱 기자가 보도합니다. }
<기자>
부산에서 유일한 연안여객선 전용 부두입니다.
카페리인 뉴스타호가 정기적으로 부산과 제주를 오갔지만 지난 2022년 12월을 끝으로 뱃길이 끊어졌습니다.
저가항공에 밀린 여객 수요와 노후 선박, 선사의 경영악화 등이 원인으로 꼽힙니다.
"뱃길이 중단된 지 1년이 넘으면서 이곳 대합실을 비롯한 모든 시설이 텅 비었습니다.
노동자들도 무기한 휴업에 들어갔습니다."
지난해까지는 그나마 인근 우암부두에서 화물선 작업이라도 했지만 이마저도 일감이 끊기면서 실직자 신세입니다.
{이창화/부산항운노조 남포지부장/ "배가 없으니까, 앞으로 우리가 일할 곳이 마땅치 않으니까요. 부산에서 제주가는 여객선이 1년 넘게 없는 건 말이 안 되는 겁니다."}
부산해수청은 부랴부랴 부산항~제주 노선의 새 사업자 모집에 나섰습니다.
전국 모든 사업자가 대상인데, 카페리 경영 악화에 현재로선 경남 사천과 제주를 오가는 사업자가 유일한 대안으로 꼽힙니다.
하지만 사천~제주 노선을 뺼 수 없다 보니 경유 노선 개발과 중고선박 매입 등 검토할 대상이 산더미입니다.
여기에 선박 금융 제한 등 제약도 많습니다.
{구범수/현성MCT 대표/ "너무 고정비도 많이 나가고 그다음에 거리가 머니까 이틀에 한 항차, 주 삼 항차 밖에 못하고 중고선이라도 한번 찾아보자 하고 했는데 중고 선도 없는 거예요 월드마켓으로 다 뒤져도 좀 문제다"}
해양수도란 말이 무색하게, 정기 여객선 한 척 없는 열악한 현실.
관계기관의 과감하고 속도감 있는 대책 마련이 필요하단 지적입니다.
KNN 조진욱입니다.
KNN 뉴스는 24시간 여러분의 제보를 기다립니다.
▷ 전화
부산 051-850-9000
경남 055-283-0505
▷ 이메일 jebo@knn.co.kr
▷ knn 홈페이지/앱 접속, 시청자 제보 누르기
▷ 카카오톡 친구찾기 @knn
▷ 전화
부산 051-850-9000
경남 055-283-0505
▷ 이메일 jebo@knn.co.kr
▷ knn 홈페이지/앱 접속, 시청자 제보 누르기
▷ 카카오톡 친구찾기 @knn

조진욱 기자
jojo@knn.co.kr
많이 본 뉴스
주요뉴스
-
부산구치소 20대 재소자 숨져... "집단 폭행 의심"2025.09.08
-
"담배꽁초 버리다 덜미"...도주극 지명수배자 검거2025.09.08
-
고수온*적조 엎친 데 '산소 부족' 덮쳤다... 패류 집단 폐사2025.09.08
-
끊이지 않는 산재 사망... 대기업 안전강조 '유명무실'2025.09.08
-
'여전한 무더위' 폐장 해수욕장도 붐빌 지경...외국인 관광객 특수2025.09.07
-
'가락요금소' 출퇴근길 통행료 무료화된다2025.09.05
-
[기획] 수도권 기업만 이익? 송전선로 건설 갈등2025.09.06
-
경제브리핑-한화, 실적만 급급 안전사고 잇따라2025.09.08
-
'굴착기 사망사고' 롯데건설 사과문 발표2025.09.07
-
남해안 적조 92만여 마리 폐사, 거제*통영으로 확산2025.09.0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