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회
에어컨 매립 배관함 화재 주의
김민욱
입력 : 2023.10.03 19:39
조회수 : 2205
0
0
<앵커>
아파트 베란다 확장 공사를
한 경우 에어컨과 실외기를 연결하는
배관함을 두는 것이 대부분인데요.
이 배관함에서 화재가 잇따르고
있어서 각별한 주의가 요구됩니다.
김민욱 기자가 보도합니다.
<기자>
지난 8월 22일 김해시의 한 아파트
거실에 설치된 에어컨 매립 배관함에서 불이 났습니다.
이 불로 소방서 추산 6백만원 상당의
재산피해가 났습니다.
지난달 7일에도 김해의 한 아파트
에어컨 매립 배관함에서 불이 나는 등
지난 7월부터 김해에서만 4건의 에어컨 화재가 발생했습니다.
4건 모두 배관함 안에 꼬아서 설치한
전기 배선이 문제였습니다.
"최근 5년 동안 경남에서는 115건의
에어컨 화재가 발생했습니다.
이 가운데 82%는 전기적 요인이
화재 원인으로 나타났습니다."
부산에서는 최근 5년 동안
127건의 화재가 발생했으며
76%가 전기적 요인으로 나타났습니다.
소방과 전기안전연구원 실험 결과,
꼬아서 연결한 전선과 꼬지 않은 전선 사이에는 저항과 온도에서 큰 차이가 나타났습니다.
전선 속 구리 가닥 여러개를 꼬아서
연결한 '연선'의 경우 한 개 구리선만 있는 '단선'에 비해 저항값이 3배,
온도는 2배 가량 높은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전선의 저항값이 높을수록
불이 날 위험성도 높아집니다.
{정석호/김해서부소방서 화재조사담당/"전선배선을 꼬아서 연결을 하면 에어컨 미세 진동으로 전선의 풀림 현상이 발생하고 접촉면 간의 틈이 넓어지면서 저항과 온도가 상승해 화재가 발생한 원인입니다."}
소방당국은 에어컨 전선 연결부 접촉 저항이 증가하지 않도록 배관함 안에
별도의 압착 장치를 사용해 줄 것을 당부했습니다.
KNN 김민욱입니다.
아파트 베란다 확장 공사를
한 경우 에어컨과 실외기를 연결하는
배관함을 두는 것이 대부분인데요.
이 배관함에서 화재가 잇따르고
있어서 각별한 주의가 요구됩니다.
김민욱 기자가 보도합니다.
<기자>
지난 8월 22일 김해시의 한 아파트
거실에 설치된 에어컨 매립 배관함에서 불이 났습니다.
이 불로 소방서 추산 6백만원 상당의
재산피해가 났습니다.
지난달 7일에도 김해의 한 아파트
에어컨 매립 배관함에서 불이 나는 등
지난 7월부터 김해에서만 4건의 에어컨 화재가 발생했습니다.
4건 모두 배관함 안에 꼬아서 설치한
전기 배선이 문제였습니다.
"최근 5년 동안 경남에서는 115건의
에어컨 화재가 발생했습니다.
이 가운데 82%는 전기적 요인이
화재 원인으로 나타났습니다."
부산에서는 최근 5년 동안
127건의 화재가 발생했으며
76%가 전기적 요인으로 나타났습니다.
소방과 전기안전연구원 실험 결과,
꼬아서 연결한 전선과 꼬지 않은 전선 사이에는 저항과 온도에서 큰 차이가 나타났습니다.
전선 속 구리 가닥 여러개를 꼬아서
연결한 '연선'의 경우 한 개 구리선만 있는 '단선'에 비해 저항값이 3배,
온도는 2배 가량 높은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전선의 저항값이 높을수록
불이 날 위험성도 높아집니다.
{정석호/김해서부소방서 화재조사담당/"전선배선을 꼬아서 연결을 하면 에어컨 미세 진동으로 전선의 풀림 현상이 발생하고 접촉면 간의 틈이 넓어지면서 저항과 온도가 상승해 화재가 발생한 원인입니다."}
소방당국은 에어컨 전선 연결부 접촉 저항이 증가하지 않도록 배관함 안에
별도의 압착 장치를 사용해 줄 것을 당부했습니다.
KNN 김민욱입니다.
KNN 뉴스는 24시간 여러분의 제보를 기다립니다.
▷ 전화
부산 051-850-9000
경남 055-283-0505
▷ 이메일 jebo@knn.co.kr
▷ knn 홈페이지/앱 접속, 시청자 제보 누르기
▷ 카카오톡 친구찾기 @knn
▷ 전화
부산 051-850-9000
경남 055-283-0505
▷ 이메일 jebo@knn.co.kr
▷ knn 홈페이지/앱 접속, 시청자 제보 누르기
▷ 카카오톡 친구찾기 @knn

김민욱 기자
uk@knn.co.kr
많이 본 뉴스
주요뉴스
-
<단독>10개 병원 응급실 의사 13명 인건비 지원 중단2025.04.30
-
5월 황금연휴 앞두고 김해공항 대란 재현되나?2025.04.30
-
가덕신공항 조기개항 약속 내팽개친 현대건설2025.04.30
-
백화점 '팝업 스토어' 매출 상승세 이끈다2025.04.30
-
"추가 1조 원에 시간도 2년 더 달라고?"2025.04.29
-
정권교체기 공공기관 사장 인선 '알박기' 논란2025.04.29
-
[단독]학교에서 성추행 도주, 5개월째 못잡는 경찰2025.04.29
-
[단독]'유령 법률사무소' 홈페이지 올려 상담료 사기2025.04.29
-
SKT 유심 '해킹 포비아' 현장은 대혼란2025.04.28
-
가덕도신공항 2029년 조기 개항 차질?2025.04.28